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치대는 따로 빠지는거에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87612
문과생이여서 잘 모르겠네요 ㅎㅎ;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떻게 버텼을까
-
배달전문점이고 거리뷰 보니깐 음식점처럼 안 생김 그냥 창고처럼 생김 위생 별로겠져
-
까먹어서 못 쓰겟다;..
-
담배피고싶다 5
나갓다올까말까
-
몸무게도 36키로라서
-
난 이수지ㅋㅋ
-
모의고사 당일 3
6모, 9모 친 당일 날 복기하고 오답하는게 좋다고하잖아요. 어떤 식으로 하는지...
-
아무리봐도 언럭키 에어팟프로같음
-
걍 자전거 타고 3
된장찌개나 먹고 올까 15분이면 가는데
-
아 연휴라서 2
진상이 많이 오는거구나
-
뭐 시켜먹을까요 5
배고프기도 하고 낼 쉬는날이니깐 ㅎㅎ 메뉴 추천 좀
-
난 10
안 참아
-
스트레스반내 6
이제 약속 안잡고십은데 인간들이 두렵군아
-
태어나서 처음 좋아해본 애긴 한데 상대가 먼저 좋아햇엇는데 그 마음 알고 나서...
-
더프 신청 리뷰에 자기 저녁밥 자랑하네 ㅋㅋㅋㅋ
-
닌텐도를 살까 4
흐음
-
김범준vs현우진 6
미적분 뉴런or스블 둘중에 하나 들으려고 하는데 추천해주세요.. 스블 수1,2...
-
국정원 기밀문서 하고있는데 심찬우도 할까 고민중
-
민족~고대! 8
강철~공대
-
수능 좆된이후 다음날
-
노벤데 n3 목표로 공주하고싶습니다!
-
이감상상바탕 3
머살까요 써본 컨텐츠가 없어서 고민됨.. 다 살 순 엊ㅅ어서
-
사람 많은 시간을 틈 타,,, 이미 본 사람은 눈감아주세요,,,,...
-
찐 잠 4
1시간 뒤에 찐찐 잠 올릴 예져ㅓㅇ
-
일 힘들다고 찡찡거려서 미아내 다들 잘 자
-
어린이날이라 울었어 ㅜㅜ
-
최근 일이주간 초심을 잃어 하루 다섯 시간도 공부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젠...
-
부평 친척집 갔을때 문신돼지련들 일단 이겨먹고 보자는 마인드라 눈싸움 겁나 걸어댐...
-
오르비에
-
기요미들 4
lck ㄹㅇ 감다살
-
빅쇼트 14
볼래 오랜만에 유흥을 좀 즐겨야게써
-
차함수로 gx 두고 적분형태로 나타내면 근1개, 중근1개 나머지 하나 모르는데...
-
너 말하는거 맞음◕‿◕
-
피곤하다 9
-
오르비 잘자요 3
오늘 여러모로 감사했습니다 내일도 화이팅
-
돈 벌어보자
-
작년 강k를 풀까여 올해 킬캠을 풀까여 히카를 풀까여 ㅠㅠ
-
손에 드니까 안예뻐보여
-
자다가 든 1
생각
-
대치동일진은 12
시대듣는 애들은 브릿지 셔틀 두각가는 애들은 서킷 셔틀 시키려나
-
의대다 7
좋네요
-
하츠네미쿠나옴 시발ㅋㅋ
-
국어는 기출끝나면 진짜할게없는거같음
-
내가 망쳤어..
-
가물가물가물치..
-
여붕이마라탕시켯어ㅎ 14
같이먹을사람ㅠ?
-
역시 일침은 3
음주운전레이서~~ 다 때려박아 범퍼카 범퍼카
-
라고 생각했던적이있지만 어차피 국어 못해서 설대는 빡셀거같기도하고 그냥 하던거 원...
저도 이관데 그런거 몰라요 ㅋㅋㅋㅋㅋ
전 치전생인데도 몰라요 ㅋㅋㅋ
으잌 ㅋㅋㅋ
으잌 ㅋㅋㅋ
으잌 ㅋㅋㅋ
으잌 ㅋㅋㅋ
서구 의학의 기원을 따져보면 이발사가 외과의, 일반의가 내과의로 진화한거고 치과의는 일종의 기술자였습니다. 세공사 쪽에 가까웠다고 하더군요.
음.. 결국 뿌리가 달라서인거군요. 감사합니당ㅎㅎ
Doctor/Dentist
의사 치과의사의 기원이 달라서요
유럽이랑 미국으로 분리해서 생각해봐야합니다. 유럽, 그 중에서도 특히 근대 의학발달을 주도한 프랑스의 경우 18세기경 미신, 고대서적에 의존하던 내과와 이발사 등이 주도한 외과가 먼저 분리되고(이 때 치과는 외과에 속해있었습니다. 치과도 이발사들이 주도했으니까요.), 그 후 외과-치과가 분리됩니다.(근대 치의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Pierre Fauchard의 역할이 큽니다. 외과의가 행하던 치과는 이 때 외과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전문영역을 형성한 것이지요.)
그리고 19세기 들며 의학, 치의학의 주도권이 미국으로 넘어갑니다. 이 때 미국의 경우 유럽에서 건너온 치과의사들을 시작으로 치의학이 크게 발전하며 구대륙을 앞서나갑니다.(의학부분은 잘은 모르겠지만 역시 굉장히 발전한 것 같습니다. 치의학의 발전보다도 빠르게요) 이맘때쯤 일반의사랑 치과의사가 모두 치과 관련 진료를 했는데 치과를 전문으로 하는 치과의사들이 아무래도 더 좋은 결과를 냈다고 합니다. 즉, 이미 미국은 치과의사와 일반의사가 분리된 상태로 시작된것이죠. 그리고 이맘때쯤 Horace H. Hayden이나 Chapin A. Harris 등의 주도적인 역할로 치과대학이 설립되고 지금까지 이어졌습니다.
(이 부분에서 Hayden은 정확힌 의과대학의 과정 중 하나로 치의학을 넣으려고 하나 실패했다고 합니다. '기술적 성격이 강하고 학문적 체계가 약하다.' 라는 이유였던듯 합니다. 지금이야 뭐 치과대학도 학문적 체계가 강해졌긴 하지만 말이죠. 아무튼 이에 치과대학을 설립하고 그렇게 지금까지 이어져 왔습니다.)
위에서 '세공사쪽에 가까웠다.' 라는 것은 미국의 시각 중 하나입니다. 미국에선 치과의사들이 19세기말까지 직접 보철물을 만들거나 하였거든요. (반면 유럽은 기공을 주로 선반공이나 장인에게 맡겼다고 합니다. 수복은 치과의사가 직접 하고요.) 또 실제로 많은 치과의사가 목재선반공이나 상아선반공을 하다가 치과의사가 되기도 하였고요. 사람들의 시각엔 세공사처럼 보였겠지요. 하지만 뿌리는 결국 외과의와 비슷합니다.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이런식이 되겠군요.
"현대 치의학 및 치의학교육의 체제를 세운 미국의 경우, 유럽에서 건너올때부터 이미 분리되어있던 치의학과 의학이 합쳐지는데 실패하고(정확히 말하자면 치의학이 의학의 한 분야로 인정되는데 실패하고) 따로 발전되어왔다."
(틀린부분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큰 맥락을 이해하는 정도로 봐주세요.)
음.. 하나의 비문학지문을 보는거같네요 ㅎㅎ
자세하게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렇게 수고 해주시는 분들보면 너무 감사해서 ㅠㅠ 다른 모든분들도 당연 마찬가지구요.
미국에서 세공사쪽에 가까웠다는 부분은 틀린 부분이네요
근대 치과학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피에르 포샤르에 의해서 프랑스에서 부터 최초로 치의학이 외과로 부터 분리되기 시작하였으나
완벽하게 면허제도나 교육 학문의 체계 등이 정립되지는 못했고
이후 19세기에는 세계의 중심이 점차 미국으로 이동하면서 영국, 프랑스가 지배하던 학문의 주도권을 점차 미국이 잡기 시작했고 교사, 성직자, 의사가 환영받는 분위기 속에서 치과의사 역시 더 많이 필요하게 되었죠
따라서 이전의 도제식 교육을 벗어난 교육기관으로써의 치과대학의
설립이 대두되었고 미국치과학의 아버지라 불리우는 하이덴이
메릴렌드대학 의과대학에 치의학과 신설을 요구했지만 여러가지 반대에 부딪혀 따로 볼티모어 치과대학을 하이덴과 하리스가 설립하고
DDS라는 학위명을 부여한 것에서 MD와 DDS로
치과의사와 의사의 분리는 더욱 확실해지고
이후 다른 나라들에서도 미국에서 최초로 의과대학과 분리된 교육기관을 만들었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서도 분리되어서 치과대학이 설립된 것이죠
볼티모어 치과대학에서는목사가 7명정도 있었을 정도로
이전의 기술자로서의 치과의사가 아닌 지성인으로서의 치과의사를 양성하길 원했고 세공사나 테크니션이 아닌 의료행위로 치과의사가 인정받기를 원했죠
보충설명 감사드립니다. 제 의도는 미국에서 치과의술이 오랫동안 기술직으로만 인정되었던것(치과의사에 대한 당시 미국인들의 일반적인 시각)을 저 위 다른 댓글에 쓰인 '세공사'라는 표현을 통해 해석하고자 함이었습니다. 저 위의 다른분께서 쓰신 댓글과는 달리 뿌리가 세공사에 가까운게 아니었으니까요.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 부분은 오해의 소지가 있었군요.
치과의사는 dentist 의사는 doctor 한국어로 번역했을때 ~과의사 라서 같은 직업내 다른 전공으로 보이지만 그냥 뿌리가 다른 아예서로다른 직업이라 보면 될것같습니다 그러니 당연히 대학도 따로 학생들을 뽑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