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시디언 [487454] · MS 2014 · 쪽지

2014-02-09 00:58:59
조회수 386

한국 교육에 관한 해외의 입장.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328060

다음 글을 요약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South korea’s school system has been declared a model by many foreign politicians, including US President Barack Obama, as the country ranks near the top of most global education rankings. Devoid of natural resources, South Korea’s recourse has been its human capital. An almost cult-like devotion to learning has been among the driving forces behind rapid economic development over the past half century, creating one of the world’s most highly educated workforces. But Productivity is 50 per cent of that of the US, with the contribution of labour input to GDP growth negative since 2009, partly because of late entry of young people to the labour market and the outdated nature of the education system. Randall Jones, Korea desk head at the OECD, said the current focus on rote learning, placing almost no value on analysis, creative thinking or practical application, bodes ill for the future.

Korea's _________ of education must take effect because of solving _________

1.passion  - poverty
2.passion -
unemployment
3.reform   -  low
Productivity
4.reform    - unemployment
5.competition - poverty










http://www.ft.com에서 발췌 및 제 조정 하였으며 지금 한국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지적이였습니다.

초반에 한국 교육을 오바마가 좋아하며 현재의 한국까지 이르게 하였지만 창의력 없는 암기성 교육떄문에 낮은 생산성과 GDP의 부정적인 성장을 보여주었다고 합니다.

고로 한국의 교육에 대한 개혁은 생산성의 향상을 위해 반드시 일어나야 한다는 글입니다.


답은 3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교육에 대한 외국의 시선이며 교육정도는 핀란드를 이어 2위지만 인적자원레벨은 낮습니다. 자정을 넘어 학원을 다니며 많은 양의 사교육을 투자함은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한국 교육의 현실이지만 그에 비해 낮은 생산성은 한국 교육이 낮다는 것을 절실히 보여줍니다.

우리나라의 교육과 창의력과 실질적인 유용성을 겸비한 교육이 되기를 바랍니다.

길게 쓰려고 했는데 자야 되네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