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데 대학생 커플분들은 16
데이트비용 이런거 어케 감당하시는건가요? 돈 꽤 깨지는거같던데... 다들 용돈을...
-
이걸 드릴 4년째 사면서 처음 보네 ㅋㅋㅋㅋ
-
닉값 ㄱ
-
진짜 궁금하네.. 근데 존잘존예들이 도데체 커뮤를 왜하는거지 디엠카톡은 쌓여있을거고...
-
경희대경제학과 0
정시로 어느정도여야가나요 08이라 이렁건 모르지만 더학교에꼭가고싶어요 정시로어느정도받아야하나요
-
??
-
쎈 b단계는 다 풀었고 기출 풀려는데 쎈 c단계 필순가 싶어서요
-
복귀완뇨
-
포카칩 재밋나 2
함 사볼까
-
새폰 좋긴좋네 0
흐흐흐ㅡ
-
강사 qna로는 집합, 순열과 조합을 공부하라고 코멘트 받았습니다. 중학수학에 있는...
-
남자들의 뭐로 봐야되지..?? 일단 단순 야동이라고 치기에는 여자들 중에서도 BL...
-
엔터탭엔터엔터탭엔엔탭 13
엔엔탭엔엔탭엔엔탭엔엔탭 엔탭엔탭엔탭엔탭엔탭 내일 피방에서 수강신청연습 좀더 할예정...
-
많을 것 같은데
-
04 Let's go 너네 우리 현역이들 어쨌어
-
수학책 제목에 1
Advanced -> 끔찍한 난이도
-
인생 억까가 너무 심해서 살기 싫어짐
-
수학문제 푸는거 뒤에서 지켜보다가 뒤통수후리기 5등급이 N제풀면 뒤통수후리기...
-
1.건장한 성인남성 2.보1추 라 할때 1+1,1+2,2+2중에 뭘보는거임
-
기출 거의 끝내서 3모후에 N제 풀어보려고하는데 시중에 N제들이 너무 많아서 뭐부터...
-
찐따 테스트 결과 (개찐따) - 테스트하로
-
내마음대로쌕칠해엑
-
사실 난 이런 맘이 처음인데더 기다려줄게 더 기다려줄래 난 여기 있을게 여기...
-
글만쓰면 태그에 정치가 오토로달리네
-
본인 유일한 특기 12
동승자 기준 ㅈ같이 주차하기
-
서 푄혀인상 봉우리를 떠올리며 하디바인베르크 법칙이 생각난다면 어떨 것 같음
-
평면기하 9
레전드 낭만,공간기하흠.
-
ㄷㄱㄷㅇㄷ 4
-
24수능으로 서성한 공대 재학중입니다 취업 문제때문에 메디컬 도전으로 마음이 기우는...
-
좀 흔들리네
-
근데 정시 교과반영은 도대체 어느정도 영향인거임요? 0
뭐 1000점중에 50점 또 그중에 40점은 기본점수 이러는데 수능성적 대비해서...
-
서울대 사범대 될려나요... 사진은 현역 성적
-
독서 고난도 지문들만 모아서 풀어보고 싶은데 추천해주실만한 문제집이나 자료 있으실까요?
-
옵만추 소신발언 1
옵저버 만난 추신수
-
뭐임요? 백분위 표점 알빠노고 1년동안 시간 박았을때 어떤게 더 47~50 고정이 더 빠를까요?
-
의뱃들 학교 다 까면 27
동기가 한 명은 있을 것 같은데
-
근데 누군지 몰라요 사실애니 본거 없음
-
인터파크 콜드 플레이 티켓 -137,000 식비 -30,000 여행 숙박 예약...
-
옵만추 해본분 후기 조
-
풀이까지 올려주시면 첫분 삼만덕
-
메디컬 목표로 n수 하고있는데 수학 고정 1임. 수학은 충분하다고 느껴져서 현역 때...
-
나도 밥약 해보고 싶다 10
-
몇 시간을 태운겨.. 그래도 뿌듯하다
-
여기는 악기 못다뤄도 선배들이 처음부터 가르쳐주는 곳이라 베이스 경험 없는데...
-
둘 다 붙으면 어디감?
-
기하 조아하는 사람 마느면 진짜 재밋는 기하 이론 하나 연재해볼까 햇는데
-
근데 외부생은 급식이용 못해서 도시락 들고 가야 하는데 전자레인지 없을텐데 뭐...
-
경희의가 뭔데 7
뭐임? 뭔일터짐?
개0추하고 푸는 중...!
3번
완전 반대인데...
1번?

1번 고른 이유도 알 수 있을까요?1번 선지: setting boundaries to the scope of freedom given to an individual
>>> 개인에게 주어진 자유의 범위에 대한 경계 설정
정도로 해석이 가능한데, "is that people do not live up to the standards~" 과
마지막 문장에서 "law becomes a necessary protection to guard against the failure of reason of morality." 를 보게 되면
루소나 칸트가 주장하는 법의 역할이 (이성적인 철학자와 비슷한 원칙을 가질 수 있도록) 비이성적인 인간들의 기준을 세워주는 것이기 때문에 1번 선지가 가장 올바르다 생각했습니다.
3번이 답이 아닌 이유를 덧붙이자면, 맨 앞 문장에서 철학자들이 법이 자유를 준다는 것 때문에 3번을 많이 고른 거 같은데, 'If everyone were fully rational ~, ~ nobody would sense that their freedom was being constrained'에서 이성적인 행동을 요구하는 법은 자유를 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유를 제약하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rather than 뒤에 올 내용은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를 제약한다는 내용이 와야 합니다
다시 읽어보니 알겠더라고요 ㅋㅋㅋ 좋은 문제 감사합니다
7ㅐ추 금지어라서 안 보이는 듯...
완전 반대인데...
3번이 답이 아닌 이유를 설명하면, 맨 앞 문장에서 철학자들이 법이 자유를 준다는 것 때문에 3번을 많이 고른 거 같은데, 'If everyone were fully rational ~, ~ nobody would sense that their freedom was being constrained'에서 이성적인 행동을 요구하는 법은 자유를 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유를 제약하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rather than 뒤에 올 내용은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를 제약한다는 내용이 와야 합니다
법은 자유를 보장하는게 아니라 자유를 제약한다고 이해했는데
그러면 rather than 뒤에는 자유를 보장한다는 내용이 오는게 맞지 않나요?
그래야 해석할 때, 자유를 보장하기보다는 오히려 비합리적 충동을 억제한다고 해석하죠
positive approach로 법을 설계하면 자유를 제약하는 결과를 낳기 때문에 negative approach로 자유를 보장해야 한다는 게 글의 내용이고요, 밑줄 친 부분은 negative approach에 해당하기 때문에 '자유를 보장하기보다는 비이성적인 충동을 규제하는 것'이 negative approach라는 3번 선지는 옳지 않고, '자유를 제약하기보다는 비이성적인 충동을 규제하는 것'이 negative approach라는 내용이 옳은 것입니다.
3
완전 반대인데...
음 1

고른 이유도 들어보고 싶어요모든사람들이 철학자들의 견해처럼 이성적인 동기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법은 자유를 제한한다는 의미가 와야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자유를 제한한다'보다는 '비이성적인 충동이나 욕구를 제한한다'가 문맥상 올바른 의미고요, 맨 앞 문장에서 철학자들이 법이 자유를 준다는 것 때문에 3번을 많이 고른 거 같은데, 'If everyone were fully rational ~, ~ nobody would sense that their freedom was being constrained'에서 이성적인 행동을 요구하는 법은 자유를 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유를 제약하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rather than 뒤에 올 내용은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를 제약한다는 내용이 와야 합니다
아 맞네요 그렇게 되는구나
다 대동단결 3번 ㅋㅋㅋㅋ
1번이네요. 다만 저라면 밑줄을 약간 다르게 쳤을 것 같습니다.
풀이시 가장 강력한 cue는 However;에 이어진 문장과 바로 뒷문장으로 생각했습니다.
밑줄을 어디에다 그었을 것 같나요?
negative approach와 positive approach의 대비는 인문학에서 흔히 등장하는 떡밥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저는 the 'negative' rather than the 'positive' approach to freedom에 밑줄을 그었습니다
선지가 결국 ~하는 것들을 말하므로 밑줄을 저렇게 끊어버리면 negative approach(rather~생략)과 setting boundaries 두 개가 동치라고 봐야 하는데, 완전히 동치라고 보기에는 조금 매끄럽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negative approach 자체만으로 인간에게 어떠한 boundary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실제로는 negative approach를 통해서 법이 '작용' 하는 것이 setting boundaries로 보는 것이 맞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래서 밑줄을 저 줄에서 친다면 조금 더 앞까지는 쳐주고 약간 수정했을 것 같고 선지도 조금 수정했을 것 같습니다. 구조적인 문제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매끄러움에 대해 생각을 해서요.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덧붙이자면, 인간의 비이성적 면모 때문에 법은 (기존 철학가들의 언급한 것이나 인간이 fully rational하다는 생각과는 다르게) 실제로는 ~하다라는 것이 이 문장의 핵심인데, 핵심보다도 계속 인간의 비이성적 존재임을 계속 언급하는 등 빌드업이 조금 루즈하다고 생각합니다. 원문의 문제겠지요.
그래서 오히려 저는 핵심이 있는 뒷쪽을 중심적으로 독해하도록 빈칸추론으로 만들고, 빈칸을 law generally___________ 하면서 뚫었을 것 같습니다. 좀 쉬워지긴 했겠지만요.
문제 잘 풀었습니다.ㅎㅎ
사실 함축 의미 문제를 만들 지문을 찾다가 negative와 positive approach를 대비해주는 구문을 보고 삘이 와서 만든 문제입니다
밑부분 자체는 negative vs positive approach라는 좋은 대립쌍이 있지만 위에는 그냥 좀 떨어져서 인간은 비이성적이야. 이성적이었다면 ~했을 거고 ~했을거야... 이런 쓸데 없는 빌드업이 많달까요...ㅎㅎ 원문의 문제가 큰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