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과 어떤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113736
학부모입니다. 저희 애가 천문학과 가고 싶다 하고, 저는 전망 없을 듯하여 반대하고 있는데, 어떤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계약학과 반영비 0
과탐 II과목이나 비어있는 칸은 과탐2개 필수 대학입니다.
-
진짜 뭐가문제지 0
램 맛간건가. 산지반년 좀 넘었는데 ㅅㅂ..
-
공부한다 0
공부하기 실타
-
내신이 비중 큰 건 아니라서 열심히 죽어라 하라는 건 아니지만 0
1점 깎이는 거로 예비 몇십등도 밀려나는 게 정시인데 0.01점으로도 동점자로도...
-
풀만한가요??
-
한대산으로 3행시 해주세요 정말 좋은 거 나오면 앞으로 오피셜로 쓸 생각입니다.
-
설 1
설 기어라
-
대타타 모고가 해강이 없어서,,,ㅠ
-
서바, 강대k 하고있는데 계속 30점대 중반정도로 나오고있어서 실모볼때마다 자신감이...
-
어떤게 더 어려워요?
-
반수라서 너무 늦게시작해서 지금 기출1회독 싱커 엔티켓시즌1 하고 기출 어려운 4점...
-
설맞이 s1풀었고 드릴같은건 다해서 이해원풀까 고민중인데 설맞이 s2가 더...
-
고등어시켯다 0
고등어구이 개맛잇
-
사실쉬고싶긴한데
-
진짜로 ㅇㅇ;;;;절대 혼밥하기 무서워서 그러는거아님
-
언제 출시하는지 궁금해요
-
밤새기 도전중 4
과연 14시간을 버틸 수 잇을거신가
-
1.1정도로 3학년 1학기까지 마감했는데 목표 최저가 3합 4에요 6모 기준 3합...
-
한 13시간 논스탑낸내 가능
-
차라리 앓고 나면 그만인데
-
누가 팬 기분
-
햄부기 선생 4
부기 선생
-
특별히 어려울 건 없는 아주 단순한 문제입니당. 시험지 난이도에 따라 26~27에...
-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 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
고통의 존재=나쁨 쾌락의 존재=좋음 고통의 부재=좋음 쾌락의 부재=나쁘지 않음...
-
n티켓보다 이해원s1이 훨씬 풀만햇음..n티켓은 뭔가 이게뭐지?이런 느낌이 드는...
-
조정식? 명학?
-
미친 매미 6
창문에 달라붙어서 꿈에서 공습 경보 울림
-
하루에 한번정도 나는 것 같은데 정상임?
-
나태해
-
미소녀 11
초거유금발미소녀메이드로봇이 갖고싶구나
-
개정시발점 0
처음 하는데 부교재쎈대신 수분감 0스텝으로 할까요??
-
기업 상속 어려워... 해외로도 탈출 [상속세 개편 공염불 되나]③ 6
최근 국내 중소·중견기업 창업주가 상속세 부담으로 사모펀드에 경영권을 넘기거나...
-
히히 굿모닝 0
8시 딱조타
-
뭐같아보임 멘헤라다 일(직업이든 과제든 시험공부든)하느라 지친 사람이다
-
어떻게 보면 연애시장에서 젊은 여성이 기득권이었는데 파이를 ai한테 다...
-
닉스 성과급 많이 나온거아는데 어차피 5~6년 뒤면 바뀌고도 남을테니 그 점은...
-
투과목 실모 1
올해꺼는 요즘메타에 맞춰서 만들어질거아님 근데 넘비쌈 작년꺼 번장에 좀 있던데...
-
언매하러감 ㅋㅋ
-
일어났는데 꿈 속인 느낌
-
본인 혼자 먹고 살만큼 버는것도 절대 쉬운게 아닌데 6
K-인플레이션이 조스로 보여???
-
브릿지 8
브릿지 번장에서 사려고 하는데 작년꺼 사는 건 별로일까요..??? 수학은 올해꺼...
-
재수하는데 성적 별로 안올랏다고 지랄하는데 더 하기싷ㅎ러짐
-
한시간씩이래 0
1초씩 끊어자면 ㅇㅇ
-
아니 근데 컴퓨터 램 뽑꼽도 삼만번 하고 지우개질도 했는데 0
왜 자꾸 하드웨어 오류가 뜨냐
-
귀신들 너무예뻐...
-
이론상 모든 시간대에 활동하면서 12시간이나 잘 수 있는건가
솔직히 전망이란건 아무도 모르는거 아닐까요?
순수학문이죠
먹고 살기 위해 가는 과는 아니죠 이거 읽어보세요
https://gall.dcinside.com/m/physics2/9185
전망없음 ㅇㅈ
솔직히 ㄹㅇ 전망없는거 아실듯.. 먹고살 수 있는 데로 가요
통계학쪽으로 취업이 된다고 합니다
제 큰 애가 이과라서, 전공 관련해서 몇 년 전에 여러 가지로 검토하고 고민해 본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천문학과의 선택에서는 좀더 진지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별을 좋아하고 우주의 탄생과 별의 소멸 등의 이야기에 매력을 느끼며 상상 속에서 우주여행을 하면서, 천문학과를 한번쯤 생각해 보는 수험생들이 일부 있는 듯합니다. 그리고 천문학과가 동일 대학의 이과계열 학과 중에서 낮은 편에 속하다 보니, B대학 공대의 인기학과 대신에 A대학의 천문학과를 가면 학교 레벨을 한 단계 올릴 수 있다는 생각 때문에도 고려해 보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지원을 할 때에는 더 신중해져야 합니다.
우선 천문학과는 별자리 공부하는 학과가 아닙니다. 요즘은 전공자들조차도 천문대의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하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컴퓨터로 데이터를 받아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수학계산으로 날새는 곳입니다. 천문학과 희망학생들의 대부분은 천문학과에서 무엇을 공부하는지 잘 모른 채로 지원합니다.
가장 중요한 점이, 졸업 후에 진출할 자리 즉 일자리가 현저히 부족하다는 겁니다. 현실 사회에서 그 공부가 쓸모가 없다는 거지요. 심지어 천문학과 진학하겠다면서 미국 유학가서 나사 취직하면 되지 않느냐는 학생도 보았는데, 천문학과와 NASA는 거의 관계가 없습니다. 나사와 관계있는 학과는 항공우주공학과 같은 것인데, 이는 기계공학과의 일부라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나사에서는 외국인은 거의 받아주지 않습니다.
또한 상위레벨 대학으로 일단 입학해서 거기서 전과나 복수전공 하면 되지 않느냐는 의견도 본 적 있는데, 요즘 복수전공이 과거보다 쉬워졌다 해도 실제로는 이게 절대 쉬운 것이 아닙니다. 먼저 전과를 보면, 인기과에는 자리가 안 납니다. 복수전공도 어렵습니다. 인기과의 복수전공은 경쟁이 너무 치열하고, 경쟁에 이겨서 복전에 들어가는 학생들의 GPA는 상상 초월입니다. 또 천문학과에 입학한 후에, 무엇을 배우는지 그리고 졸업후 전망 등을 뒤늦게 알게 된 학생이 반수 같은 것을 시도하다가 학점 말아먹고 복전 시도에서 처참하게 실패하는 경우도 많이 보았습니다. 요컨대, 애초부터 확실하게 자기가 평생 가져갈 전공을 붙들지 않으면 인생이 참 힘들어집니다. 몇 년 전에 고민했던 사항이라서, 옛 생각이 나서 답글 달아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