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영어_유형별 전략_수특 어휘편(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37666
안녕하세요 오르비 식구 여러분들
아침에 일어나 보니
밤새 눈이 왔네요 ^^
어렸(?)을 땐
눈 오고난 후의 아침은
마치...
기대도 안하게 만드는 멋없는 남친한테서
서프라이즈 선물을 받은 것 처럼
마냥 설레고, 하루 종인 좋은 일만 있을 것 같고..
그런 들뜬 기분이었던 것 같은데...
이젠...
아... 어떻게 출근하지...
이러고 있네요..
빨리 글 올리고 출근하려구요 ㅎㅎ
기분은...
이제 좋아지겠죠?? ㅎ
지난번 EBS 수특 첫 번째 독해문제 유형인
어휘 추론(1) 에서는 선택형 어휘추론 요령을 알려드렸죠
오늘은
어휘 추론 유형 중 수험생들이 다소 어렵게 느낄 수도 있는
밑줄형 어휘추론에 대해 공부법을 알려드립니다. ^^
2015 수특 1강 어휘 밑줄형 (2) 유형 분석
8번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To most people, the difference between mathematics and literature is apparent simply from comparing the ① appearance of a mathematics text with a literary one.
There is a "language" of mathematics with its own symbols and terminology, ② mysterious to nonspecialists, while most literary works are written in language which, if not always of the "everyday" kind, is at least familiar.
In artistic texts such as novels or poetry, we find that the particular words a writer uses are of great importance to the aesthetic effect: it is often remarked that poetry, in particular, ③ loses something in translation.
With mathematics, the situation is quite different: we could even say that mathematics is concerned precisely with those things that are ④ variable under linguistic translation.
In that sense there is not really a "language" of mathematics; rather, mathematics is an abstraction of whatever can be said ⑤ equally well in any natural language.
8번 문제는 5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문장마다 어휘의 적절성을 묻는 문제죠.
다시 말해서, 한 지문의 1 topic 의 flow 를 잘 따라가고 있는지를 묻는 것이기 때문에
1번째 문장에, 늘 그렇듯 글의 소재나 주제가 나옵니다.
글의 소재: the difference between mathematics and literature ☞ text 의 차이점
To the most people, the difference between mathematics and literature is apparent simply from comparing the ① appearance of a mathematics text with a literary one.
수학과 문학의 차이점은
수학 text (글,자료) 와 문학 text (글,자료)의 ① appearance (겉모습)을 비교하는 것으로 분명해진다.
글의 주제: 수학과 문학은 text 의 차이점이 있다. ☞ 차이점의 실례
There is a "language" of mathematics with its own symbols and terminology, ② mysterious to nonspecialists,
while most literary works are written in language which, if not always of the "everyday" kind, is at least familiar.
수학적 '언어'에는
symbols (기호)와 terminology (=text 용어)에 가 있어서,
② 비전문가에게는 알기 mysterious (알기 힘든)
while (반면) 대부분의 문학 작품은 언어로 씌어져 있다,
- 항상 '일상적'인 것은 아니겠지만- 적어도 familiar (친숙한) ☞ mysterious (알기 힘든)와 반의어
차이점 1 : 수학 (어려운 용어 mysterious) / 문학 (친숙한 용어 familiar )
In artistic texts such as novels or poetry,
we find that the particular words a writer uses are of great importance to the aesthetic effect: it is often remarked that poetry, in particular, ③ loses something in translation.
소설이나 시같은 예술적 text (용어) 에서, ( 문학 작품 언어 )
우리는 (작가가 쓰는) 특별한 단어(언어)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미적효과에 :
종종 언급되기를 특히 시는 번역(in translation) 에서 something (중요한 것) 을 ③ loses 잃는다고.
With mathematics, the situation is quite different:
we could even say that mathematics is concerned precisely with those things that are ④ variable under linguistic translation.
수학에서는, 상황이 꽤 다르다 :
수학은번역 상황에서도 (under linguistic translation) 번역 상황에서도 (under linguistic translation)
those things (언어/ symbols and terminology) 등은 꽤 정확하다고 여겨진다.④ variable (바뀌는) 그것들과 관련되어 있다로도 말할 수도 있다.
④ invariant (변함이없는)
차이점 2: 번역 상 문학은 (③ loses ) / 수학은 (④ variable 변함없는) ☞ 변하지 않아서 잃는게 없다
In that sense there is not really a "language" of mathematics; rather, mathematics is an abstraction of whatever can be said ⑤ equally well in any natural language.
그런 의미에서, 수학은 실제로 '"language (언어)' 자체가 아니라;
오히려, 수학은 추상화한 것이다 (무엇이든 자연의 어떤 언어로도 ⑤ equally 똑같이 진술 될 수 있는 것을)
mathematics 의 언어는 ☞ 변하지 않아서 잃는게 없다 ⑤ equally
항상 왜곡없이 전달된다.
주제 : 수학의 언어는 Language 라기 보다, 의미의 추상화 라는 점에서
문학의 Language 와 구별된다.
이런 지문은
소재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묻는
빈칸유형이나, 글의 요지를 묻는 유형을 변형 출제되면 좋을 문제 입니다.
빈칸은 마지막 문장의
: an abstraction (전달하려는 의미의 추상화)
요지는
: 수학의 언어는 문학의 언어보다 정확한 의미 전달이 가능하다.
당부하고 픈 말은
EBS 교재 공부하는 법에 관한 글 들이 많은데,
지문의 본질을 파악하기 보다,
해설집에 의존하여 공부하는 방법을 택한다면,
단언컨대,
EBS 연계 지문도 변형되면 제대로 풀기 힘들 뿐 아니라,
나머지 10 여 문제의 비연계 문제의 경우
남들 틀리는 거 다 틀리기 쉬우니
해설지 부터 보거나, 해설지를 보면서
공부하는 방법은 절대 비추입니다 ^^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The Harder, The Easier.
차 진희 T http://class.orbi.kr/group/11/info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 사람이 바로 나에요 나
-
한참이 걸려도 그대 반드시 행복해지세요
-
다군도 전화 추합이 좀 더 많이 돌까요…?
-
멍청하다
-
존못키작저능아에게 이 세상은 너무 잔혹해
-
재종 급식실에서 0
비어있는 책상 많은데 하필 내 책상으로 오는 애가 있었는데 저건 랜덤으로...
-
그렇다고 하더라고요
-
ㅇㅇ
-
개인적으로 미적 백분위 99 띄우는 이과 여자의 섹시함은 넘사임
-
다신보지말자ㅗㅗ
-
오늘 추합 전화 받아서 알아봤는데 오티? 예비대학?은 이미 한 상태고 새터 신청은...
-
집은 인천입니다. 통학은 숭실대 1시간 30분 인하대 1시간정도 걸리구요....
-
어떻게 하나같이 커뮤할 거 같이 생겼지(나도포함)
-
어디까지 돌았나요???
-
재종 진짜는 9
반수반 유입 때부터 괜찮은 사람들 꽤 많이 들어와서 흔들림 ㅋㅋㅋ 전 이때 눈 맞아서 만나긴 했음
-
번장 직거래 잡았는데 예쁜여자면 초콜릿 주면서 대화해야지 으하하하하하 4
으하하하하하 크하하하하하하
-
https://orbi.kr/00070868302 의견 구합니다,,, 이젠...
-
에임 고자라 갬 겜 할때마다 내 장례식에서 이거 틀면 어떡하지 라는 생각이 드는...
-
경험상 그럴것 같기는 한데 재종은 안다녀봐서 ㅋㅋㅋ
-
언젠가 인서울 중상위권 수준(시립대)으로 입결이 오를수도 있지 않을까?
-
졸업할때 리트 응시했는데 123 받은 사람도 있음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름
-
내 요즘 근황을 솔직하고 자세하게 설명했더니 나보고 윤리감 너무 없는거 아니에요...
-
ㅈㄱㄴ
-
전화추합 1
낼까지 인터넷인 곳 많나요? 다들 오늘부턴 전화추합이었나요? 관동대 제발 더 많이...
-
[단독] 시대인재 용인 기숙종합학원 26일 개원은 불법…“아직 등록 안됐다” 6
https://naver.me/5tJqGkgV 용인지방교육청 관계자에 따르면...
-
어떤가요???
-
프디수 타고싶다
-
진학사이무친련들...
-
맞팔구 1
제발
-
지금시점에서 누가 의대권 성적을 받을지는 아무도 모르니까 사탐이든 과탐이든...
-
고1,2,3때도 너는 참 개성이 강하다(비꼬는듯이말함)이런 얘기는 많이 들어봤고...
-
나만 그랬나
-
맞팔9 2
-
ㅋㅋㅋ병신들 0
아.
-
추천 부탁드려요 0
정시 준비하는데 생각의 질서 미적분 하고 있고 생질 끝나면 알텍 미적 할 생각입니다...
-
수능이 신기한게... 16
어떤 사람은 1년 만에 5등급에서 1등급으로 올린 반면 또 다른 사람은 5년동안...
-
시대 라인업 1
라인업좀 봐주세요… 국어 김재훈 윤지환 수학 최지욱 엄소연 김범찬 지구 이신혁...
-
활동 안하시는건가
-
홍준용t 1
홍준용쌤 택앤스 들으려고 하는데 프리메뉴얼 꼭 들어야하나요?
-
물리 표본 수준 고려해도 2등급이면 과외 해선 안된다 라고 생각하시나요 ?
-
하 ㅅㅂ
-
화이팅 해라,, 중간에 꼭 독재런하
-
무난하게 입고가면 노잼이고 좀 튀게 입고 갔다가 겹치면 개쪽인데 진짜 어떡하지;;
-
얼라리요
-
교재 개비싸 4
올오카 문독 사면 10만원이네
-
알이 곧 세계이고 그 알을 깨고 나와야 한다라는 구절은 잊히지가 않는다. 고등학교에...
-
에시공 예비2번인데 내일, 내일모레 남음 하 ㅅㅂ 개쫄리네....
-
예를들어 서울대 공대가 목표면 과탐하고 영어공부시간을 극단적으로 줄여도 괜찮고...
-
소신지원
-
씨발ㄹ 사람새끼냐
연계교재 공부할때 한지문한지문 꼼꼼하게 분석,해석,어휘등등을 한뒤 넘어가야하나요??
모두다 그렇게 보다보면 시간이 꽤 걸릴꺼예요
지문마다 주제문의 논리연결 단서를 보는 습관은 필요합니다
지금 당장은 느린것 같지만, 더 어려운 문제를 풀수 있는 기초 실력이 되기 때문이예요 ^^
그러면 문법정리도 필수라는데 꼭 해야되나요?? 그냥 단어랑 지문의 주제찾고있는데..
문법을 법칙으로만 여기지 말고,
정확한 해석에 촛점을 맞추세요.
이를 테면 앞 지문 중
With mathematics, the situation is quite different: we could even say that mathematics is concerned precisely with those things that are ④ variable under linguistic translation
those things 의 those 가 복수 명사인 things를 전치 수식한게 중요한게 아니라, - 중심소재인 언어/ symbols and terminology 를 지칭한 것이 중요하니까, 해석할 때 지시어의 지시 대상을 찾거나, 관계사의 선행사를 찾는 해석은, 어법을, 문법을, 지독하게 정리했다기 보다
정확하게 해석한 것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실력이 쌓이는 거죠 ^^
열심히 하세요 ~
혼자 수특 공부중인데 하는 방법이 막막해서 질문드릴께요ㅠ.. 평소 영어지문 공부할때는 모르는 단어 찾고 해석 안되는 문장 정리해서 구문분석하고 끝냈었거든요.. 근데 확실히 연계문항 대비를 위해서 주제나 빈칸 예상 등도 찾아야 할텐데 이걸 다 처음에 볼때 한꺼번에 하면 좋나요? 그리고 문법사항도 최소한 답지에 있는건 정리를 해야 ㅎㄹ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ㅎ
우선
혼자 공부하신다니.. 그 의지에 박수 ^^
해석안되는 문장 정리하고 있다니, 그 노력에 박수 ^^
주제나 빈칸을 예상하고 문제를 풀다보면, EBS 교재에만 집중하게 되어서, 상대적으로 비연계 지문이 나오면 더 불안해하면서 문제를 푸는 '연계의 역효과' 현상이 있더라구요.
빈칸을 예상한다기 보다
1, 해석할때 : 중심 소재찾기 - 소재 관련 주제문장 찾기 - 주제문의 핵심단어나 표현의 rephrase 즉 주제관련 반복 표현 찾으면서 보기
정도 하시면 될 것 같고
2. 맨 첨 한 강당 8문제씩 있으니, 모의고사 풀 듯 20분 내에 1 강 풀고,
채점하고 주제문 표시하고, 주제의 반복표현/ 유사/ 대조 표현 찾기를 한다면, 문장 순서나, 연결어 연습할 때 매우 도움이 될 꺼예요.
3. 해설지에 나와있는 문법은
너무 평이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를테면, 관계사의 선행사 정도...-
본인이 해석하기 힘들었던 문장은
단어가 까다로웠거나,
논리를 전개하는 문장의 연결 관계가 보이지 않았던 것이므로,
문장 구조파악 - 주어/ 동사 관계/ 수식 대상/ 절의 관계를 보는 연습을 하세요 ^^ 열공 ^^
덕분에 방향을 잡았어요!! 진짜 감사합니다 :)
선생님저번칼럼에서 혼돈어휘나누어주셨다는데 저희들을위해서공개해주실생각있으신가요??
애석하게도 3년 이상된 자료는 제가 폐기처분하는 버릇이 있어서요 ㅠㅠ
지금은 없습니다. 오해 하지 마시구요
올해에도 그런 자료 만들면 공개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