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분포의 확률밀도함수의 개형에 대한 의문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316467
연속확률변수의 확률밀도함수 그래프의 형태를 보고 평균을 50점으로 설정하고, 학생들의 수학점수로 확률밀도 함수 그래프를 그려보았다. 그런데 그래프에서 정의역이 0점미만, 100점 초과인 부분을 보니 점근선에 인접하게 넓이가 존재한다는 것에 의아함을 느꼈다. 그러면 이 학생들은 점수가 음수 또는, 100점을 초과하는 것인가? 그것은 말이 안되지 않나? 위와 같은 고민을 계속 하다가, 점근선의 정의 및 특징으로 의문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받았다. 그래프에서 점근선 부분을 엄청나게 확대하면, 점근선의 정의에 따라 기하학적으로 x축과 거의 붙은 느낌이고, 확률밀도함수에서 넓이=확률이므로 이 부분에서는 확률이 거의 0이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저 내가 의문이 든 부분들은 수학적으로 이상적인 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것일 뿐, 실제로 존재하고 안하고는(ex 수학점수 103점, -12점 등) 상관이 없다는 생각을 하였다. 따라서 점근선 쪽에 있는 양 끝 부분에 대해서는 너무 신경쓰지 말라는 결론을 내렸고, 그리고 평균 근처의 집중된 상태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더 괜찮은 판단이겠다는 생각을 했다.
라고 결론을 내렸는데.... ㅜㅜㅜㅜㅜ 아니 그래서 음수의 점수랑 100초과 점수가 그래프 개형에 따르면 결국에 0은 아닌 확률로 존재하는 이유가 뭔지 아시나요?????? 살려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인스타 맞팔보다 오르비 맞팔이 더 많으면 개추 ㅋㅋ 0
일단 난 아직은 아님
-
그냥 인스타를 안 하면 된다 ㅈㄴ꿀팁이니까 메모장에 적어두셈
-
네
-
레어복구완 2
흠흠 공부하러 가야지
-
안녕하세요 기출 분석이라는 것이 정확히 뭐냐? 어떻게 해야 되냐? 이런 질문들이...
-
어느정도 인지하고 먹금하는 문화가 발전하는 거 같아서 나름 전진하고 있다고는 봄....
-
본계 팔로워가 10명도 안됨..
-
세상 생각보다 좁습니다 님들
-
어떻게 해야 안틀릴까요 일단 내용파악이 잘 안돼서(두번이상 읽어야 이해되기...
-
수의대 본1인데 치대로 옮기는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7
제가 졸업하고 다시 온거라 나이도 좀 많고 지금까지 다닌것도 좀 아깝긴 한데...
-
서로 사랑하면됨 8
잔뜩 힘 준 미간엔 힘을 풀고 잔뜩 올라간 눈썹 끄트머리는 내리고 말의 끝을 갈아서...
-
반박 안받는다.
-
젠더갈등 조장글은 대체 왜쓰는거임?
-
오늘 점심에 좀 과식해서 저녁은 가볍게 머거야댐
-
내 이름과 얼굴을 아는 사람이 생겼어.. 나 이게 뻘글 못씀 부끄러워서
-
전국 서바이벌 모의고사는 따로 등급컷 안나오나요??
-
놀이터 2
옛날. 놀이터에서 우리는 아무런 의심없이 새 친구를 만나고, 콧물을 흘리며 놀았다....
-
내가 11
고능아 이과였으면 건수의를 가고싶었을건데 고능아도아니고 이과도 아니라서 안 됨 하하
-
다른거보다 우선으로?
-
내가 원래 음모론 싫어하는데, 댓글로 분탕치는 세력들 무조건 있다 시발... 그거...
-
차은우라는 컨셉 자체가 ’나‘를 전체적으로 표절한거같음. 훤칠한 키, 태평양 같은...
-
오느른 4
킬캠으로 초이스
-
17년도인가 내가 경북대 정밀기계과 17학번임 그건 과거 인증햇으니까 글타 쳐도 이...
-
인터넷으로 사전입력 하실건가요? 고3 재학생들도 다 사전입력하나요?
-
241122 260622 < 역대급 고평가 22번 탑 5
전자는 친윤 모의고사가 하향평준화돼서 그런 거라 생각하면 되는데 후자는 이미...
-
스탠다드 0
김현우 스탠다드 미적분 N제로 치면 어느 정도임? 쉬운 드릴 정도 되나요?
-
레어가생겻어요..
-
화작이고요 6모는 4등급입니다현재 김동욱 체크메이트 독서,문학 하고잇습니다어떤...
-
곰식이 귀여워 3
-
1. 중력렌즈 현상 중력렌즈는 질량이 있는 물질에 의해 시공간이 휘어지면서, 그...
-
아이디어 본교재 연습문제 풀만한데 싱커는 쉽다고 해서 기생집이랑 병행하려고 하는데 어떤가요?
-
오늘만 데옾 3
여행왔음..불안해서 이따 호텔에서 수학플거임 방학 처음으로 공부안해봄
-
계산 줄이는 스킬같은거 아예 모름 근데 사칙연산은 평균에 비해서 느리고 실수도 많은편
-
학종 평가요소 5
교과내신성적 100프로인 학생부교과가 교과내신+학생의 인성&면모+교외...
-
친구랑 둘이 보러가기로 했어요
-
걍 ㅋㅋ
-
ㄹ ㅇ
-
옵창빙고 7
시발...저딴질문은왜잇노
-
그래야 사고 싶은게 생기거나 레어 사는거 대결 붙으면 못사거나 뺏기게됨
-
왜비싸요? 잘모름
-
덕코 얻는 방법이 따로 있는건가 난 왜 5만따리야..
-
난고닉이아니어서 3
다행이야
-
너무많은디
-
은테 이상 특) 2
최근 게시글에 댓글을 다는 동테 이상의 모든 오르비언들과 맞팔일 가능성이 높음...
-
웅
-
오빠졸업식가서ㅋㅋ
-
누구는 안받아도 예쁘게 생겼을 거 아니야..하
-
관세협상 쇼부잘봤네 16
일본보다는 훨씬잘본듯 ㅇㅇ
현우진t 예전에 이거 언급하셨던 것 같은데
그것두 수업중에 보긴봤는데 고등학생 선에서 그냥 이상적이다~~ 이런식으로 말씀해주셔서요..
학생들의 점수분포는 이산확률분포니까 그런거 아닐까영
이산확률분포여서 음수 점수, 100 초과점수가 있다고 치부하기에는 ㅜㅜ 이건 약간 이상? 같은거고 현실에서는 결국 없는거잖아용.. 그게 궁금해서요오..
1. 이산확률 분포이므로 0에서 100까지만 점수가 있다. (이건 ㄹㅇ 찐 현실)
2. 학생들의 점수분포라는 이산확률 분포가 '근사적으로'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판단해도 별 문제가 없다. 그리고 분포를 통계적으로 다루는데 도움이 된다.
3. '근사적'이란 말에서 정규분포상 100점 이상의 점수와 0점 이하의 점수는 마치 99.5점을 무시하듯, 무시할 수 있다. (0점이나 100점으로 치부하는 등으로)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네요!
점수는 이산확률변수인데 왜 확률밀도함수를 그림?
음... 점수가 모두 정해진 시험에서야 그렇겠지만 만약에 모든 점수가 가능한 시험이라면.. 아니면 몸무게나 키라면요? ㅜㅜ 몸무게나 키가 음수일순 없자나요..
일단 측정기구의 정확도/측정 범위 때문에 몸무게 조차도 우리가 다루는 데이터 상에서는 이산확률분포일 수 밖에 없어요.
그리고 아랫분 말대로 그 경우에도 무시하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볼 수 있는거지, 정확하게 정규분포를 따르는게 아니니까요.
아 그런 의미에서 물어본거라면 예전에 수학과 다니는 분 말로는 애초에 그런 경우는 실제분포를 계산하기 쉽게 정규분포로 근사한다 개념이고 + 음의 값을 갖는 확률 자체가 매우 작아서 개무시해도 된다! 라 하심
애초에 그 음의 값을 갖는 확률이 유의미해서 문제가 된다면 정규분포로 근사가 가능하다는 자체부터가 거짓말이기 때문이라네요
애초에 엄밀히 따지면 몸무게나 키가 정규분포를 따를 수도 없음
아아... 뭔가 간지러웠던 부분을 긁어주신 느낌이네요 감사합니다 행님들 여러모로
확실하진 않은데 그냥 아는대로 씨부려볼게요. 이제 통계학과 3학년임
학생들의 점수가 정규분포를 따른다 <- 이 가정부터 잘못된 듯. 일단 학생들 점수가 이산확률분포일 뿐 아니라 말하신대로 정의역이 0~100 사이인데 정규분포를 따른다? 애초에 말이 안되죠.
보통 정규분포 관련해선 C.L.T라고 있음. 검색하면 나오는데 어떤 개같은 분포건 여러개 모아서 표본평균 내면 근사적으로 정규분포 따름 (표본 수만 충분하다면)
이거라고 생각하고 말해보면 표본평균이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생각해도 0이하와 100이상 값은 무시해야함. 정의역(통계에선 보통 support라 말함)이 0이상 100이하인데 그 밖의 값에 확률을 줄 이유가 없기 때문.
CLT가 중심한계정리 말씀하시는거죠??? 아 근데 점수로 정규분포를 따른다 한게 조금 에러인듯 한것같기도 하네요.. 근데 점수 대신에 몸무게나 키라고 한다면.. 그건 연속확률변수 아닌가요 ㅜ
예 중심극한정리ㅇㅇ 몸무게나 키로 한다해도 분포를 가정할때 정 정규분포를 쓰고 싶다면 나올 수 없는 값들은 support에서 제외하고 가정해야겠죠. 정규분포라고 있는 그대로 갖다써야하는게 아니고 현실적으로 그럴듯한 분포를 생각해내서 가정하는거니까요. 말하신대로 상식적으로 키가 음수일리가 없는데 거기에 확률을 부여해서 가정하고 있으면 미친놈이죠. 그건 통계적 가정이 아니라 SF임
아하... SF라는 말에 뿜었네요 ㅋㅎㅎ 아 그니깐 애초에 정의역으로 구간을 통제해서 설령 그 구간에 대한 확률이 존재한다 치더라도 무시한다 이말씀이신거죠?
키랑 몸무게가 어떤 분포에서 나올까?하고 생각하면서 가정하는 확률분포이니 애초에 정의역 바깥에는 확률 0으로 두고 키와 몸무게를 대표한다 생각되는 원하시는 어떤 분포를 생각해내시면 됩니다. 본인이 확률분포를 만들어서 가정한다 생각하시는게 이해하시기 편할 것 같네요. 물론 통계적으로 근거가 있는 분포여야겠지만 그건 나중 얘기고..
아 ㅜㅜ 감사합니다... 이해가 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