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 취업 현실 및 금융권 커리어 상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896904
안녕하세요 이번 2021년 하반기 증권사 IB부서 취직한 화석입니다 아마도 이번 글이 오르비에서 쓰는 마지막 글이 될 것 같네요 (신입사원 교육이 곧 끝나기 때문에..)
문과 커리어 중 전문직 다음으로 불리는 커리어가 사실상 금융권인데, 금융권 취업 관련 질문이나 문과 취업 관련해서 마지막으로 도움드릴까 합니다~ 궁금하신 점은 댓글 남겨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안타까울 따름임 같은과 선후배,동기들 앞에서도 똑같이 말할 수 있는지... 취업...
-
문과생 화작 5
국어 문법이랑 비문학은 실수안하면 다맞고 문학은 잘못해서 공부하고 있긴한데 화작에서...
비상경계에서 진출 가능한가요?
어디를 희망하시나요? 증권사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 소위 인기있는 IB와 리서치와 같은 프론트 쪽이 학벌(서성한 이상)과 학과를 많이 보고 리테일이나 관리쪽은 학벌과 학과를 상대적으로 덜 보는 편입니다
딱히 가려서 희망은 아니고..
제가 서울대 사회대(비상경)
재학중인데
복전아니더라도 부전공 상경쪽으로 안해놓으면 4학년때 학회 정도로는 어렵겠죠?
요즘 증권사 프론트 쪽은 워낙 문이 좁다보니깐 (IB기준으로 대형사도 많이 뽑아야 5명) 학회 및 금융권 진로와 스토리를 충분히 만들지 못하면 어려울 수도 있어요 아직 시간이 있으신 것 같으니 가시고자 하는 진로 및 직무부터 정하시고 그 직무 결에 맞는 인턴을 하시든 학회를 하시든 꼭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너무 무지성으로 있었네요
열심히 알아보겠습니다
중경외시 라인 경영(학점은 4.5 기준 4.2), 투운사, CFA lv.1, 토익980, AUM 20위권 운용사 인턴 정도면 IB나 프론트 서류컷 당하나요
중경외시 라인도 프론트 충분히 뚫을 수 있습니다 다만, 문이 정말 정말 좁아서 그 위의 대학 라인도 스펙이 모두 상향평준화 되었기에 특별한 본인의 스토리를 어떻게 푸는지가 관건일 것 같아요 보여주신 정량적인 부분에서 부족한 부분은 크진 않으나 이점 명시하시구 학점이 높기에 꼼꼼함을 강조하시고 운용사 인턴에서 시킨 일만이 아닌 ‘자발성’을 발휘해 좋은 성과를 낸 경험 등을 강조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CFA lv.2까지는 필요없다고 보시나요? 사실 지금 시간을 어떻게 써야되나 고민이 많이 되는데,, 인턴의 경우에도 학벌이 이렇다보니 cfa랑 투운사로 좀 비벼서 엄청 운좋게 된 케이스라... 아니면 금융학회 같은 활동을 하는걸 추천하시나요? (사실 베스트는 인턴 경험을 더하는거겠지만 체험형 인턴이 많지 않더라구요..)
시간이 되신다면 Cfa도 추천을 드리는데 큰 메리트는 없고 정량적으로는 큰 부족함은 없어보이셔서 ipo를 꿈꾸신다면 여러 기업의 벨류에이션도 직접 구해보시고 원하시는 직무에 적합하게 미리미리 면접 준비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한양대 경제금융학부에 입학예정인 22학번인데요! 서강대 경제학과에 가고싶어 반수 고민중입니다. 한양경>서강경에 옮기기위해 1년을 투자할 가치가 있을까요?? 도저히 스카이 상경은 못갈거같습니다..
극구 반대합니다 그 1년을 차라리 직무 관련 인턴 경험을 쌓는걸 추천드려요 증권사에서 서성한에서 서강대라서 붙이고 한양대라서 떨어뜨린다는 소리는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나이가 한 살이라도 어리다는 강점이 오히려 클 것 같네요
금융권취업에서 고대어문이랑 서강대 인문복전 해서 경영이랑 어디를 더 추천하시나요?
고대는 전과나 복전이 불가능할까요? 학벌이 중요한 산업이라 전과나 복전이 가능하다면 무조건 고대를 가는걸 추천합니다
증권사는 근속연수가 되게 짧지 않나요? 증권사에서 못버티고 퇴사하는 사람들은 어디로 이직하는지가 궁금해요
증권사마다 분위기가 다르지만 말씀하신대로 프론트는 계약직 형태가 많긴 합니다 하지만 증권사 프론트가 좋은 이유는 일이 어렵고 전문적이기 때문에 운용사, vc, 사모펀드 등 다른 금융업에 갈 수도 있고 일반 대기업의 재무팀 경력직으로도 들어갈 수 있겠네요 증권사 프론트의 커리어는 일반 대기업보다는 전문성이 높아서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고려 비상경계에서 여의도 증권가 진입 힘들까요?
위의 서울대 비상경계 답변 참고해주세요~ 결론은 상경계 애들도 스펙이 좋기 때문에 남들이 다하는거 + 자신만의 무기와 스토리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인턴, 학회 활동은 필수입니다
한양대 상경계 2학년 2학기 재학중인데
이번 고려대 사회학과 합격했습니다.
군필입니다.
대학을 옮기는게 현명한지 궁금합니다.
칼졸업하면 나이는 27~28이 될거같아요.
올해 1년 딱 cpa 공부 정말 빡세게하고 안되면
바로 턴해서
학회 활동 + 증권사 인턴을 거쳐
IB 입사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한양대 상경계로도 IB는 충분히 가실 수 있구요 2년이란 나이 격차가 취업시장에서 상당히 큽니다 차라리 복학하셔서 학회와 직무 관련 인턴 등을 준비하셔서 스토리를 쌓아가세요 저라면 stay..
답변 감사합니다!
그럼 혹시 아이비는 평균 남자 입사 나이가 몇살장도 인가요?
IB는 평균 27살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많으신 분들은 31살도 있어요 명심할 점은 어릴수록 가산점 큽니다!
편입생에게 학벌에 대한 패널티는 없나요? 수도권 사립대또는 삼육대라인에서 편입해서 서성한정도로 간다치면 (정말 잘하면 연고대) 학벌에대한 패널티는 없을까요?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편입에 대한 면접 공격은 올 수 있으니 이 부분만 잘 방어하시면 될 듯 하네요
좀 양심없긴한데
아주대 금융공학과로는 ib든 pb든 어렵죠?
Pb는 학벌 거의 안 봐요 ib는 힘들다고 봅니다
한파경 진짜 여의도 잘 가나요
한파경, 글경, 글리더 이런거 기업에서 잘 모르고 그냥 상경계 출신이라는 것만 압니다 특정과 자체에서 오는 메리트는 없다고 보시는 게 맞고 선배들에게 정보 등의 도움은 더 받을 수 있겠네요
혹시 프론트, 미들, 백 각각에서 학벌로 손해를 보지 않는 마지노선 라인이 어딘지 말씀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또 프론트, 미들, 백 중에는 어디사 학벌을 제일 많이 볼까요?
당연히 프론트가 학벌을 제일 많이 봅니다 대략적으로 서성한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중경외시도 뽑긴 합니다만 소수입니다 그리고 나머지 미들과 백은 딱히 학벌 마지노선이라 할 게 없다고 생각해요 건동홍 라인 분들도 많이 계세요
국숭세단라인 통계학과는 여의도 증권사 힘든가요?
설경제보다 설경영이 증권사 많이 간다는데 맞나요? 경제썼는데 후회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