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독!!) KTX 유용한 꿀팁 알려드리겠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884885
현재 운행 중인 KTX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KTX-I 열차 (이하 ktx, 아래 사진)
이 열차의 가장 꿀인 차는 몇 호차일까?
답은 5호차이다. 그 이유를 알려드리도록 하겠다.
본래 ktx의 경우 2~5호차까지 특실로 예정이 되어 있었으니 일반실 수용인원 부족으로 인하여 5호차를 일반실로 격하시키고 좌석을 개량시켰다. 그 때문에 가격은 기존 일반실의 가격을 그대로 받지만 좌석 간격은 보통 일반실이 930mm인 데에 반해 5호차의 경우 960mm로 조금 더 넓은 좌석 간격을 일반실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5호차 1A 좌석의 경우 1인 좌석이고 맨 앞 좌석이기 때문에 앉아서 다리를 꼬고 있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바로 대각선 뒷 편에 있는 충전기 콘센트와 USB 어댑터를 쓸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열차 자체로 이동할 때 팁은 없을까?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바로 서대동부 ktx이다.
현재 ktx가 다니는 경부고속선의 경우 서울역과 부산역 사이 필수 정차역은 대전역과 동대구역이 있다. 이 필수 정차역인 대전역과 동대구역만을 필수 정차역으로 정차하는 ktx를 각 역의 앞 글자를 따서 서대동부 ktx라 부르는 것이다. 현재운행하는 서대동부 ktx는 하루에 2회 서울->부산 기준으로 08:30 행신발 017 열차와 20:30 서울발 065 열차가 존재한다.
이와 유사한 바리에이션으로 SRT는 서울역 대신 수서역을 넣어 수대동부 SRT라는 명칭으로도 불리기도 한다.
또한 경부선 이외의 경우로는 호남고속선의 필수 정차역인 용산-익산-광주송정만을 들르는 16:10 용산발 425 열차가 존재한다.
어쩌다 부산에서 일찍 서울로 갈 일이 있다면 06:10 서울행 008 열차는 타지말자. Ktx의 모든 정차역에 정차하여 도착시간이 09:03, 구포나 수원 경유 ktx를 제외하고(이들은 중간에 고속선이 아닌 일반 복선구간을 이용하기에 표정속도 자체가 느려진다.) 최고로 오래 걸리는 2시간 53분의 소요시간이 걸린다.
근데 사실 빠른 ktx가 느린 ktx를 앞지르기는 일은 없기에 그냥 먼저 있는 ktx를 잡아타는 것이 가장 빨리 가는 방법이다. 그리고 정차역이 적을수록 역 당 약 100원의 할증이 붙기 때문에 오히려 정차역이 많을수록 조금이라도 더 싼 가격에이용할 수 있음을 기억하자.
1. KTX-I 열차를 탈 땐 5호차를 이용하자 특실은 일반실 운임의 1.4배의 요금이 부과되고, 서울-부산 기준 특실 요금은약 9만원이니 되도록이면 5호차를 끊도록 하자. 다만 그만큼 인기가 많은 만큼 가장 빨리 표가 사라지는 곳이기도 하다.
2. 정차역 수가 많을 수록 역당 약 100원씩 운임요금이 싸진다. 다만 일반 복선구간을 경유하는 구포, 혹은 수원경유 ktx의 경우 약 6000원 정도 저렴한 가격에 이용이 가능하지만 3시간 2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3. 즐거운 새해 여행 계획을 짜보도록 하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재밌게 보셨다면 좋아요 꾸욱
행신발 017 서대동부 열차의 경우, 중간 정차역이 서울, 대전, 동대구로 총 3개 역을 지나므로 추가 운임이 붙지 않습니다.
또한 서대동부 최속달 ktx 기준 서울-부산 소요시간은 약 2시간 15분이며 완행 ktx에 비해 40분 가량 빠릅니다. 그 이유는 ktx는 정차를 할 때마다 감속부터 승객 탑승, 출발 가속까지 약 5~7분 가량 소요되기 때문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개추

꿀팁추와 이런거 어떻게 아셨어요?
싸게타는법 있나요? 서울까지 43000...넘비싸
아 나중에 청소년 관련 할인 칼럼도 하나 올려볼게요 :) 먼저 알려드리자면 코레일톡이나 웹 페이지를 통해 ‘청소년 드림’ 할인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만 24세 이하 청소년에게 지종 열차의 가격을 10~30% 가량 할인을 시켜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내일로 쓰면 서울-부산 왕복 50000이에요
그럴 일은 거의 없지만 당일치기인 경우 KTX는 1일 1회만 사용 가능하여 올 때나 갈 때는 일반열차를 이용해야 한다는 사실 ㅜㅜ

555이거 보고 고향행 KTX 5호차로 예매했습니다
갈곳이업는옯창진다라면여기좋아요꾸욱.
무궁화호얘매할때->1호차 ㄱ

올해 본 것중 가장 유익한 칼럼 ㅋㅋ그래서 부산->서울 빨리가려면 어느시간대를 예약하면되나요!
마지막에 써놨듯이 구포나 수원경유 열차가 아닌 이상 가장 먼저 타실 수 있는 열차를 타시는 게 가장 좋습니다 ㅎㅎ
신칸센처럼 빠른 열차가 완행 열차를 추월하는 일은 없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응애 나 철73덕 오댕
요약.
마지막이 두 줄 요약 해왔습니다 크크
개추
와 이거 아는 사람 꽤 생기겠네ㄷㄷㄷㄷ 1월1일에 성인됐다고 호텔잡고 올라온 사촌동생이 자기만 아는 거라고 그랬는데 이제 다 알게 생겼네… 울 사촌 우짜냐ㅋㅋㅋㅋ
사실 웬만한 직장인 분들이나 철덕은 이미 다 알고 있는 사실이죠 ㅎㅎ
짐이 없고 남의 시선받는 걸 좋아하면 5호차 2B자리도 좋지만 짐이있고 소심한사람이 2B에 앉으면 지옥 그자체

출입문 다닐 때마다 타인과 눈을 마주칠 수도 있는 자리네요서울방면기준으로는 앞에 좌석이 없어서 다리를 쭉펼수있다는 장점외에는 전부 단점뿐인 자리죠

앗.. 5호차...나만 아는 꿀팁이었는데
용익광 집갈때 개꿀
학생... 글 내려^^
Itx도 해주삼!!
어떤 걸로 써드릴까요?
각종 꿀팁요!
ITX 새마을이나 갓궁화
1. 객차 가장 뒤쪽 창문이 좋음
->
새마을은 조금 덜한데, 갓궁화는 오래된 만큼 뒷사람이 일어나려고 앞사람 의자 손잡이를 잡으면 의자가 흔들흔들거림. 대개 2-3시간 탈때 숙면취하는데 뒷사람이 의자 잡고 흔들면 개꼴받음. 근데 객차 맨뒤 창가는 꿀수면하면서 갈 수 있음
2. 객차 뒤 창문 중에서도 시간대별로
2-1.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갈 때
오전에는 열차 진행방향 기준, 좌측에 앉는 것이 좋고 오후에는 진행방향 기준 우측에 앉아야 햇빛 눈뽕 맞을 확률이 적음
2-2. 서울에서 지방 내려갈 때
앞선 2-1의 반대
많이 타본 입장에서 제가 아는 건 이 정도네요ㅎㅎ..
오호 감사합니다
일주일에 왕복 한두번씩타면 n카드 끊는게 맞는거죠??
ITX-새마을의 경우 호차 간 자동 출입문이 덜렁덜렁 거리는 경우도 있어서 문 바로 앞은 그리 좋지 못한 경우도 꽤 있다고 하더라구요
맞아요 생각해보니 어떤 객차는 뒷자린데
계속 문 덜그럭거리는 소리때매 거슬렸던 기억나네요.
그 정기권 계산해봤는데, 최소 주당 3회 이상 타는거 아니면 쌉손해더라구요. 저도 거의 금요일 땡치고 주말마다 서울 지방 왕복했는데, 그냥 끊는게 더 싸게먹혀여. N구간? 그런 정기권은 진짜 영업직처럼 전국 돌아다니는 분들이 사시면 이득
호옥시 철도갤??
아뇨 ㅎㅎ 디.씨 안 합니다!!

현명하십니다그럼 '그 위키'는 많이 보시나요?
그런 정보는 어디서 많이 얻으시나요?
그 위키와 유튜브 자료 참조 많이 하는 편입니다 ㅎㅎ
+시간만 맞으면 일반 ktx보다 산천타는게 무조건 좋음
이건 왜인가용
일반형은 자리 억지로 끼워넣어서 만든거라 산천이 훨씬 편하다고 철도계쪽 있는 친구가 말해줬네요(일반형은 13열 산천은 12열)

감사합니당산천이 KTX-I보다 일반석 좌석 간 간격도 넓직해서 좋긴 합니다.
산천 처음 탔을 때 KTX-I 타기 싫어지는 느낌도 받았으니.. ㅎㅎ 어릴 때의 제 마음이었죠
+ 내일로 패스
내일로 두 번째 이야기는 정말 이득만 볼 수 있는 구조라 생각합니다. 부산만 여행하고 와도 KTX 요금만 왕복 12만원 가량인데, 선택형으로 끊을 경우 5만원에 KTX 두 번 이용 가능하니.. 말 다 했죠 ㅜㅡㅜ
930mm→960mm면 3센치 넓은거임..?
그나마 일반실보다 조금은 넓다는..? ㅎㅎ
srt play 카톡 플친 추가하면 수서 동대구 부산까지 하행열차 아침 6시차 70%할인으로 갈수 있습니다 표도 널널함 상행은 50% 할인되고요
선생님 이 글 기억하고 지금 5호차 탔습니다 진짜 넓네요~ 감사해요
그리 큰 차이는 아니지만 같은 가격 대비 좋은 것은 맞으니 잘 되셨네요 ㅎㅎ 기억해주셨다니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