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돈표 [885810] · MS 2019 (수정됨) · 쪽지

2022-01-10 10:16:45
조회수 19,292

디지스트에 관해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884011

오르비에 지스트 유니스트에 관한 글은 정말 많은데 디지스트에 관한 글이 없어서 작성해봅니다. (개인적인 주관이 섞일 수 있습니다.) 학번은 고학번과 저학번 사이입니다.


1. 디지스트는 무학과인가?

가장 많이 나오는 내용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졸업하기 전까지 무학과가 맞긴합니다. 다만 졸업 시에 각 트랙에서 설정한 학점을 모두 채우면 전공으로 인정해 졸업장에 전공으로 표기해줍니다. 트랙으로 현재 설정된 것은 물리, 화학, 생물, 기계공학, 재료공학,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화학공학 이렇게 8개가 있고 복수전공도 가능합니다.


2. 디지스트 생명과학 원툴이다.

입시 커뮤니티들을 돌아다니다 보면 "디지스트는 뇌과학, 생명과학을 하려면 가야한다."식의 내용이 많습니다. 물론 생명과학 분야(정확히는 융합)의 IBS인 식물노화연구단을 가지고 있는 것도 맞고 초기에 투자를 많이 했던 것도 맞습니다. 하지만 각 랩의 실적을 비교해보면 생명과학(뇌과학)뿐만 아니라 재료공학, 반도체, 의과학에서도 밀리지 않는 실적을 뽑아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이에 관해서는 다음에 세세하게 포스팅하겠습니다.)


3. 디지스트는 타과기원에 비해 랭킹이 떨어진다.(실적이 부족하다)

랭킹이 타 과기원에 비해 떨어지는 것은 맞습니다. 변명같을 수 있습니다만 GIST의 개교는 1995년(학부는 2010년) UNIST의 개교는 2007년(과기대 학부 2009년 과기원 학부 (2016년, 2015년 중기에 과기원 전환)입니다. 그에 반해 DGIST의 개교는 2004년이고 학부는 2014년 모집입니다. 또 한 학년 학부생 수를 보면 GIST가 200명, UNIST가 이공계열이 360명, DGIST가 220명으로 짧은 역사와 많지 않은 학부생 규모로 인해 졸업생이 적어 사회에 진출해있는 선배들이 타 과기원에 비해 적습니다. 많은 랭킹에서 고려하는 점이 학교의 규모, 논문 수준, 논문의 양, 졸업생의 진출분야, 기업에서의 졸업생 평판인 것을 고려할 때 역사가 짧은 소규모대학에서 지금 당장 괄목할만한 랭킹이 나오기는 힘든 실정입니다.


랭킹과 함께 따라나오는 것이 실적 얘기입니다. 소규모대학 특성 상 많은 양의 논문을 찍어내기 힘들다는 건 다들 아실겁니다. 다만 논문 수준에 있어서는 DGIST도 타 과기원에 밀리는 것은 아닙니다. 논문의 질적 수준을 따지는 라이덴 랭킹을 살펴봅시다. P는 논문의 양을 의미하고 PP는 그에대한 %를 의미합니다. (모바일이라 첨부가 힘드네요.. 댓글로 첨부하겠습니다) 살펴보시면 알겠지만 P 순위는 엄청 낮습니다. 소규모 대학 및 대학원이니깐요. 다만 PP를 보면 한국에서 5위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를 분석하면 규모는 작으나 좋은 논문의 비율이 많다는 겁니다. 타 과기원을 살펴보면 GIST의 경우 P의 경우 DGIST보다 높고 PP는 조금 낮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규모가 DGIST보다 크고 좋은 논문의 비율이 디지에 비해 조금 떨어진다.(유의미한 차이는 아니라고 봅니다.)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UNIST는 P, PP모두 한국에서 최상위권이니 대형규모의 대학원과 좋은 성과를 내고있음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 2020한경이공계 평가에서 특허출원으로 1위를 달성하였고 네이처 신흥대학순위에서도 타과기원보단 낮지만 77위를 기록해서 신생대학치고는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4. 디지스트는 개깡촌이다.

서울에 비해 깡촌 맞습니다. 인정할건 인정해야죠. 그래도 앞에 신도시가 형성중이라 살만은 합니다.


5. 디지스트가 과기원 중에 가장 낮다.(feat. 학부생 수준)

선호도가 낮은 것은 확실합니다. 이는 무학과라는 실험적 학위를 추구했던 영향이 있습니다. 제가 입시할 때 선호도는 G>U,D긴 했습니다만 지금은 G>U>D인거 같긴 하더군요.(사람마다 다르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학부생들 실력에 대해서 세세한 차이는 있을 수 있겠으나 큰 차이는 없다고 봅니다. 어느 과기원이 그렇듯 연고대 버리고 온 사람도 서성한 버리고 온 사람도 중경시랑 경쟁붙이다 온 사람도 있습니다. 그 비율이 서성한이 가장 많은 것 뿐이죠. 디지에도 유니스트 버리고 온 사람 지스트 버리고 온 사람도 있습니다. 또 디지를 버리고 중앙대나 경희대로 간 사람도 봤습니다. 결국 자기 취향차이인 것 같고 학부생 평균 수준은 서성한으로 봐주면 될 것 같습니다. 학교 수준 얘기하다보니 여기까지 왔군요. 결론적으로 선호도는 낮은게 맞으나 학부생 수준에서는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6. 디지스트의 혜택

디지스트의 혜택은 생각보다 잘 알려져있어 놀랐습니다. 학기 중 328500원(기억이 잘 안나는데 얼추 맞을겁니다.)이 매달 들어오 등록금은 350만원으로 책정되어 있으나 전액장학금으로 환수받습니다. 또 총장장학생 DPF나 해외교환학생 프로그램 fglp, DURA등 다양하게 돈을 타 먹을 수 있습니다.


일단 생각나는 것 위주로 작성하긴 했는데 모바일이라 그런지 두서도 없는 것 같고 자료 첨부도 안된거 같아 조금 아쉽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더 깔끔하고 정리되어 돌아오겠습니다. 다음 주제는 디지스트의 전공별 연구실적분석을 계획 중인데 잘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질문은 댓글로 주세요. 묻히면 어쩔 수 없지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