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3205445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브라운 레드 사기 Swc 팔레트 만들기 영어 교육청 2개년 프린트하기 도시락 사달라고 엄마 닦달하기
-
30일 그냉 훅가고 이거 x12 하면 12년이고 x120 하면 10 년임
-
쉬는시간이 ㅈㄴ 너무길어서 짜증남
-
수능당일 가채점 주작 나왔을때부터 성적발표 당일까지 스스로 해명하면 폭로 안하겠다고...
-
러셀 질문 3
6평전에 블루로 들어갔다가 6평 22211 받고 평백 94/3합5인데 이거 서의치나...
-
다들 뭐함 4
심심한데 놀아줘라 크아아악
-
기출 변형인거같은데 무슨 기출문제인지 알려주실분 계신가요?
-
더워더워더워~ 0
개덥네진짜아ㅠ
-
요새 교대 6등급인데 40대후반에 교대들어가서 50대초에 졸업하고 62살까지 기간제...
-
눈 낮은거임?ㅋㅋ
-
수학 고점온 듯 1
요즘 28,29,30들을 손쉽게 풀어내고 있음
-
서프후기 2
국어 무난 수학 무난 영어 어렵 탐구 매우어렵...
-
물리하다 정신병 올 거 같애여… 막 너무 어려워서 못 해먹겠어요는 아닌데, 기분...
-
정승준 남지현 누가 더 조을가요ㅠ 6모 확통 84점이ㅂ니다
-
정은경, 재산 56억 원…배우자, 손소독제 관련 주식 신고 0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약 56억 원의 재산을 신고한 것으로 5일...
-
교재 ㅇㅈ 3
허허
-
칼럼을 읽기전엔 경력과 성적을 확인하자. 과외를 받기전엔 당당히 성적표를 요구하자....
-
개념 암기량 뭐가 더 많아요?
-
일단나부터
-
미적 다 맞은거 같은데 다들 난도 어땠음?
-
울룰루~ 2
너는 누구니? 서그럭서그럭 지워지겠지 누구냐고?
-
서프 현장응시함 4
미적 96말곤…..
-
울룰루~ 3
맴매야 맴매
-
진짜 대치동 어둠의 스킬인거심?
-
저격해요 2
저... 격해요 이젠 이것도 고전이 돼 버린...
-
흐흐흐 라죽완성 11
개죽이냐는 나쁜 말은 ㄴㄴ
-
잠 잘 못잘때와 충분히 잤을 때 공부 효율 자체가 달라지는듯 잠 잘 안자면 지문도...
-
권은비미쳤다 2
레전드 갱신
-
내일 시험보는것보다 이게 더 떨린다
-
정성추 0
-
칸타타님 4
N제는 안 만드시나.. 과년도 히카 모아서 내면 되게 좋을 것 같은데
-
보현 실시간으로 봤는데 18
현타 ㅈㄴ왔었음 그때 두시간 천하때 갑론을박이 개꿀잼이었는데 오수하면 국어...
-
내랑 네는 3
내랑 네는 둘 다 발음이 똑같아서 구분하기도 어려운데 왜 이런 식으로 발전했을까요?...
-
늦어서 죄송합니다ㅠㅠ 열심히 만들었는데 오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요즘 자작문제...
-
라죽 ㄱㄴ?
-
귀납적으로 성적 점프 전에는 항상 기출을 한번씩 돌렷단 말이지
-
재능 vs 노력 3
재능 압승
-
잇올 버스 타고 왕복 40분 , 셔틀이 없어서 버스 타야함 새로생겨서 시설이 완전...
-
누가 미래 기대치 더 높음? 계약학과 제외
-
솔직히 8
좀 그렇다
-
음료 추천 받음
-
여성의 생식기를 뜻하는 '십'은 단독으로 나타나는 예시를 찾기 어렵지만 합성어...
-
영어 이제 워드마스터 거의 다 외워가고 6모때 69점 순수실력 64점이에요 6모...
-
별로 의미도 없고 맨날 형식이 뻔해서 변별력도 별로같은데 차라리 극한이나 역함수,...
-
엄준식 그는 대체..
-
아들아 요즘에 그렇게 커뮤같은거 해서 망하는 애들이 많다더라 9
아들아....혹시 설마 오르비 같은거...하니...?
본인의 문학 풀이 메커니즘을 정리하자면?
이분법적인 사고로 접근하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A or notA)
만약 '구체적'이라는 단어가 있으면 '이 정도면 구체적인가?'처럼 정도를 고민하지 말고
'이건 구체적인가 아니면 추상적인가'이렇게 이분법적으로 나눠서 둘 중 하나를 고민하는 식으로요
또 하나 가장 중심에 두어야 할 생각은 '평가원의 그 깐깐한 교수들이라면 이걸 정답으로 인정할 것인가?'인 것 같아요. 이걸 염두에 두고 기출 문학을 하나의 교과서처럼 보면서 어떤 건 인정하고 어떤 건 인정하지 않았는가, 그 '적정선'을 파악하는 것이 문학에서는 제일 중요해요.
작년 수능 문학도 비교적 빠르게 풀고 다 맞았는데, 풀면서 '평가원이라면 뭘 정답으로 두었을까?' 이 생각만 하면서 빠르게 맞는 선지만 읽고 고르고 넘겼어요.
이 정도면 구체적인가? 를 고민하기보다는 평가원이 이 정도의 표현에 대해서는 구체적이라고 판단할 것이다 요런 식의 공부를 해야 한다는 건가요?
1. 정도의 판단을 하지 말고 이분법적인 판단을 하라.
2. 기출을 보면서 '평가원이 이 정도의 표현에 대해서는 A라고 할 것인가 notA라고 할 것인가'를 체화하는 공부를 하고 시험장에서도 역시 그 기준으로 선지를 대할 것
이 정도로 요약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답변 감사합니다! 님한테 과외받으면 든든하겠네요김상훈! 김상훈!
오 맞아요ㅋㅋㅋㅋ저 고2때 3등급 나왔다가 겨울에 김상훈 현강 빡세게 소화하고 나서 고정 1등급으로 올랐음....
어캐했노
본인 항상 1컷 +한두문제인데 반수시작 뭐부타 할까요
인강을 선호하시는지 기출, 사설 어떤 것에 더 중점을 두시는지 알면 더 구체적으로 추천해드릴 수 있을 것 같은데....
우선 저 같은 경우에는 기출분석 + 사설(이감이나 재종자료) 이 투 트랙으로 공부했어요. 기출은 시험지 형태로 뽑아서 풀면서 '평가원의 적정선'을 내 몸으로 흡수하려고 노력했고, 독서 경우에는 기출을 분석하는 것보다는 새로운 정보를 빨아들이는 '근육'을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늘 이감의 긴 지문 복잡한 지문을 읽으면서 그걸 100%이해하고 다 맞을 수 있도록 하루에 1,2지문씩 계속 연습을 했어요.
어릴때 책 많이 읽으셯나요?
1년 평균 몇권 정도? 어떤책?이런거 알려주세영
초등학교 때 책 제일 많이 읽었구요....ㅎㅎ 초등학교 때는 짧은 책 200권씩 독후감 써서 상 받았던 기억이 나네요ㅋㅋㅋㅋ너무 옛날 얘기긴 한데
그것보단 저 재수학원 다닐 때 밥먹을 때마다 항상 전자책 읽었는데 그게 가장 큰 도움이 됐어요. 독서에 자주 나오는 소재인 인공지능, 블록체인, 자율주행, 그리고 경제는 그냥 경제학입문 대학교재랑 채권 관련 책자 같은 거 읽었는데 이번 수능에서 정말정말 큰 도움 받았습니다....배경지식 요즘 중요해요
ㄱ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