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공은 비전공자도 배울 수 있으니 갈 필요없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1904066
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진짜 한심할 정도입니다.
어제 제가 가르친 초딩 4학년은 어지간한 대학생보다 텐서플로우를 더 잘 다룹니다. 그럼 이 친구가 인공지능 개발자이고 데이터 분석가입니까? CS지식이 하나도 없는데 말이죠
함부로 이상한 말 하고 다니지 마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확통 0
중복순열, 조합 잘못하면 확률 부분 못함? ㅈ됐네
-
여기사람들은 0
22 30을 푸네요 헐...ㄷㄷ 역시 난 저능아야...
-
하디 비율관계 0
계속 까먹네 8개 외우는게 안되냐
-
개념만 알아도 1등급 맞을 수 있는 과목이라고 생각해서 퍼즐 같은 거 잘 맞는...
-
이 나이에 수능 다시 보는 내가 ㄹㅈㄷ
-
점메추좀
-
제가 푼 방법 9
전 오히려 g-f를 생각 모댓는데 그렇게 푼 분들이 많은 듯 미분가능이나 연속성을...
-
못알아쳐먹는 내 머리가 너무 밉다 너무 미안해서 더 물어보지를 못하겠다 지금...
-
앱스키마 0
올해 해설 분권해준거임?
-
예전에 10번 문제에서 20분 박고 틀린 이후로 고쳐짐 그전엔 모든문제를 개특수 그래프로풀었음
-
뭐야 내 투데이 왜이래 12
아무리 메인이라도 좀 이상한데 어디 수출되서 박제당했나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과외가 기하급수적으로 늘면서 저도 더 좋은 선생님이 되고자… 유명한 인강들을 틈틈이...
-
기하 개념 나가는데 유형문제까진 ㄱㅊ 근데 단원문제만 들어가면 문제 접근...
-
시중 n제들보다 훨씬 참신하고 좋은 문제들이 많은데 가격은 1/3인게 말이안됨......
-
밥뭐먹지 14
먹지말까
-
걍 둘다 할 줄 아는 게 좋긴 한 듯 무기가 많으면 좋은 거니까
-
나만 유난히 못 견디는 거 같음 멘탈 나가서 며칠씩 날릴 때 마다 현타옴 그렇다고...
-
대서울대
-
왜 호텔 밖에 없어...
-
윤어게인 1
님들 준킬러 대비해려는데 준킬러 모음 기출을 먼저 할지 4규를 먼저 하는게 맞나요?
-
근데 메가스터디는 해설강의를 찍으면 적어도 4점 전문항은 올려줘야지 강사 지...
-
수학만 해야하나 0
이제 어싸 매주 한권씩 쳐내야하는데 이해원s1미적도 곧 나오는데 문제는 하사십...
-
사설실모문학 1
존나틀리는데 걍 정답근거만체크하고 넘어가야함?
-
사실 수학도 마찬가지 각잡고 개념 공부하면 사실 2주도 안 걸리는데 저도 고2때...
-
3모 4등급나왔고 그후로 기출 3회독정도해서 교사경하려는데 데이별로 나눠져있다던데...
-
어떻게 다 이렇게 열심히 하지 그나마 고2 내신 봐주는 애가 덜 열심히 하는데 다른...
-
공통비상 6
공통 문제 암것도 못풀겠네 미적 다 맞는걸 목표로 달려잇
-
7년쨰봐도모르곘네
-
악질이네
-
진짜 있으면 아이큐 몇일까
-
유베도 55분컷 만점은 안 될 듯 ㅅㅂ 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지하게 55분컷 만점은...
-
날씨 좋당 2
공부때려치고놀러가요
-
241022 재업 질문 20
fx=0이 되는것이 함수를 구분하는 기준인거 까지는 이해o 가 나 조건도 이해o...
-
매번있네
-
문제는 진도를 너무 못나감 너무 걱정됨 미적만 파는데 미적 이제 60퍼정도 나감...
-
ㅜㅜㅜㅜ
-
수업진도따라가는것도 벅차서 엔제는개뿔 그냥 시발임
-
감사하지만 사양하겠습니다 ㅋㅋㅋㅋ
-
https://youtu.be/J5kn59K4_QU?si=1xZ_n88YSGCrWkg...
-
ㄱㅊ음? 어짜피 풀긴할건데 이해원이랑 이로운중에 뭐먼저 풀지 고민되네요
-
[과학] 뿌리혹 세균의 질소 고정(p.168): 14-3B(세포호흡),...
-
송아지 귀여어 4
,,ㅜㅜㅜㅜ
-
그러려니 같긴 한데 매번 헷갈리네 개같은거
-
지문 노란색과 빨간색 디스켓 두개를 꺼내 보이는 소피 소피: 완전히 다른 두 개의...
-
그러기에는 아직 이해를 완벽하게 못했고 납득이 안되는데 22번에 1시간 30분을 넘게 날리는 중임
-
나름 요즘 서바 88~92 나와서 킬캠 96~100 기대했는데 개털렸네
-
* 자세한 문의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연락 바랍니다....
멋쟁이 사자처럼 만세
컴공은 3학년 때가 제일 학교 커리 빡세나요?
학교마다 다른데 저희는 2학년 1학기에 자료구조를 들어야 나머지 모든 전공을 들을수 있어서 3학년때 6전공씩 듣더라구요

헉 고맙습니다ㄹㅇ비전공자랑 차이 없다는 말 수험생한테 무책임하게 왜 하고 다니는지?
CS지식은 컴공학과가 아니면 독학에 한계가 큰가요?
엄밀히 말하면 막히는 순간 해결하기가 정말 힘듭니다
듣다보니 진짜 궁금하긴 함 독학이랑 뭐가 다른지는
데이터구조나 이산수학같은거도 사실상 독학 가능한 수준인데 학교에서만 얻을 수 있는게 머가 있나용
(시비 아니고 ㄹㅇ 궁금
님 논리대로면
전자과아니여도
디논,회로설계 전공책 독학가능하니 굳이 왜감?
기계과
학교안다녀도 정,동,유체,열 역학 독학가능한데 학교 굳이 왜감?
이렇게 될것 같아용...
흠 그럴듯한데.. 유독 컴퓨터쪽은 인터넷쪽에 자기들끼리 알아서 강의해준단 이미지가 있어서 그런가
지금 생각해보니 사실 모든 과목 다 혼자 공부할 수 있는게 맞긴 맞는데
뭐 제대로 배우지도 않아놓고 독학이라고 씨부리고 다니는 사람들이 문제인거고... (독학이라 해봤자 4년제 대학에서 배우는 내용 전부를 독학으로 했을 가능성은.. 음..)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학위라는게 그 사람이 최소한의 지식을 갖췄다는걸 보장해주니까..라고 봐도 될.. 듯?
컴퓨터공학과는 대학이라는 인프라 아래에서
뜻 맞는 사람을 찾기 쉽다는 장점이 또 있다고
생각합니다. 덧붙여 자료구조나 이산수학 같이
쉬운 과목들은 당연히 독학 무조건 가능한데,
어려운 과목들도 사실 꽤 있어요.
자료구조 알고리즘 컴퓨터구조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정도가 코어 과목인데
얘네들을 학과 커리큘럼 없이 다 독학한다?
개인적인 생각일지 몰라도 쉽지 않을 듯.
그러게요 대학에서 만나는 인맥도 굉장히 중요한 요소라 생각이 들고 가르쳐주는 사람이 없는데 혼자 배우는게 말이 쉽지 현실적으로 어려울거 같긴 하네요
네네 맞아요. 제가 딱 드리고 싶은 말씀입니다.
개발자의 실력 당연히 중요하지만,
또 다른 중요 덕목 중 하나는 협업력이니까요.
it회사들이 프로젝트 경험을 괜히 중시하는 게
아니에요. 팀에 바로 녹아들 수 있는 실력자를
찾는 게 그들의 목적인데, 저는 학부 생활 없이
프로젝트 하면서 커뮤니케이션 열심히 해볼
협업자를 찾는 게 쉽진 않을 거라 생각해요.
학원을 다닌다고 해결될 문제도 아닌 듯하구요.
당장 매트랩 가격만 생각해봐도 인프라 자체도 중요한거 같고 ㅋㅋㅋ 학교를 다닐수 있으면 다녀라는 입장이긴 했지만 왜 다녀야 되는지 생각을 또 해보게 되네요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현직 연구 / 혹은 오랜 경험생활로만 얻을 수 있는 insight를 가지는 교수님들의 차이입니다.
전공자로서 솔직히 냉정히 말해서 '내용' 자체는 독학으로 충분히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수업 간간히 교수님들이 각 분야에 대해서 critical한 말씀들을 한마디씩 툭툭 던지는데, 이게 진짜 머리에 전구 띄워지는 것처럼 책에서 얻을 수 없는 깨달음(?)이 간간히 있습니다. 혹은 현직 연구나 필드에서 어떻게 지식이 쓰이는지 등등 정도?
학부수준에서는 솔직히 저 차이밖에 지금 당장 떠오르는 게 없네요.
대학원 수준 분야에서 독학 차이 없다고 얘기하면 어그로라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ㅋㅋㅋ확실히.. 수업 듣다보면 수업 내용 자체의 영향일수도 있지만 스키마?가 바뀌는 느낌이 있긴 하더라구요
컴공식 사고구조를 갖게 된달까
컴퓨터쪽 과외 하시나요?
수학과랑 복전 가능할까요
'가능'은 하는데 '쉽지는 않습니다'
누가그런 망언을 엌ㅋㅋㅋㅋ
해당발언한 ㅅㄲ는 100퍼 대학안간고딩일것같은데
모 의대생 선생님께서...
ㄴㄱ임??
직접 언급하긴 좀 그래서... 찾아보시면 나올듯 합니다
허허 의대생이면 보닌 전공하는것도 생각하면 답 나오는데 어이가없군요 ㅋㅋㅋㅋ
뉴스에 최근에 산부인과의사행세하며 청소년 성폭행한 30대 검거되었는데
놀라운거는 낙태수술부터 굉장히 의학적 지식이 해박하다고합니다..검사로 놀랐다고하는데.
독학으로 의학적지식? 가능하지 ㅋㅋㅋ
영업사원이 대리수술도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를두는거는 선임자로부터 제대로 된 학습을 받고 그 기술을 보다 효율적이며 사회에 공헌할수 있도록 하기위해서 교육기관을 설립하는건데
그런무지성논리는 ㄹㅇ 어이가없군요
이사람 유명함 진작에 차단했는데
요즘 열심히 의뱃 가치를 떨어뜨리고 계신 분…진작에 알아봄
https://orbi.kr/00041888778
이거같은데
얘 정신병인가
인생 살면서 입시공부만 게속 했을듯 ㅋㅋ
ㄹㅇ 주제모르고 너무 깝치는거 같음
개발자랑 코더 구분못하는 사람 너무많음
그럼 컴공 안 가고 국비학원 다니는게 가성비가 제일 좋났뎄죠,,ㅠㅜ
그냥 학벌 메리트가 타 학과에 비해서 적다고 보면 될듯
학벌메리트가 적다는 말에는 동의하시죠?
네 이건 동의할 수 있습니다
컴공vs전기전자
어떤게 더 전망이 좋을까요?
물리좋으면 후자가 가는게 더 좋을듯?
결국 수학을 알아야 개발을 하죠
코딩 만 잘 하는거로는 코더가 될 뿐
PS 독학 가능한거요??
저 사람들 말대로면 거의 모든 학과가 독학가능함
앙겔로가 그럼 그렇지 뭐
와 초4가 텐서플로우를요?? 고2때 해도 머리 진짜 아팠는데 대단하네 ㄹㅇ
꺼무위키 피셜
뭐 어느분야나 lib은 잘 됐지만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가장 중요한 분야니까요.
그걸 고려했을때 초4가 텐서플로우를 쓴다는건 진짜 놀랍네요
생각해보면 본인 초4때 케로로 보고있었음 아 ㅋㅋ
초4가 텐서플로 ㄷㄷ
오차나 편미분 같은 개념들은 그냥 대충 이해한걸까요 아님 그냥 영잰가
딥러닝 개발자나 대학원 분들 중에서도 대충 혹은 모르고 그냥 사용하는 경우도 드물게 보입니다.
다만, 그런 지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insight는 얻지 못하겠죠
편미분+오차역전파 등을 제대로 이해하지 않으면 나중에 optimizer나 손실함수에 대해서도 이해하기 어렵지 않나요?
그냥 이거엔 이 함수 쓰면 잘먹히더라 라는 선으로만 배우면 insight가 확실히 좀 떨어지긴 하겠네요
그냥 편미분 역전파 모르고 손실함수 흔히 쓰는거 쓰자 + 항상 adam쓰면 된다로 밀어붙이면 되긴 합니다
교수가 괜히 있는 게 아님...
이거 궁금하긴했음 ㄹㅇ
비전공자도 배울 수 있다는건 어느정도는 맞는 말이죠.
실제로 독학으로 대학교재 이해하고 실력도 전공자 이상인 사람들 있으니까요.
대학 졸업했는데 다른전공에 뜻이 생겨서 독학하는 사람들도 얼마나 많은데요.
근데 그게 컴공에만 해당되는 얘기는 아니죠.
어느전공이든 독학하는 사람들 있죠.
당연히 모든 과목이 독학가능하지 그걸 대학 갈 필요 없는 양 말하는 건 ㅋㅋㅋ 스필버그는 아카데미 타고 나서 대학 졸업했는데 이런식으로 특이케이스 따짐 대학 왜 감..? 그 의대생이 이상하네
그래도 대기업에서 비전공자가 개발자로 일하는 경우는 비단 한국 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있기는 하죠. 그런데 다른 이공계 직군에서는 이런 경우가 거의 없기도 하고요. 그래도 ai같은 특수 분야는 또 말이 다르기도 하고요.
안철수는 독학했는데요가 가장 들은말중 어이없긴한듯
사실 그렇게 따지면 모든 학부수준 전공은 다 독학으로 가능한데 대학 다니는게 의미가 있을까요.. 참 식견이 좁은 사람의 말이라는 생각이 드네욥ㅎㅎ
그와중에 텐서플로를 왜 초4가.. 파이토치해야하는데 말이죠 ㅎㅎ
아 ㅋㅋㅋㅋ 배우신 분
ㅇㅈ합니다 ㅋㅋㅋㅋㅋ
인공지능 개발같은 대학원의 영역이면 킹정인데 대부분 학부생은 어차피 코더들과 경쟁해야 하잖. 비유가 적절치 못한 것 같은데
ㄴㄴ 백엔드분야만 하더라도 전공자랑 비전공자랑 갭이 엄청 커요
단순히 타이핑하는거랑, 구조적인 것을 이해한 상태로 하는거랑 다릅니다 확실히
근데 그 구조적인 것을 이해하는데 학부가 굳이 필요한지 모르겠네요 저는. 주변에 고졸로 개발자 취업한 친구들 꽤 많은데 대졸 전공자들보다 압도적으로 잘하기도 하는 사례도 있고, 저도 공부해보면서 느낀건 이쪽 계열은 학부 나오고 안나오고보다는 (석박사는 예외) 재능이랑 열정이 우선인 것 같아요. 독학도 말이 독학이지 coursera, stack overflow 등등 뒤져보면 워낙 잘돼있어서..
사례가 있는거지 일반적인 케이스는 아닙니다. 가능 하기는한데 아무래도 벽이 크기는 하다고 생각합니다
대부분 비전공자가 느끼는 가장 큰 벽은 수 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무엇을 먼저 어떻게 시작하느냐입니다. 이 부분이 전공자 입장에서는 대학에서 커버를 많이 해주는거구요
기계과도 동역학, 정역학, 유체역학 물론 책이 다 공개되어있고 배우고자하면 소스야 많죠. 근데 그게 비전공자 입장에서는 엄청난 진임장벽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단순히 stack over flow나 블로그 글 긁어다가 코드 가져오는걸 전공에서 배우는게 아니라, 원리 자체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졌기에 차이가 발생한다고 생각해요
모든 전공이 인터넷에 정보가 있긴 합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전공자가 의미없다고 하는건 큰 오만이라고 생각합니다. 4년이나 해당 공부만 하는건데, 차이가 없을리가 있나요..
오픈 소스로 열어뒀더니 쉬워보이나 봅니다 참..
혹시 제 얘기일까요? 저는 쉽다고 얘기한 적이 없습니다.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등을 얼핏 활용해보고 좆밥이라고 치부할만큼 얕게 공부하지도, 그렇게 생각한 적도 없고요. 저는 단지 "굳이 프로그래밍을 배우기 위해 대학을 가야하나?" 라는 입장입니다. 물론 윗분 말씀처럼 어느정도의 진입장벽을 넘기 위해서는 학부가 도움이 된다는 말에는 동의합니다만, 그 이상, 대학원 이하의 지식을 습득하는데에 학부를 가야하는 중요성?은 글쎄요.. 잘 모르겠네요.
뭐 저보다 잘 아시겠습니다만 저는 개인적으로 대학을 가야만 배울 수 있는 폐쇄적인 몇몇 학과와 다르게 컴공은 굉장히 개방적이라 학부가 그렇게까지 필요하다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무슨 말씀이신지 알겠습니다. 저와 제 주변인들도 따지면 고등학교에서 배웠던 사람들이라서 공감을 못했던 것 같네요.
저도 리버싱 배울 때 처음엔 나뭇잎 책 하나 샀다가 일년 넘게 엄두도 못내고, 그 후에 동아리 들어가서 좀 배웠더니 빠르게 실력이 늘었던 것 같네요.
말씀하신것처럼 그 진입장벽을 넘는데 학부가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만, 그 진입장벽을 이미 넘은 사람이라면 학부가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다가 제 의견입니다.
난 초4때 버블파이터 잘했는디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