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1년 커리 가이드(2) - N제와 EBS 연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365088
안녕하세요, 오늘은 N제와 EBS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기출문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된, 3월 이후가 N제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좋은 시점이라고 봅니다. EBS연계는 아래 표에는 써 있지 않은데, 이는 개별적인 지향점에 따라 학습 시점을 달리할 수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본문에서 상술하도록 하겠습니다.
N제
시중에 있는 교재, 강사님들의 교재와 주간지 등은 N제가 많이 담겨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N제가 중요 기출 문제와 함께 섞여 있는 경우도 많아, 이러한 경우에는 굳이 N제와 기출을 뚜렷하게 구분하지 않아도 됩니다. 주간지 진도대로 풀다보면 기출과 N제를 균형 있게 풀 수 있기 때문에 큰 고민없이 공부할 수 있을 겁니다. N제만 따로 있는 교재를 산다면, 웬만한 기출문제를 끝낸 후에 나름대로의 독해 전략이 수립된 상태에서 하면 좋습니다.
여기에 더해, N제를 푸는 와중에도 어려웠던 기출, 중요한 기출을 틈틈이 복습하면 좋습니다. 이때의 복습은 답을 확인하는 과정보다는 문제를 읽고 풀어낸 과정을 되새기며 체화하는 과정에 해당합니다. 잔실수와 착각 없이 답까지 가는 과정이 잘 닦아져 있어야 어떤 문제가 나와도 당황하지 않고 아쉬운 실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N제의 핵심은 꾸준히 푸는 것입니다. 저는 국어 공부를 하면서, 한동안 기출문제가 아닌 새로운 문제를 풀지 않으면 감각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많이 경험해 보았습니다. 6, 9월에 시험을 잘 보면 나태해지기 쉽습니다. 수능 전까지의 모든 시험은 수능 결과 앞에 겸허할 뿐입니다. 수능 전까지 어떤 책이든 꾸준히 끝낸다는 마음가짐으로 학습 계획을 세부적으로 정해야 슬럼프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다고 봅니다.
EBS 연계
작년과 비슷하다면 올해도 1월 말에는 2023대비 수능특강이 출시될 것입니다. 저는 연계교재를 최대한 빨리 풀었습니다. 나중이 되면 막상 더 풀 것이 많아지고, 한번 미루면 계속 미루게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22학년도 수능으로 알 수 있듯이, 이제 독서 연계교재는 상당히 중요합니다. 역대 평가원이 내는 문제의 방식이나 깊이와는 다르겠지만, 어떤 소재가 나오는지 이해하는 차원에서 1회독 이상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학습 계획상 별도의 N제가 버겁다면 EBS교재를 꾸준히 푸는 것만으로도 피지컬 향상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연계율이 50%인 상황에서 문학 연계교재의 매력이 전보다 떨어진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현대시는 연계교재에 수록된 작품이 그대로 나올 수 있고, 그 외 갈래는 같은 작품의 다른 부분이 나올 수 있으므로 작품을 공부한 사람이(통상적인 경우에)보다 유리한 것도 사실입니다. 어려운 부분, 어려운 문제가 나올수록 연계체감이 덜 들긴 하지만, 상대적으로 쉽게 나왔을때만큼은 더 빠르고 정확하게 문제를 풀어야 시험을 여유있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선택과목을 꼭 사서 풀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수 년 동안 수능을 지켜봤을 때, 화작/문법 문제가 연계교재와 느낌이 많이 다른 것도 많아서 국어에 시간을 더 투자할 수 있는 분이 아니라면 무리하게 풀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그러나 '연계'교재이기 때문에, 여유가 된다면! N제를 푸는 느낌으로 꾸준히 푸는 것을 권장하는 바입니다. 2023 수능에서 또 어떤 부분으로 뒤통수를 칠 지 모릅니다. 최소한 EBS가 생각한 범위 정도는 눈에 담아두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올해 수능을 준비할 때, 수특, 수완 가능한 모든 지문, 작품을 최소한 1번은 보려고 노력했습니다. 물론 수능 전까지 제대로 읽고 분석하지 못한 지문도 있었지만, 국어 한 과목만을 공부하는 것이 아닌 한 100% 연계교재를 소화하기는 다소 무리일 수 있기에 너무 압박감은 느끼지 않았으면 합니다. 그래도 지문들의 소재, 작품의 갈래는 골고루 모두 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인문 지문이 자신 있어서 그것만 파다 보면 과학, 기술 쪽 감각이 상대적으로 약해질 수 있고, 고전시가가 어려워서 고전시가에만 집중하다보면 쉬운 현대시에서 예상치 못하게 헤멜 수 있습니다. 적중을 기대하기보다는, 지문의 소재에 대한 익숙함, 지식을 챙겨서 시험장에서 무너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연계 공부의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6, 9 평이 끝나고, 출제되었던 것들을 빼고 공부하는 것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전략인 걸로 압니다. 이러한 방법이 나쁘다고 보지 않습니다. 말 그대로 고효율을 위한 학습인 셈이니까요. 그러나 이것이 공부를 미루는 핑계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9월이 끝나면 다른 과목도 함께 바빠지고, 시간은 더욱 부족해질 가능성이 큽니다. 수능완성은 그래도 볼륨이 적은 편인데, 수능특강의 독서는 작년 기준으로 단기간에 책을 끝내기는 부담스러울 수 있는 정도였습니다. 하기로 했다면, 미루지 말고 빠르게 시작하시길 추천합니다.
다음 칼럼에서는 실전 모의고사에 대한 내용으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옯창, 게이, 의대, 10수, ㅇㅈ, 메디컬, 비갤 9
이거 오르비 조회수버튼 맞죠?
-
나의 대학을 함부로 특정할수 없는거자나 알고보면 내가 지방4년제일수도 현역설의...
-
답변 감사합니다.
-
서너달 지냈고 정보가 많이 없더라고요 생각나는 거 다 쓸 거라 깁니다 이글도 서치가...
-
아침 8시부터 밤10시까지 n제, 과제 벅벅하기..흐흐... 옛날에(?)...
-
외쳐 대킹버드 1
오르비의 정상화 대 킹 버 드
-
수분감 다음 2
뉴런 하는게 정베인가요? 스텝1까지만 다품
-
우흥~
-
영어는 고정1임
-
개추 1
드디어 풀렸구나
-
게이밍 노트북왔다 23
-
센츄... 0
리 스프!!!
-
나도 뱃지 달면 1
은테 벗어날지도..? 칼럼도 쓴다면..?
-
꼭해야함
-
재수학원 0
아파트 1층부터 건물 앞 신호등까지 5분
-
1+1=3
-
자율전공인데 성적제한이 있음 그레서 내가 1지망으로 원하는 학과에 들어갈수 있을지...
-
원래 있던 영언진 아는데 갑자기 막 어느순간부터 유행어처럼 쓴거같은데
-
올해안에 금테 1
가능할까여?
-
집중 안되는건 제가 이상힌게 아니겠죠?? 어려운 응용뭊제 풀때 계속 기침하면 절대...
-
그냥 피지컬로 맞춰버리는데 이래도 되는걸까요..? 재수때 삿던 뉴런 이번에 수능...
-
8시간 하니까 5
못하겠다 쉬면서 오르비에 글싸지르고 다시 수학하고 ㅠㅠ죽겟네
-
생명과학 좋아해서 생1 공부할 때 내용자체는 재밌어하는 반이과틱?한 사람인데 윤리,...
-
사망직전 2
-
서로 비밀로 하기로함 ㅎㅎ
-
[단독] 미국행 러시는 없었다…'사직 1년' 전공의들 어디에 4
[앵커]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 사이에선 미국으로 건너가 의사를 하면 된다는 반응도...
-
특정되도 알빠노? ㅋㅋ 진짜 특정되면 좆되는 새끼는 장수생에 병신일베페미글 싸지르는...
-
제가 뉴런 내용을 확실하게 체화 하고있는지 알고싶습니다. 혹시 방법이 있을까요
-
쉽지 않나요 심지어 프사도 같은걸로..
-
공부 많이 했는데 오늘..
-
다들 공부하다가 0
한번씩 정신병 올 것 같을 때 어떻게 대처하나요?
-
매일같이 특정당하는중 20
이제는일상과도같음
-
"대학 절반만 갈래?"
-
뀨
-
왕복 두시간임 광역버스 타고 지하철 갈아타서 가는 학원은 수능날까지 체력이 너무...
-
불쌍하네
-
아무리봐도 안할 이유가 없는데
-
다른과목 봐도 서울대갈정도의 실력이 아닌거같은데 허구한날 내신 cc인가요 bb인가요...
-
맞팔구 2
ㄱㄱ
-
전담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을 찾습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외계인 느낌남 에일리언도 아니고 ㅡㅡ
-
고1~고3까지 국영수(미기확 다) 통과 통사 포함하여 수능보다 쉽게 봐서 평가하는...
-
https://orbi.kr/00072134399#c_72134635 요거 쓴...
-
매수업마다 덤앤더머찍음 어이거왜안되지 어이거왜계산안되지 어뭐지...
-
전 사격선수 하고 싶었는데, 가정을 부양해야할 의남자는 전문직이나 대기업 혹은 자기...
-
걍 해설지랑 책 n회독하면서 중요작품 열심히 공부하면 굳이 살 필요 없긋죠?
-
이미지 적어드림 30
밖에 있는데 배터리 없어서 응답엔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음
-
시간 지나도 덤벙거릴까봐 걱정되네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