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ㅌ [981908] · MS 2020 · 쪽지

2022-01-05 03:06:21
조회수 309

예비고3 국어 공부법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700592

고2 모고 국어 2등급 나오는데요, 고3 모고는 한번도 풀어본 적이 없어서 모르겠습니다.

이번 겨울방학에 국어 인강을 들을까하다가 그냥 독학하려고 하는데

독학 공부법 알려주세요..ㅜㅜ 기출 분석은 어떻게 하는지 등등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한수멘토_컨택트 · 597530 · 22/01/05 16:16 · MS 2015

    고2 2등급이시면 고3 문제를 푸는 데 큰 지장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기출분석이 어떻게 보면 좀 막연한 표현이긴 한데, 저는 기출분석의 가장 중요한 점으로 자신의 생각하는 힘 기르기와 나왔던 것 알아채기를 꼽겠습니다.
    생각하는 힘이라는 것은, 기출 문제를 풀고 채점하고 그냥 치우는 것이 아니라, 기출문제가 무엇을 물어보려고 했고, 어떤 판단을 해야 하고, 어떤 힌트, 함정이 있었는지 곱씹어 보는 과정에서 길러집니다. 시중에 있는 많은 기출문제집은 해설과 지문분석을 함께 수록하고 있으므로, 문제를 직접 풀어보고 이 해설과 지문분석을 함께 읽으며 말그대로 기출문제가 보여주려고 했던 것이 무엇인지 따라가 보는 겁니다. 단순히 몇 개 유형으로 정리하기 어려울 만큼 다양한 요소들이 있을 것이라 쉬운 여정은 아니겠지만 22수능 역시 연계 소재에 대한 이해에 국어 피지컬을 함께 요구하고 있어 이러한 인내의 시간을 견뎌야 고득점까지 나아가기 쉬워진다고 생각합니다.
    수능 문제는 당연히 그 해만의 특징을 띠고, 학생들은 이전까지와는 많이 다른 시험지를 앞에 두고 1교시를 시작하게 될 것입니다. 그럼에도, 수능 국어에서 물어보고 싶은 것들을 포장하는 방법, 구조, 논리는 기출문제에 이미 있던 것을 유사하게 활용하는 것도 자주 있습니다. 수능날 이런 문제가 한 문제가 나오더라도 기출을 공부했던 경험으로 그 문제를 얼마나 자신있고 빠르게 넘기느냐는 시험 전체 운영에 상당한 차이를 불러옵니다. 독서뿐만 아니라 문학 역시, 그동안 물어본 전형적인 패턴은 기본 바탕으로 깔고 가겠다는 것을 목표로 기출문제를 꾸준히 공부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