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생, 협동 학습 많을수록 성취도 떨어진다…'경쟁 부담'이 원인

2022-01-02 18:49:58  원문 2022-01-02 18:24  조회수 180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577970

onews-image

학교에서 학생 협동 학습을 강조할수록 학업 성취도가 높아지는 다른 나라와 달리 한국 학생은 오히려 학업 성취도가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학생간 경쟁이 심하고 협동 수업의 평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기 때문이란 지적이다.

2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주요 상위권 국가인 대한민국, 싱가포르, 에스토니아, 일본, 핀란드 등 5개국을 비교·분석한 연구 보고서를 내놨다.

━ 협동학습, 우리나라에선 '마이너스'

2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주요 상위권 국...

전체 기사 보기

해당 뉴스 기사는 Calothrix(834955) 님의 요청으로 수집 되었습니다.

  • Calothrix · 834955 · 22/01/02 18:50 · MS 2018

    학교에서 학생 협동 학습을 강조할수록 학업 성취도가 높아지는 다른 나라와 달리 한국 학생은 오히려 학업 성취도가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다른 나라에 비해 우리나라는 특히 상위권 학생들의 경쟁이 극심하고, 협동과정의 평가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인식이 크다"며 "협동학습 과정과 결과를 공정하게 평가하고, 경쟁에 대한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우리나라 학생들은 교사가 피드백을 해준다고 인식할수록 읽기 성취도가 낮게 나타났다"며 "교사의 피드백이 적절하게 표현되거나 활용되지 않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밝혔다.

  • XÆA-12 · 954304 · 22/01/02 18:50 · MS 2020

    ㄹㅇ 헬적화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