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성 한의대 의예과 [1046333] · MS 2021 · 쪽지

2022-01-30 11:37:22
조회수 1,539

생명과학은 지구과학의 하위과목이 아닐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3608913

 본질적으로 천문,대기,지질학적 현상이랑 생명이랑 다를께 무엇이 있을까?

 그저 원자가 모여 분자를 이루고 그것이 모여 세포가 되고 기관이되고 개체를 이루고 그 개체가 물리학적 법칙에따라 이동하는 현상에 따르는게 생명과학이라고 생각하면

 지질학적 현상도 원자가 모이고 분자가 모여 물리학적 법칙에 따라 지형이 달라지고 대기학적 현상도 똑같은데, 생명과학은 지질학과 생명과학은 같은 위계에 있어야하는 것이 아닌가?


 그중 가장 본질적인 천문현상은 아무것도 없는곳에 큰에너지를 나두고 그것이 폭발하면서 양성자 전자등이 만들어지고 그것이 모여서 수소가되고 성운을이루고 그것이 모여서 별이되고 그주변에 도는 행성, 그곳에서 여러 분자와 물질이 거동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 지질학 대기학 생명과학 이라고 생각함


다들 여러가지 과학중에 물리학이 가장 core라고 생각하는데

 이런 생각으로 세상을바라보면 딱히 그렇지도 않은듯 

 

 물리학의 본질은  "힘"이 전부라고 생각함 수많은 역학적 규칙들도 다 힘으로 설명되는 것이니깐

 원자와 원자는 그저 물리학의 힘에 의해 규칙에 따라 이동하는 중에 화학는 분자의 관점에서 발생하는 일을 탐구하고

 지구과학은 원자는 물리의 규칙에따라 행동하는 와중 가장거시적인 관점에서 발생하는 일을 탐구한다.

 물리학 공식들만 가지고 "아무것도 없는 빈공간조차 아닌 곳에 에너지만 있으면 어느 현상이 일어날까?"라는질문에는 물리학은 너무 미시적인 것이니깐 답변 할수 없다. 

 하지만 지구과학은 이 모든걸 전체적으로 보고 세상에 일어나는 일을 탐구하기때문에 더욱 가치있는듯

 생명과학이라는 것은 아주 수많은 은하들중에 정말 작은 한 지구라는 행성에서 일어나는 아주 특별한 지구과학적인 현상인듯


두서없는 글이 됬네요 반자유의지지문이랑 크로녹스 우주를 공부하면서 든 생각인데 이런 생각은 참 재미있는듯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별따 · 1126963 · 22/01/30 11:37 · MS 2022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과탐33허수가오르비에서는설대레어보유자 · 979678 · 22/01/30 11:39 · MS 2020

    저도 그럼생각 해본적은 있는데 어차피 학문이라는건 인간의 관점에서 쓰인거기 때문에 생명과학도 중요한 학문임. 그리고 기본적으로 미시적인거랑 거시적인거 둘다 중요하다 생각함

  • 서성 한의대 의예과 · 1046333 · 22/01/30 11:59 · MS 2021

    과학이 진리를 탐구하는 범위라는 점을 중점적으로 생각했는데 인간의 삶을 편이
    하게 할 도구에서는 생명과학이 매우중요하죠

  • epflek · 1082058 · 22/01/30 11:53 · MS 2021

    물리->지구고 화학->생명임
    물리학적 법칙들을 기초로 지구과학의 탐구들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고, 화학적 지식들을 기초로 생명과학의 탐구들을 수행할 수 있는거임. (물론 엄밀히 따져보면 지구과학은 물리 화학 전부 쓰기는 하지만)
    대충 물화는 세계의 근본원리들을 설명한다면 지구와 생명은 나아가서 그것들을 가지고 보다 큰 범주에서 세계를 해석하는데 초점을 맞추는거라고 생각함.
    이런 관점으로 보면 지구랑 생명/물리와 화학은 같은 층위의 학문이라고 볼 수도 있을듯

  • 서성 한의대 의예과 · 1046333 · 22/01/30 12:03 · MS 2021

    저도 옛날에는 이런생각 했는데 화학의 이온화, 결합, 산과 염기 , 오비탈도 다 원자들이 물리학적 법칙에 의해 안정해질려고 나타나는 현상으로 느껴졌어요. 대체로 물리가 지구에 화학이 생명에 많이 쓰이는것도 맞는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