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브브로옹 [1097310] · MS 2021 · 쪽지

2022-01-13 18:56:12
조회수 775

유리천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998985

전 남자인지라 그런게 어디있냐는 스탠스였는데

최근 여사친하고 대화 중 출산,육아등으로 취업시 여성이라서 알게모르게 받는 디메릿이 있다고 하더라구요


유리천장의 용어 뜻이 여자라서 승진이 안된다라면 전 그런건 없다라고 단호히 말할 수 있을거같은데, 기업에서 어차피 애낳고 나갈건데라는 생각으로 여자를 잘 안뽑는걸 유리천장이라고 부른다면 그게 없다고 할 수 있나라는 생각도 들어서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음믜해 · 1068610 · 22/01/13 18:57 · MS 2021

    지금 엄청난 저출산시대인데 유리천장이라고 해도 그 해당하는사람이 극소수에 달하지않음?

  • 누. · 1114935 · 22/01/13 18:58 · MS 2021

    예전 1/4 수준이어도 꽤 보편적인 과정이라 생각함

  • 음믜해 · 1068610 · 22/01/13 18:59 · MS 2021

    여성에 대한 유리천장 이러는건 좀 웃기다고봄 임산부에 대한 적절한 대우및 조치는 필요하다고봄 ㅇㅇ.

  • 브브브로옹 · 1097310 · 22/01/13 19:01 · MS 2021

    ㄴㄴ 제가 말한뜻은 어차피 여자는 애낳음나가니깐 동스펙이면 남자뽑자! 이런거요

  • 음믜해 · 1068610 · 22/01/13 19:06 · MS 2021

    차별이죠 그건

  • 나 씹덕아니야(울의보내줘) · 1114216 · 22/01/13 18:58 · MS 2021

    능력이 있는 사람들은 잘 올라감

  • 브브브로옹 · 1097310 · 22/01/13 19:00 · MS 2021

    ㄴㄴ 올라가는 거 말고 취직이요

  • 일규야 · 1061206 · 22/01/13 18:58 · MS 2021

    전 경력단절은 좀 쳐낼필요가 잇다고 봄

  • 커여운호노삐 · 897392 · 22/01/13 18:58 · MS 2019

    사회생활 2년 늦게 시작하는 디메릿이 더 큰듯

  • 孔明 · 1083914 · 22/01/13 18:58 · MS 2021

    없음

  • 01._.01 · 896053 · 22/01/13 18:58 · MS 2019

    경력 단절은 무조건 있음
    유리 천장은 예전엔 있었음

  • 01._.01 · 896053 · 22/01/13 19:02 · MS 2019

    유리천장이 있었던 거랑 별개로 임원직 이상으로 올라가는거 같은건 개인의 성격(야망?)같은 것도 무시 못한다고 보는데, 남성이 여성보다 더 도전적이고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정규분포 상으로도 많다고 생각함

  • 브브브로옹 · 1097310 · 22/01/13 19:02 · MS 2021

    아 그렇군요

  • 한수덕분에국어황 · 646392 · 22/01/13 19:00 · MS 2016

    입시부터가 개인장벽

  • zoonosis · 609392 · 22/01/13 19:03 · MS 2015

    영장받고 애낳으면 ㅇㅈ

  • 학이 · 1073197 · 22/01/13 19:09 · MS 2021 (수정됨)

    유리천장 뜻이 어느정도 올라가다가 보이지 않는 벽에서 가로막히는거라서요... 가령 아무리 능력이 뛰어나도 승진이 과장에서 막힌다던가.. 애초에 뽑지를 않는건 유리천장이라고 하기엔 좀 뭣한거 같아요.. 그건 그냥 차별??

  • 브브브로옹 · 1097310 · 22/01/13 19:10 · MS 2021

    아 그니깐 그 차별이 실존하냐에 대한 얘기였어요

  • 학이 · 1073197 · 22/01/13 19:12 · MS 2021

    회사마다 다르지 않을까.. 싶네요

  • Plover · 1086974 · 22/01/13 19:26 · MS 2021 (수정됨)

    기업의 입장은 백번 공감가지만
    남과 여가 공존하는 사회에 있어서
    어느정도 이익의 손실은 감수할 수 있도록
    제도적 방안이 마련돼야한다고 봄

    그리고 제가알기로는 (아니면 말해줘요) 휴가가 유급휴가인걸로 알고있는데, 유급휴직인거 꿀 제대로 빨고 나가는 분들때문에 오히려 기업에 생돈 나가는 경우가 많음. 이런 부분도 개선해야함. 악이용이 줄면 여성을 고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음

    그래서 있냐 없냐라고 하면
    애매함. 없진 않지만 크다고도 말 못하겠음
    물론 작은거라도 고쳐나가야함은 당연한거고

    같은 조건에서는 남자를 뽑겠지? 라고 할수도 없는게

    몇살에 취업하는지, 애는 언제 낳는지, 아니 낳긴 할건지 등등 변수가 너무 많음에도 불구
    적은 기댓값의 손실때문에 유능한 사람을 버린다? 그럴리 ㄴ ㄴ
    있다고 해도 소수의 케이스임

    남자만 해도 이직 등등 이탈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거든 ㅇㅇ

    아 그리고, 경단이 아니라 보통은 애 생기면 둘중 한명은 육아때뮨레 일이 하기 힘들건 아니면 전업주부가 편해서건 일을 그만두는게 자연스러워서 굳이 경력이 단절됐다기보다는 둘중 한명이 가정을 위해 기울이는 노력의 종류를 바꾸는거라고 생각함
    대게의 경우 여성분이 출산휴가 등으로 이어서 그냥 전업주부하겠다고 결정하시고.

    혹은 더 능력이 있다면 남편이 퇴사하겠지 ㅇㅇ

  • MeakAsHi · 975006 · 22/01/13 19:30 · MS 2020

    근데 여자라서라는 이유만으로 안뽑는다는걸 알아낼 수도 없고 얼마나 있는지도 모르는데 그걸 섣부르게 공론화하는건 위험하다고 봄

  • 카알 · 1062029 · 22/01/13 19:33 · MS 2021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