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3205445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정외과 대학원은 가면 뭐하나요 근데
-
가끔 틀딱취향 자처하는 사람들 있는데 다 가짜임 이사람들은 노래가 옛날에 나왔을...
-
신기하다 참
-
잘 입을 수 있는데 쪼꼬미 난쟁이 빗자루네 ,,
-
슬슬 잘시간이네 2
-
나는 개똥벌레 4
친구가 없네
-
안녕하세요! 생명과학 1 과목을 가르치는 피램수강생입니다. 과외 학생들 수업에...
-
진짜 멋있는데 이건 국어 영어 아랍어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베트남어 러시아어
-
뀽뀽
-
내시경 했는데 5
살면서 제일 끔찍한 경험이었음..
-
나는 죽고말거야
-
누구나 듣기 좋은 소리만 해야지!!
-
난 벙신이야.. 4
집가서 좀 쉬고왔는대 이어폰을 두고왔네 흑
-
혹시 대기 얼마나 되는지, 빠지는데 얼마나 걸렸는지 알려주실분.. 생1 지1 7월...
-
이제 아기세는 둥지로 돌아가야겠다...
-
재수생 0
우울증 제발요. 재종가면 점 나아질까요?
-
손 달달달 떨리는데
-
솔직히 진또/기실해 이 두개만 제대로해도 국치독/서 스킵해도 될거가튼•• 시간없으면...
-
Ebs 문학 한번 돌리려는데 좀 가벼운거 있을까요?
-
혹시 이게 무슨 내용인지 알수있을까요
-
약 때문에 3
살 엄청 찜 아
-
무지성 대입은 좀 해결된 것 같음. 걍 식 보이는데 미지수 값이 나왔다? 그러면...
-
생윤 작수 42점입니다. 생윤 더이살 점수올릴자신이없어서 지금이라도 세지로...
-
향후 서울대 사회학과의 무구한 발전에 기여할 시현님의 모습을 보니 너무 기대돼요!!...
-
시즌 1이다 보니까 킬러보다는 비킬러에 힘을 준 듯 합니다. 암기가 덜 돼 있거나,...
-
뀽뀽
-
2012년~2016 시절에 난 머물러있어 너무 어린 시절이 그립고 현재의 시간은 너무 싫어
-
시발 잇올 대기 0
뒤지게 안 빠지네
-
부산가면 꼭해라 12
이런거닛나요
-
학기 초에 인싸 되면 어떨까라는 생각 ㄹㅇ 취소. 왜케 귀찮지. 서울까지 통학하는데...
-
슬슬 불쾌지수가 높아지는 계절이 온것같음 방온도 28도 6월 중순까지 선풍기만으로 버틸 수 있으려나
-
드릴3 병행 ㅇㅇ
-
사회학 너무 좋은 과목이니까 많이 하세요^^ 문화인류학과 수업도 꼭 들어보시길...
-
앞으로 집에서 못 뜯겠다 어후
-
자이스토리를벅벅 1
글애 순서 정하기.
-
ㅈㄴ휴학 마렵네 1
이 수능 중독자새끼!
-
미용실 나와서 폰거울 봤는데 미용실 거울로 봤던 것보다 괜찮네요 근데 여기 거의...
-
있으시면 저랑 얘기 좀 해주세요 ㅠㅠ
-
유대종 진짜 1
진또 체화서 두께 장난없네ㅋㅋ
-
이감 작년에 풀고 올해도 푸시는 분들 이거 작년에 본 지문 좀 있는거같지않나요?
-
큐브 qcc에 14
대학 잘 가지도 못했으면서 칼럼 쓰는 사람들은 뭐지 아 저격 아님 ^^ 그냥 궁금해서
-
[속보] 윤미향 '위안부 할머니 이용해 사익 추구' 발언 김은혜 고소 6
윤미향 무소속 국회의원이 자신에게 "위안부 할머니를 이용해 사익을 추구했다"는...
-
이원준 선생님 강의에서 보면 화살표로 촉진, 억제 PCS 패턴 지금은 안 쓰시지만...
-
국밥vs뼈해장국 2
저메추
-
7월부터 수학 서바 가려고 하는데 어떤강사가 어떤식으로 가르쳐 주는지 잘...
-
생긴건 ㅈ밥인데 사람 환장하게 만드네
-
휴르비 실패 2
질문하고 가겠읍니다 인강강사분들 모의고사 시즌은 추후에 구매가능할까요? ex) 6평...
-
오늘부터 1일 2
6모전까지 휴르비
-
난이도 안 낮추고 그대로 갑니다?? 1컷 80점 시험지 그대로 갑니다!!?
-
철학과->전과 복전 다전 필수 전출제한-과탑만 전과가능->사실상 전과 불가능 CPA...
본인의 문학 풀이 메커니즘을 정리하자면?
이분법적인 사고로 접근하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A or notA)
만약 '구체적'이라는 단어가 있으면 '이 정도면 구체적인가?'처럼 정도를 고민하지 말고
'이건 구체적인가 아니면 추상적인가'이렇게 이분법적으로 나눠서 둘 중 하나를 고민하는 식으로요
또 하나 가장 중심에 두어야 할 생각은 '평가원의 그 깐깐한 교수들이라면 이걸 정답으로 인정할 것인가?'인 것 같아요. 이걸 염두에 두고 기출 문학을 하나의 교과서처럼 보면서 어떤 건 인정하고 어떤 건 인정하지 않았는가, 그 '적정선'을 파악하는 것이 문학에서는 제일 중요해요.
작년 수능 문학도 비교적 빠르게 풀고 다 맞았는데, 풀면서 '평가원이라면 뭘 정답으로 두었을까?' 이 생각만 하면서 빠르게 맞는 선지만 읽고 고르고 넘겼어요.
이 정도면 구체적인가? 를 고민하기보다는 평가원이 이 정도의 표현에 대해서는 구체적이라고 판단할 것이다 요런 식의 공부를 해야 한다는 건가요?
1. 정도의 판단을 하지 말고 이분법적인 판단을 하라.
2. 기출을 보면서 '평가원이 이 정도의 표현에 대해서는 A라고 할 것인가 notA라고 할 것인가'를 체화하는 공부를 하고 시험장에서도 역시 그 기준으로 선지를 대할 것
이 정도로 요약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답변 감사합니다! 님한테 과외받으면 든든하겠네요김상훈! 김상훈!
오 맞아요ㅋㅋㅋㅋ저 고2때 3등급 나왔다가 겨울에 김상훈 현강 빡세게 소화하고 나서 고정 1등급으로 올랐음....
어캐했노
본인 항상 1컷 +한두문제인데 반수시작 뭐부타 할까요
인강을 선호하시는지 기출, 사설 어떤 것에 더 중점을 두시는지 알면 더 구체적으로 추천해드릴 수 있을 것 같은데....
우선 저 같은 경우에는 기출분석 + 사설(이감이나 재종자료) 이 투 트랙으로 공부했어요. 기출은 시험지 형태로 뽑아서 풀면서 '평가원의 적정선'을 내 몸으로 흡수하려고 노력했고, 독서 경우에는 기출을 분석하는 것보다는 새로운 정보를 빨아들이는 '근육'을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늘 이감의 긴 지문 복잡한 지문을 읽으면서 그걸 100%이해하고 다 맞을 수 있도록 하루에 1,2지문씩 계속 연습을 했어요.
어릴때 책 많이 읽으셯나요?
1년 평균 몇권 정도? 어떤책?이런거 알려주세영
초등학교 때 책 제일 많이 읽었구요....ㅎㅎ 초등학교 때는 짧은 책 200권씩 독후감 써서 상 받았던 기억이 나네요ㅋㅋㅋㅋ너무 옛날 얘기긴 한데
그것보단 저 재수학원 다닐 때 밥먹을 때마다 항상 전자책 읽었는데 그게 가장 큰 도움이 됐어요. 독서에 자주 나오는 소재인 인공지능, 블록체인, 자율주행, 그리고 경제는 그냥 경제학입문 대학교재랑 채권 관련 책자 같은 거 읽었는데 이번 수능에서 정말정말 큰 도움 받았습니다....배경지식 요즘 중요해요
ㄱ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