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인스 [1113573] · MS 2021 · 쪽지

2022-01-01 12:31:34
조회수 2,627

한양 성균관대 데이터 사이언스학과 선택한다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515602

데이터분석쪽으로 진로 정하고 두 대학중에서 선택한다면 어디를 선택하시겠어요? 이유도 적어주세요



* 한양대 데이터사이언스학부 데사전공


* 성균관대 글로벌 융합학부  데사전공



한양대는 22년부터 공대에 편입된답니다.

성균관대는 문이과 공통계열로 명륜캠에서 수업해요

대학 고르기

최대 1개 선택 / ~2022-01-08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무사파 · 1077736 · 22/01/01 12:32 · MS 2021

    데사=>대학원

  • 존스홉킨스 한의대 가자 · 901087 · 22/01/01 12:36 · MS 2019

    성대 글융 1명 뽑지 않나요?

  • 사시로 · 791632 · 22/01/01 13:06 · MS 2017

    -

    명륜캠에서 수업한다는 것 자체가 좀 그렇습니다ㅇㅇ

    요즘은 학문융합이 대세인데.. 문이과 융합도 할 수 있지만..

    그 보다 먼저 이공계 학문간 융합이 훨씬 더 많은 시너지를 냅니다

    당장 한양대만 해도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먼저 묶고 이후 생체와 전기

    분야를 학문적으로 묶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ㅇㅇ

    그런데 언급한 모든 학문분야가 성수공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만

    명륜캠에 떨어져있다?

    이것은 애초에 성대가 원하는 그림은 분명히 아닐 것이고.. 불가피한 선택

    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어떤 전공이든 공부를 하다보면.. 인접 학문을 필수적으로 공부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기 마련인데.. 그러면 그 과목을 위해서 서울-수원 통학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결코 합리적인 학문편제라고 보기 어렵습니다ㅇㅇ

  • 다인스 · 1113573 · 22/01/01 13:22 · MS 2021

    저도 성대 글융만 명륜에서 수업한다는게 잘 이해가지 않아요.
    같은 단과대학 소프트웨어학과는 수원에서 수업하고 인접 과목도 거기서 편하게 공부할 수있을텐데요

  • 사시로 · 791632 · 22/01/01 13:37 · MS 2017 (수정됨)

    -

    데이터 자체는 사실 문과든 이과든 크게 상관이 없는 새로운 학문영역

    이기는 한데.. 중요한 것은 데이터를 활용한 산업과 파생학문 분야가..

    이공계와 훨씬 더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습니다ㅇㅇ

    당장 데이터 분야 최우선 인접학문 이라고 한다면.. 인공지능 분야를 꼽을

    수 있고.. 이후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파생학문이 전기생체 아래

    나노, 마이크로나노, 바이오, 스마트헬스, 뇌공학, 신경공학, 계산지능,

    시스템 등등 거의 대부분이 이공계 학문영역에 속해 있습니다ㅇㅇ

    결국 데이터 자체는 문이과 구분이 불필요 하더라도.. 인접학문은 이공계

    전 분야에 걸쳐 있는 만큼.. 같이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이 필수적 이라는 것

    입니다 (학과의 학문발전을 위해서도 그것이 훨씬 더 유리한 조건입니다)

  • 서울대갈꺼야 · 1021058 · 22/01/01 14:00 · MS 2020

    둘다 공대라고 하기에는 좀 아니지만 서울이 낫지 않을까요

  • 다인스 · 1113573 · 22/01/02 06:02 · MS 2021

    캠퍼스는 둘 다 서울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