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kahil [463255] · MS 2013 · 쪽지

2014-01-25 15:46:33
조회수 1,278

수능특강 영어 2강 7번문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65175

What we can observe in animals, combined with our capacity to empathize from our own experience, [ leave/leaves ] little doubt that the animal kingdom is a rich repository of pleasure.

관계대명사what은 무조건 단수취급해야하나요?.. 어디서 the things which도 된다고 본것 같은데.. 아니면 저걸 그냥 우리가 동물들로부터 관찰할 수 있는 것'들'로 해석하면 안되는건가..
다맞는것 같아서 계속고민하다 그나마 의심가는게 저거라 답은 맞았는데 찜찜하네요..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in709 · 408186 · 14/01/25 16:22 · MS 2012

    관찰할 수 있는 '것' 아닌가염?

  • Lekahil · 463255 · 14/01/25 16:27 · MS 2013

    네 답지에도 그렇게 해석되어있고 저도 처음엔 그냥 것이라고 해석했는데... 저게 관찰할 수 있는 것들이라고 해석될 여지가 없는지... 그걸 묻고싶네요

  • in709 · 408186 · 14/01/25 16:29 · MS 2012

    음...? 전 항상 '것'이라고 하고 넘어가서.. 잘 모르겠어요 ㅠㅠ

  • Lekahil · 463255 · 14/01/25 16:31 · MS 2013

    ㅠㅠ 도움은 안됐지만... 관심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 사채업자 · 275957 · 14/01/25 16:57 · MS 2009

    the thing which로 알고 있습니다 관대what은추상명사 대하듯이 항상 단수취급하는걸로 알고있어요

  • Lekahil · 463255 · 14/01/25 17:09 · MS 2013

    ebs 답지에도 그렇게 나와있긴한데.. 때에따라서는 things가 되는경우도 있다고 하더라구요..ㅜㅜ..

  • 각설이 · 463916 · 14/01/25 16:58 · MS 2013

    [leave / leaves] 뒤에 나오는 보어가 단수냐 복수냐에 따라서 what 관대절에 대한 동사를 수 일치 시키는거 아닌가요?

  • Lekahil · 463255 · 14/01/25 17:09 · MS 2013

    저도 그렇게 생각해보긴 했는데 leave는 ~를 남기다니까 뒤에오는건 보어가아니라 목적어 아닌가요?...
    be동사의 경우에는 님이 말씀하신것처럼 보어에 맞추는게 맞는데 leave같은 동사는.. ㅜㅜ

  • 공부합니다 · 468136 · 14/01/25 17:38 · MS 2013

    저는 what 관대절에서 be동사 뒤의 보어가 동사 모양 결정을 해준다는 것도 이제 알았네요ㄷㄷ
    걍 the thing which로 머리에 박아놔서..
    그런데 일반동사에서도 되지는 않을 것 같은데 되나요?

  • Lekahil · 463255 · 14/01/25 17:49 · MS 2013

    저도 그걸 몰라서 뉴뉴... 이거 문맥상으로 what~ 이 단순지 복순지 판단하기도 애매함..

  • 각설이 · 463916 · 14/01/25 17:56 · MS 2013

    오잉; 그렇네요.. 아는척하다가 밑천 드러냈네요 ㅜㅜ
    근데 이렇게 보면 주어핵 'what'이 단수인지 복수인지를 알 수 있는 단서가 없는 것 같네요..

  • Lekahil · 463255 · 14/01/25 18:01 · MS 2013

    ebs에 물어봐야되나 OTL...

  • 햇님쌤 · 482635 · 14/01/25 20:55 · MS 2013

    일단 이론적으로 관계사 what은
    the thing which
    the things which
    모두 가능합니다.
    다만 이것이 what으로 변했을 경우 그것이 둘 중 무엇인지를
    알아볼 수 있느냐가 문제죠.

    The thing which makes me angry pleases my enemy.
    The things which make me angry please my enemy.

    이 두 문장을 보면 알겠지만
    이것들을 모두 what으로 바꾸면 makes와 make 때문에 pleases인지please 인지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경우를 제외한 what자체의 단수 복수 여부를 문법적 논리적으로 파악 불가능할 경우 대체로 what은 단수취급하게 됩니다.

    이건 규범 문법이 아닌 일종의 기술문법이라고 볼 수 있죠.
    또한 주어와 동사간에 수의 일치가 존재하는
    영어라는 언어의 구조적 한계이기도 하구요.

    도움이 되셨는지

  • 햇님쌤 · 482635 · 14/01/25 21:04 · MS 2013

    추가하자면 아시겠지만
    Either A or B가 주어가 될 경우도 이런 경우로 볼 수 있겠네요.
    Either A or B는 Both A and B같은 경우나 Not only A but also B와 같은 경우와는 다릅니다.
    왜냐하면 Both나 Not only 같은 경우는 논리적으로 주어의 파악이 가능한 반면
    Either는 그 의미 자체가 무조건 둘 중 하나이므로 둘 중에 누가 주어가 되어야 할 지 알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이 경우 동사는 대체로 B에 일치시키기로 약속이 되어 있죠.
    그냥 동사와 가깝기 때문에 B를 주어로 봐버리는 거죠.
    이런 걸 the law of proximity(근접성의 원칙)이라고 부릅니다.

    이와 같이 영어는 수의 일치의 어쩔 수 없는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실제 활용적인 약속같은 것들을 가지는 것이죠.

    하지만 EBS가 이걸 알고 냈다기 보다는 그냥 일반적으로 what은 단수로 본다라고 생각하고 별 생각없이 문제를 낸 것 같습니다.

  • Lekahil · 463255 · 14/01/25 21:13 · MS 2013

    답지엔 그냥 what써서 무조건 단수가 와야된다길래 좀 빡쳤었는데 ㅋㅋㅋ 엄청 도움되었네요 감사합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