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원인 등 연구 동향 집대성…신약 개발 응용 가능

2022-01-05 20:16:37  원문 2022-01-05 17:51  조회수 47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727256

onews-image

알파시누클레인 응집체에 의한 뉴런에서의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 및 세포사멸 모식도. 위 그림은 알파시누클레인 응집체인 올리고머가 미토콘드리아의 구성성분과 상호작용하는 양상을 나타낸 것임. 이외에도 알파시누클레인 모노머가 미토콘드리아 구성성분과 상호작용하여 독성 응집체를 형성하는 등 알파시누클레인 응집이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를 유발하는 다양한 경로가 존재한다고 여겨지고 있음. KBSI 제공(왼쪽부터) KBSI 이영호 박사(공동교신저자), 건국대 최동국 교수(공동교신저자). KBSI 제공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은 바이오융...

전체 기사 보기

해당 뉴스 기사는 Calothrix(834955) 님의 요청으로 수집 되었습니다.

  • Calothrix · 834955 · 22/01/05 20:16 · MS 2018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바이오융합연구부 이영호 박사 연구팀과 건국대 생명공학과 최동국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파킨슨병의 발병 과정과 예방·치료를 위한 전략·방법을 체계화했다고 5일 밝혔다.

    공동 연구팀은 파킨슨병 원인으로 주목해온 알파시누클레인의 응집 현상과 세포 내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와 관련된 다양한 기전을 밝힌 최신 연구 결과를 총망라해 논문으로 정리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뇌세포 사이에 신경 전달을 돕는 단백질인 알파시누클레인의 이상 증상 때문에 올리고머와 같은 독성을 가진 단백질 응집체가 형성되고, 이러한 응집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는 물론 뇌 신경 세포의 사멸을 초래해 파킨슨병을 일으키는 발병 과정 등을 다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