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 씹고인물들께 질문 (어려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3616553
단일용언에서 홀로 어간을 이룰'수있는' 어근은 전부 의존형태소가 맞나요?
ex 검붉다 의 '검', '붉' / 뾰족하다의 '하' (뾰족은 부사로써 단일용언의 어간이 될수없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3616553
단일용언에서 홀로 어간을 이룰'수있는' 어근은 전부 의존형태소가 맞나요?
ex 검붉다 의 '검', '붉' / 뾰족하다의 '하' (뾰족은 부사로써 단일용언의 어간이 될수없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검,붉 은 용언의 어간이니까 의존형태소고 하 는 접시야서 의존 형태소
검,붉은 어간이아니라 검붉이 어간입니다. 어간이 의존형태소라는것은 단일어의 어간을 말하는것이죠. 검붉은 가장작은뜻의 단위가아니므로 형태소가 아닙니다
쓰읍.. 어렵군요 언매 공부하러 갑니다
검붉/다
-> 검/붉
형태소 분류해보면 어근 어근의 불규칙 합성이니 의존 형태소이외의 다른 분류로 넣을 여지가 없지 않나요?
홀로 어간을 이룰 수 있으니 의존 형태소가 아니다 << 인과가 허위적인 거 같습니다. 어떠한 사고로 이러한 상관관계에 대해 질문하게 되신 건지 설명을 덧붙여주신다면 더 상세히 설명해드릴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 저도 학생인지라 해당 질문만으로는 제 답변마저도 확신을 못하겠네요
'저는 홀로 어간을 이룰수있는 어근은 의존형태소가 맞다' 라고 생각해서 질문한것입니당 혹시나 반례가 있나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