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gello [941613] · MS 2019 · 쪽지

2022-01-22 11:22:56
조회수 7,714

반도체 공학과 그딴거 갈바에 일반 공대 가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3302468

뭔 취직이 보장되고 어쩌고 저쩌고 하는데

그래봐야 그냥 SK하이닉스 들어가긴 쉬워도


진급하긴 어렵다


구라같겠지만 진짜임


그냥 어디 전자공학과, 컴공 이런데 들어가는게 더 메리트 있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뽕은두달 메디컬뽕은평생 · 671384 · 22/01/22 11:23 · MS 2016

    실상은 ..ㄹㅇ이라더라구요
    전해들은 전래동화

  • 기하황 · 1061855 · 22/01/22 11:23 · MS 2021

  • 나 씹덕아니야(울의보내줘) · 1114216 · 22/01/22 11:23 · MS 2021

    의대가자!

  • 카페리나 · 1079053 · 22/01/22 11:24 · MS 2021

    전자,컴공이 반도체 공학과보다 어떤 메리트가 있다는 말씀이세요?

  • 안철수, 나의 빛 · 876367 · 22/01/22 11:24 · MS 2019

    연반정도면 승진에도 별문제없을거같은데

  • 국어강사가펑 · 1041917 · 22/01/22 11:25 · MS 2021

    삼성 계열은 대우 더 해주는걸로 아는데 현직자한테 들은바로는

  • 킹니프사 · 1012417 · 22/01/22 11:25 · MS 2020

    일단 '취업'을 해야 승진을 하니까...

  • beCAUse · 989486 · 22/01/22 11:27 · MS 2020 (수정됨)

    반도체 업계를 잘 아는 게 아니라서 왈가왈부하긴 그렇지만 학부로는 한계가 있어서 석박한 전전 애들보다 천장이 낮긴 할 듯 합니다. 근데 반도체학과들도 석박 지원해주지 않나요? 물론 회사 다니면서 다니려면 사실상 특수대학원 뿐이긴 하지만

  • Yyyyyyyyy · 845025 · 22/01/22 11:38 · MS 2018

    지금 2006에 만들어진 성반이 입사 약 10년차인데 진급 이런게 통계화된다고? 누구뇌피셜임 ㅋㅋㅋㅋ설마 10년차에 임원단 케이스가 없어서 진급이어렵다는 그런건가?

  • Geralt · 820531 · 22/01/22 11:39 · MS 2018

    ㅇㄱㄹㅇ ㅋㅋ

  • 쵹초칸민쵸칩 · 1104378 · 22/01/22 12:13 · MS 2021

    요즘 연고성 언저리 전전/컴공이 취업하기 얼마나 어려운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 라인에 준비 잘 하면 어지간한 대기업 가기 어렵지 않다는 것을 전제로 반도체공학과 같은 특수학과는 학부때부터 너무 진로의 폭을 줄이는 느낌이긴 함. 갠적으로 꼭 반도체 뿐만 아니라 ai학과, 로봇공학과 같은것들 어차피 석사정도는 돼야 제대로 가능한 분야인데 학부에 맛보기로 조금 넣고 이름 저렇게 하는거 별로 안좋아함ㅋㅋㅋ물론 연고성라인 공대도 취업이 어렵다면 편한 계약학과가 답이겠죠

  • 한빛 · 825746 · 22/01/22 18:40 · MS 2018

    카이스트대학생 이네요

  • 루트Root · 784371 · 22/01/22 12:52 · MS 2017

    통계가 없는 것도 맞고, 석박한테 밀리는 것도 말이 안되는게 졸업하고 바로 취직을 할지, 아니면 대학원 이후에 취직을 할지 선택할수 있습니다

  • 연서동 · 1121775 · 22/01/23 15:43 · MS 2022

    고반, 연반의 메리트는 석박 지원과 석박이후 연구직으로 입사 가능하며 첨단 엔지니어로의 전문가 길을 갈 수 있다는 거죠 - 현 직장인

  • 소나무풍경 · 1100906 · 22/01/26 12:12 · MS 2021

    저도 진로결정을 위해 고민하는 중 여러카페 검색중 선배들의 이야기를 참조했습니다. 공유합니다.
    ------------------------------------------------------------
    저도 수험생때 이해원 모의고사 정말 애용했고 대학 진학하는데에도 큰 몫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인증은 위에 해뒀고, 굳이 성적을 깐 이유는 그래도 나름 학교생활 성실히 했고 조언할 정도의 위치는 된다는 걸 인증한 것입니다. '스카이 공대 나오면 취업 걱정 없다'라는 말에 대해 고찰해봅시다. 저는 서울대 공대를 다녀본 적이 없기 때문에 서울대는 제외하겠습니다. 고려대는 비슷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1. 취업 프로세스
    기업은 학벌이 좋다고, 학점이 좋다고 모든 절차를 다 무시하고 그 사람을 채용하지 않습니다.보통의 채용 절차는 서류->인적성고사->면접(실무자, 임원) 을 거칩니다. 아무리 학벌이 좋다고 해도 서류에서 걸러질 수도 있고, 인적성고사에서 물먹을 수도 있으며 여러 차례로 진행되는 면접을 모두 통과하리라고 기대할 수 없습니다. 수험생 입장에서 보면 제가 삼성전자에 입사할 확률을 거의 90%정도로 보겠지만 제 생각엔 객관적으로 최종합격할 확률이 30%도 안됩니다.

    2. 경제난
    경제를 잘 알지는 못하지만 취업난에서 이를 실감할 수 있는게 그냥 채용 공고가 안올라옵니다. 얼마 전, 현대자동차는 채용절차를 공채에서 상시채용으로 바꾸어 그때 그때 필요한 인력을 뽑겠다고 선언했습니다. 그 말은 필요 없는 부서는 뭐 스카이가 오건 하버드가 오건 그냥 채용 공고를 열지 않겠다는 이야기입니다. 현재 sk는 공채이지만 다음 분기때부터인가 상시 채용을 병행하기로 했고, 수 년 내에 완전 상시채용으로 전환할 예정입니다.

    3. 지역인재
    공기업 같은 경우는 최근 지역인재 티오, 블라인드 채용때문에 연고공에서는 정말 바늘구멍 뚫기가 되었습니다. 한 학번에서 한국전력에 취업하는 수가 전남대가 연세대의 10배~15배는 될겁니다. 문제는 연세대에서도 한전보다 못한 직장을 가는 사람이 수두룩하다는 것이죠.

  • 소나무풍경 · 1100906 · 22/01/26 12:15 · MS 2021

    4.이제 막 대학을 입학하는 입장에서 김새는 말이지만 여러분들 대다수는 그렇게 뛰어나지 않습니다. 포부를 가지고 공과대학에 입학들을 많이 하지만 특출난 재능을 보이는 친구는 제가 학교 다니면서 많이 보지는 못했습니다. 그래서 졸업생 대부분이 취업이라는 진로를 선택하게 됩니다. 입학 당시부터 연고대 공대 나오면 취업은 그냥 깡패다 라는 말을 무수히 들어왔기 때문에 취준 첫해에는 자신이 취업을 못하게 된다는 생각을 전혀 안하고 탑티어 대기업만 씁니다. 이 중 상당수는 못가고 눈을 약간 낮춰야겠죠.
    근데 보통 계약학과로 걸려있는 회사들이 전부 탑티어입니다. 점수가 거기에 못미쳐서 공과대학에 진학해야 할 사람들 중 나는 그냥 취업이나 하는게 목표다 하면 제 생각에는 계약학과에 진학하는 것 만큼 좋은 선택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랑 다르게 생각하신다면 반박 달아주셔도 좋고 질문 있으시면 하셔도 좋습니다.


    https://cafe.naver.com/kongdae 탑급학교 삼성전자합격 수기
    공대 진로 https://blog.naver.com/indjlee1994/222076050417 공대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