한국 수능의 치명적인 단점 (한국형 시험의 단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3640556
우리나라 수능은 세계에서도 권위를 인정하는 우수한 시험입니다.
실제로 해외에서도 수능을 공부하는 학생들의 고충을 비판하지 수능 자체를 비판하지는 않아요.
중국과 일본도 가오카오와 센터시험을 운영하고 있긴 하지만, 수능을 여러모로 많이 벤치마킹합니다.
공정하고 잘 짜여진 시험이기도 하죠.
하지만 단점은, 미국 SAT와 달리 찍어서 맞출 위험을 낮추지를 못한다는 겁니다.
미국 SAT는 공란(체크안함)으로 틀리면 감점을 하되 적게하고, 체크하고 틀리면 감점을 많이하는 것으로 압니다.
그런 식으로 하여 확실하지 않으면 그냥 아는 척 하지 마라 식으로 나오는 것이죠.
그런데 한국 수능은 찍어서 틀리는 것이나 공란으로 틀리는 것이나 똑같기에,
못 푸는 문제는 여럿 찍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현상은 과거 수학 나형의 경우 중위권 이하, 가형의 경우 난이도가 어렵기에 상위권에게도 일어나는 일이었습니다.
(나형의 경우 난이도가 높지 않기에, 상위권 이상 학생들은 찍을 필요가 거의 없었습니다. 애초에 나형에서 찍는 일이 발생하는 학생이면 상위권이 아닐 확률이 높았지요. 그러나 가형은 문제가 어렵기에 상위권도 찍는 현상이 나왔습니다.)
탐구는 이 현상이 더욱 심각하지요. 특히 이것도 위와 마찬가지로 사회탐구보다 과학탐구에서.
우리나라 수능도 점진적으로 공란오답은 -0.5점, 체크된오답은 -1점. 식으로 가야한다고 봅니다.
실제로 전설이라던 11수능 가형(1컷 79점)에서는 평소 건동홍 공대 수준의 학생이 4점짜리 3개를 찍어 맞춰 연고대 공대를 안정적으로 갔다는 웃지못할 일도 있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책 추천 받음 12
후헤히호
-
차은우 그는 도대체
-
밴드 + 오케스트라 편곡 있는 노래 제이팝 인디 장르 다 상관 ㄴㄴ (예시: 잔나비...
-
D-2 1
공부하기싷ㅎ다
-
주인 잃은 레어 2개의 경매가 곧 시작됩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제6대 우크라...
-
we all lie
-
한국은행 지폐의 모델이 됩니다
-
학생들이 오답 복습법 너무 좋다고 해줘서 너무 뿌듯하네요 1
작년까지 쓰던 직접 만든 오답 양식 PDF로 만들어서 주는데, 메타인지 풀가동 될...
-
삼수가 건강 망치네 잉 ㅜㅜ
-
작년까지만해도 오류 좀 많았었는데 요즘은 좀 정확해졌나요? gpt한테 과학기술...
-
오노추 0
좀 씹덕같긴한데 진짜 좋음
-
자퇴한 07이고 이번 3모에서 화작1 턱걸이 영어 100 확통 5 정법 3 사문 1...
-
작수 기준 0
국어 화작 높은 4 수학 미적 1컷 영어 2 한지 2 세지 50 맞으면 어디갈수 있을까요?
-
다항식이 젬병이네..
-
언제부터 신청해야할까요...? 기숙학원 추천도 부탁드립니다ㅠㅠ
-
05년생인데 올해 지원해서 합격할 확률 있을까요? 지금 다니는 학교가 너무 마음에...
-
노트커버 이거 너무 이뻐서 사고 싶은데 노트커버 쓰시는분들 노트커버 쓸모 있다고 보시나요?
-
설대물리학과를 붙을정도면 갈수있는 의대는 어디가 있나요???
-
200일 언제기다림
-
볼드 처리된 단어의 옳은 뜻을 고르시오. (댓글에 정답) When you want...
-
시험 싫어 3
시험거부
-
아직도안만듦
-
교대 나와서 사기업이나 학원계로 빠지는 경우는 흔하지는 않나요? 보통 다들 초등교사 되나요?
-
집중하는시간 5시간도 안되는데... 나도 더 더 늘려야겟다
-
메인 보는데 나만 뭔소린지 잘모르겠네
-
미적분이 재밌고 편해서 한번도 확통은 고려해본 적이 없는데, 올해 기조 보니깐 확통...
-
은근히 안팔리네요타이밍이 안좋아서그런가?맞춘 문제들 동그라미만 쳐져있고 아무 필기나...
-
개념만 햇어도 맞을만한듯
-
아파서 욕 나오는 날이나 병원 가는 거 빼곤 공부햇어욤 공부 첨 시작해서 뭐 어케...
-
머리는 정해인 6
얼굴은
-
저럴까면 커뮤를 하지마셈
-
봄향기가 물씬 풍기네
-
에바노 4
에바 진짜 에바라고? 근데 에반걸 어떡해 에바노..
-
무보정 언매=화작 ㄷㄷ
-
어떻게 될까요 학생이 정시원서를 넣는게 아니고 공개된 학생 점수를 보고 대학이...
-
국어할 때 노래 같은 느낌인가
-
하루에 한~두 과목 몰빵 vs 매일 조금씩 국수영 순서대로 보통 422 나옴 6모때...
-
기존 풀이랑 여타 차이 없을 거 같긴한데 그래도 나름 괜찮은거 같아서 올려봄....
-
오늘의 점심 6
내일 마라탕 꼭 먹어야지
-
제 입엔 맛있어요
-
쩝...
-
엉엉
-
흐으음
-
정대세? 닮아서 편점 아저씨가 니얼굴 정대세랑 똑같이 생겼다고 말하니까 초딩이...
-
완강의 기쁨을 나누어보아요 히히
-
이대로 공부한다 ㅇㅇ
-
아이를 가지는게 맞나..싶네요 네 공부하기 싫어서 딴생각해봄
-
배경설명을 해주자면 대선공약으로 배우자에게만 특별히 상속세 공제액을 늘려주겠다는...
-
칭구 모집중 7
0/5

찍신의 선택을 못받음ㅜㅜ
아버지! 날 보고 있다면 정답을 알려줘!흠... 그렇다기에는 풀어서 틀린 오답과 찍어서 틀린 오답을 똑같이 감점하는 것도 올바른지 잘 모르겠네요...
여기서 이제 확실하지 않으면 체크할지말지 고민하겠죠 맞출 확신이 있다면 고민없이 바로 체크할거고ㅇㅇ
이게 참 익숙하지가 않네요... 한국식 채점 방식에 길들여져서...
수능 전에 파이널보다 찍기특강이 더 성행하고 가끔씩 보이는(특히수학) 수능에서 4점찍맞 줄줄이 다해서 등급 2~3개씩 오르는애들이 옳다고도 생각안해요 이러니 수능이 운빨시험이란 말이 나오지ㅠ
저도 찍기 운이 좋아서 본 실력보다 성적이 잘 나오는 것이 공정하지 않다고는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과연 풀고 확신을 가져서 낸 오답과 찍어서 낸 오답을 똑같이 처리하는 것이 옳을지에 대해서는 회의가 드네요.
객관식 평가의 한계인 것 같아요 ㅠㅠ
공정한 서논술형이 제일 이상적이고 좋지만..
그러게요... ㅜㅜ 서논술형이 이상적인 평가 방식이기는 하지만 대한민국 정서상 받아들이기 힘들 것 같기도 하네요...
1번 실수하면 진짜 나락

생각해보니 맞는말이네요현재 모 공기업중에서도 ncs 볼 때 맞은건 +, 틀린건 -, 비워놓은건 아예 점수측정 x 로 하고있는데 괜찮아보이더라고요
예전에 AMC?인가 미국에서 전세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학 경시 봤을때도 공란 부분 점수, 오답은 감점이 있더라구요 그래서 진짜 확실히 아는것만 답을 고르고 나머지는 그냥 빈 칸으로 두어서 확실히 좀 더 진짜 실력을 보는 것 같다고 느꼈어요
이거 좋다
+ 증명문제 처럼
한문제 내에서도
빈칸 만들어서 점수를 나누어서 주는 것도 좋을 듯
와 진짜 좋네 이거는
이제 그럼 학생들은 수학 시간 남은 5분 동안 고민하겠지... 답 개수를 보았을 때 찍어서 하나만 맞추면 나머지 다 틀리면 오히려 점수 올릴 수 있는 기대감. 그래도 찍는 게 이득일 듯.
요약: 오답감점제
이번 탐구에서 찍맞해서 등급 올린사람 좀 있을듯..ㅜ
과탐은 4페이지 주관식으로 바꿔야한다고 생각함 수학처럼
근데 하면 흥미진진해질 듯... 이러다 9등급 블랭크도 뜨는 거 아닌지....
그렇게 되면 자기 능력이 닿는 데까지 노력해서 풀었지만 결과적으로 오답이 나와서 틀린 학생에게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찍은 학생보다 낮은 점수를 주게 되겠죠.
결과만을 중시하는 수능 시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다면 ap시험처럼 주관식 문제 파트를 넣는 게 맞다고 봐요.
아이디어가 좋네요 이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