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는 쓸수록 좋아진다는 말에 동의하시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888085
여기서 머리=사고력이라 할 때, 물론 사고력에도 많은 종류가 있고 어떤건 노력으로 극복이 될 수도, 어떤건 그렇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일단 수능에 쓰이는 사고력으로 한정한다면 맞는 말일까요?
전 일단 타고난 머리가 그렇게 뛰어난 것 같지는 않아요. 그런데수능공부를 할수록 이 시험은 머리가 잘 돌아가는 사람을 가려내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여기서 전 어떻게 보면 이상적인 생각을 했었죠. '수능은 천재를 가려내는 게 목적인 시험이 아니며 수능에서 요구하는 사고력은 (노력의 방향을 잘 잡는다면)후천적으로 커버가 가능할 것이다.' 그래서 이걸 나름대로 합리화시킨답시고 이런 상상을 해보기도 했어요. 운동을 하면 근육이 붙는 것처럼 머리도 열심히 굴리면 뇌세포가 빽빽해지는(?) 상상이요... 물론 아무런 근거도 없습니다 ㅋㅋㅋ 사실 이렇게라도 생각을 안하면 똑똑하게 태어나지 않은 저같은사람들은 너무 암울하잖아요. 결국은 한계가 정해져 있다는 사실을 견디기 힘들었을 것 같아요. 아무튼 이런 생각을 한 이후로 모르는 게 있어도 어떻게든 혼자서 풀어내고야 마는 식으로 공부방법을 바꾸었습니다. 다행히 국어수학은 성적이 고정3에서 1등급까지는 왔네요... (탐구는 공부량이 턱없이 적어서인지 별로 오르지는 않았습니다 ㅠㅠ)
그런데 최근 들어 고민이 하나 생겼습니다. 사실 전 더 올라가 백분위 98정도까지는 가보고 싶단 말이죠? 그런데 저에게 정해진 한계가 있는지, 그 한계는 어디인지를 모르겠으니 한번 더 도전해봐도 될지 여기서 그만둘지를 도저히 모르겠어요... 위에서 말한 제 뇌피셜처럼 수능에서 요구하는 사고력은 노력으로 기를 수 있는 것들이라면 더 해보겠는데 이게 사실 근거없는 자기합리화였단 말이죠? 그래서 더 많은 분들의 의견을 들어보고자 이글을 써 보았습니다. 과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플퀘는 아이고… 0
잘했는데 집중력 이슈가…. 마지막 세트에서 너무 허무하게 무너져버리네
-
데이터 다쓰면 느린 데이터로 바뀌는거임? ㅅㅂ 무제한으로 바꿨는데 왜 데이터가...
-
작년보다 늘어나면 좃되는거고
-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글로벌 합류조합
-
기우제 성공…? 0
이번엔 진짠가…!
-
흐이이히히히히히히히
-
외쳐 3
07년생 수준 실화냐!!! 학력 저하!!!! 라고 하기에는 07들한테도 발림
-
실제로 드립니다 3문제 투척 댓글로 20/25/07 이런 식으로 제일 먼저 맞힌 사람이 만원 GET
-
흠 대체왜 1
더우니까말건네지말아줄래요. 이제 의자도 인싸지 에휴
-
내신 멸1망 0
2-1내신 4.0 예상 아.
-
올해 3모는 그냥 비교할 대상 자체가 없으니까 패스하고 5모(4모)끼리 비교해봤을...
-
국어 수학 높1 6
ㄴㅇㅅ 못 본 줄 안 과목들이 잘나오고 이정도면 1이지 한 과목들이 상대적으로 컷을...
-
북산엔딩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난 이 이야기를 참 좋아한다…
-
워마랑 기출에서 모르는 단어 외우는데 워마는 각잡고 외우는데 기출에서 모르는 단어는...
-
보수법 지문 푸는데 이진법 계산할줄 몰라서 개고생함ㅠㅠ
-
스탠딩 책상에 서서 공부하는데도 졸면 답 없는거임?
-
지구 엔제 0
훈식 풀커리 타는데 여기다가 오리온이랑 폴라리스만 추가하는거 ㄱㅊ? 1일 1실모에 엔제 딱 이렇게만
-
수학 ㅇㅇ
-
진짜임
-
좋지 아니한가~ 0
-
진짜 ㅈ같을 듯 인생 최초 2등급을 수능에서 맞는거임 심지어 2뜨면 최저도 못맞춤
-
프사 바꿈 2
어떰?
-
내가 왜 신검을 받아
-
수2 드릴드까지 다 풀었었고 고3 모고에서 공통은 한개정도 틀렸었는데 수2를 거의...
-
내 목표대학에서는 진짜 큰일남..
-
국어 박광일 수학 김기현 영어 김지영 한지 이기상 사문 윤성훈
-
새내기여야함 헌내기전형따위없음 그리고귀여워야함 헌내기도귀여우면고려는해봄 아피시온 마렵거든..
-
엔제 추천 좀 0
6모 공통 15 22만 틀렸는데 4규 다 풀었고용 다음으로 설맞이 시즌 1...
-
영어 어릴때 안해서 그 수업끝나고 나혼자 남아서 보충수업하는것도 했음.. 분명...
-
숫자는 클수록 좋은 거 아님?
-
국어 - 박광일 언매만 - 김동욱 수학 - 정승제 영어 - 이영수 런 전 물리 -...
-
이건 3이 올려치기 하는 경향이 있지만 낮1이 3가는 경우가 적지 않아서 완전...
-
근황 궁금해서 검색했는디 채널 없어졌네
-
분명 난 8시부터 공부를 시작했는데 4시간이나 지나버림
-
박광일 들으려면 필수인가
-
선착순 1명 10
1000덕
-
이감 피램 마닳 등등… 추천 부탁드려요!
-
궁금..
-
수학은 손 먼저 나가면 안대 ㅠㅠ
-
어떤애가 갑자기 자리에서 일어남 쌤이 왜 갑자기 일어나냐니까 이친구 왈 “제가 진보라서요”
-
선착순 1명 5
바보
-
똥을 싼다
-
므시 보는 사람 아무도 없는거 같긴한데 여튼 지금 개꿀잼 5꽉나옴
-
1등급~9등급이 다 범부이려면:
-
잘하는건 아니여도 이번 6모 백분위 92에 어려운 시험인 3모도 1이긴했는데 그에...
-
24: 90 93 99 25: 97 xx 88 26: 94 어 이렇게보면...?...
-
탈릅이나 할까 6
오르비에 뻘끌 뷰르릇 싸는거 ㅈㄴ 한심해서 탈르비나 할까
어느 정도
그럼 올라가긴 하는데 어느정도 한계가 있긴 하다 이정도로 받아들여도 될까요...?
그 한계 또한 시간을 더 들이면 가변적일 것 같습니다. 이 때 단위는 10년 단위로요. 보통 의대가는 학생들 10살부터 20살까지 빡세게 공부하니까요
의견 감사합니다!
저만 봐도 맞는말씀!
근데 시간이 오래걸려여
시간이 오래걸리는건 정말 당연한 것 같습니다 뭐든 키우려면 하루아침에 되는 건 없는 것 같네요...
오 저랑 같은 의견

머리를 쓸 수록 회로는 만들어진다고 생각합니다.그렇게 익숙한 과정엔 처리가 빨라지고 정확성도 높아지며 남들보다 더 깊은 사고가 가능해진다고 봐요
감사합니다!!
뇌도 쓰면쓸수록 변하죠. 뇌가소성이라는 말도 있고요.
전 올바른 방향으로 노력한다면 충분히 이루어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나이들어서는 어릴때에 비해 더 큰 노력이 들겠지만요.
뇌가소성 있는 거 보면 맞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