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Root [784371] · MS 2017 · 쪽지

2021-12-18 16:30:03
조회수 13,490

컴공은 비전공자도 배울 수 있으니 갈 필요없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1904066

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진짜 한심할 정도입니다.


어제 제가 가르친 초딩 4학년은 어지간한 대학생보다 텐서플로우를 더 잘 다룹니다. 그럼 이 친구가 인공지능 개발자이고 데이터 분석가입니까? CS지식이 하나도 없는데 말이죠


함부로 이상한 말 하고 다니지 마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메이코패스 · 951140 · 21/12/18 16:30 · MS 2020

    멋쟁이 사자처럼 만세

  • 차단된 회원입니다 · 1077930 · 21/12/18 16:31 · MS 2021

    컴공은 3학년 때가 제일 학교 커리 빡세나요?

  • 유카나시온 · 882840 · 21/12/18 16:33 · MS 2019

    학교마다 다른데 저희는 2학년 1학기에 자료구조를 들어야 나머지 모든 전공을 들을수 있어서 3학년때 6전공씩 듣더라구요

  • 차단된 회원입니다 · 1077930 · 21/12/18 16:37 · MS 2021 (수정됨)

    헉 고맙습니다
  • 간절한기도메타 · 1078376 · 21/12/18 16:31 · MS 2021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나사공 · 1028484 · 21/12/18 16:32 · MS 2020

    ㄹㅇ비전공자랑 차이 없다는 말 수험생한테 무책임하게 왜 하고 다니는지?

  • 아기팬더 푸바오 · 846750 · 21/12/18 16:35 · MS 2018

    CS지식은 컴공학과가 아니면 독학에 한계가 큰가요?

  • math100 · 510749 · 21/12/18 21:09 · MS 2014

    엄밀히 말하면 막히는 순간 해결하기가 정말 힘듭니다

  • 순천향대학교 · 978887 · 21/12/18 16:39 · MS 2020

    듣다보니 진짜 궁금하긴 함 독학이랑 뭐가 다른지는
    데이터구조나 이산수학같은거도 사실상 독학 가능한 수준인데 학교에서만 얻을 수 있는게 머가 있나용
    (시비 아니고 ㄹㅇ 궁금

  • 빛을보라 · 997901 · 21/12/18 17:00 · MS 2020

    님 논리대로면

    전자과아니여도
    디논,회로설계 전공책 독학가능하니 굳이 왜감?
    기계과
    학교안다녀도 정,동,유체,열 역학 독학가능한데 학교 굳이 왜감?

    이렇게 될것 같아용...

  • 순천향대학교 · 978887 · 21/12/18 17:12 · MS 2020 (수정됨)

    흠 그럴듯한데.. 유독 컴퓨터쪽은 인터넷쪽에 자기들끼리 알아서 강의해준단 이미지가 있어서 그런가

  • 순천향대학교 · 978887 · 21/12/18 18:45 · MS 2020 (수정됨)

    지금 생각해보니 사실 모든 과목 다 혼자 공부할 수 있는게 맞긴 맞는데
    뭐 제대로 배우지도 않아놓고 독학이라고 씨부리고 다니는 사람들이 문제인거고... (독학이라 해봤자 4년제 대학에서 배우는 내용 전부를 독학으로 했을 가능성은.. 음..)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학위라는게 그 사람이 최소한의 지식을 갖췄다는걸 보장해주니까..라고 봐도 될.. 듯?

  • almond · 832873 · 21/12/18 20:22 · MS 2018 (수정됨)

    컴퓨터공학과는 대학이라는 인프라 아래에서
    뜻 맞는 사람을 찾기 쉽다는 장점이 또 있다고
    생각합니다. 덧붙여 자료구조나 이산수학 같이
    쉬운 과목들은 당연히 독학 무조건 가능한데,
    어려운 과목들도 사실 꽤 있어요.
    자료구조 알고리즘 컴퓨터구조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정도가 코어 과목인데
    얘네들을 학과 커리큘럼 없이 다 독학한다?
    개인적인 생각일지 몰라도 쉽지 않을 듯.

  • 순천향대학교 · 978887 · 21/12/18 20:24 · MS 2020

    그러게요 대학에서 만나는 인맥도 굉장히 중요한 요소라 생각이 들고 가르쳐주는 사람이 없는데 혼자 배우는게 말이 쉽지 현실적으로 어려울거 같긴 하네요

  • almond · 832873 · 21/12/18 20:29 · MS 2018 (수정됨)

    네네 맞아요. 제가 딱 드리고 싶은 말씀입니다.
    개발자의 실력 당연히 중요하지만,
    또 다른 중요 덕목 중 하나는 협업력이니까요.
    it회사들이 프로젝트 경험을 괜히 중시하는 게
    아니에요. 팀에 바로 녹아들 수 있는 실력자를
    찾는 게 그들의 목적인데, 저는 학부 생활 없이
    프로젝트 하면서 커뮤니케이션 열심히 해볼
    협업자를 찾는 게 쉽진 않을 거라 생각해요.
    학원을 다닌다고 해결될 문제도 아닌 듯하구요.

  • 순천향대학교 · 978887 · 21/12/18 20:31 · MS 2020

    당장 매트랩 가격만 생각해봐도 인프라 자체도 중요한거 같고 ㅋㅋㅋ 학교를 다닐수 있으면 다녀라는 입장이긴 했지만 왜 다녀야 되는지 생각을 또 해보게 되네요

  • math100 · 510749 · 21/12/18 21:07 · MS 2014 (수정됨)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현직 연구 / 혹은 오랜 경험생활로만 얻을 수 있는 insight를 가지는 교수님들의 차이입니다.

    전공자로서 솔직히 냉정히 말해서 '내용' 자체는 독학으로 충분히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수업 간간히 교수님들이 각 분야에 대해서 critical한 말씀들을 한마디씩 툭툭 던지는데, 이게 진짜 머리에 전구 띄워지는 것처럼 책에서 얻을 수 없는 깨달음(?)이 간간히 있습니다. 혹은 현직 연구나 필드에서 어떻게 지식이 쓰이는지 등등 정도?

    학부수준에서는 솔직히 저 차이밖에 지금 당장 떠오르는 게 없네요.
    대학원 수준 분야에서 독학 차이 없다고 얘기하면 어그로라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 순천향대학교 · 978887 · 21/12/18 21:14 · MS 2020

    ㅋㅋㅋ확실히.. 수업 듣다보면 수업 내용 자체의 영향일수도 있지만 스키마?가 바뀌는 느낌이 있긴 하더라구요
    컴공식 사고구조를 갖게 된달까

  • 코코넛우유 · 884630 · 21/12/18 16:47 · MS 2019

    컴퓨터쪽 과외 하시나요?

  • 골든아이 · 1018217 · 21/12/18 16:48 · MS 2020

    수학과랑 복전 가능할까요

  • math100 · 510749 · 21/12/18 21:08 · MS 2014

    '가능'은 하는데 '쉽지는 않습니다'

  • 빛을보라 · 997901 · 21/12/18 16:58 · MS 2020

    누가그런 망언을 엌ㅋㅋㅋㅋ

    해당발언한 ㅅㄲ는 100퍼 대학안간고딩일것같은데

  • 포공이말대꾸!? · 1048241 · 21/12/18 17:43 · MS 2021

    모 의대생 선생님께서...

  • 뽀꼬로꼬 · 1084802 · 21/12/18 17:45 · MS 2021

    ㄴㄱ임??

  • 포공이말대꾸!? · 1048241 · 21/12/18 17:46 · MS 2021

    직접 언급하긴 좀 그래서... 찾아보시면 나올듯 합니다

  • 빛을보라 · 997901 · 21/12/18 17:51 · MS 2020

    허허 의대생이면 보닌 전공하는것도 생각하면 답 나오는데 어이가없군요 ㅋㅋㅋㅋ

    뉴스에 최근에 산부인과의사행세하며 청소년 성폭행한 30대 검거되었는데
    놀라운거는 낙태수술부터 굉장히 의학적 지식이 해박하다고합니다..검사로 놀랐다고하는데.

    독학으로 의학적지식? 가능하지 ㅋㅋㅋ
    영업사원이 대리수술도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를두는거는 선임자로부터 제대로 된 학습을 받고 그 기술을 보다 효율적이며 사회에 공헌할수 있도록 하기위해서 교육기관을 설립하는건데

    그런무지성논리는 ㄹㅇ 어이가없군요

  • 올해수의대예비붙고들어갈 오로지. · 1026194 · 21/12/18 18:42 · MS 2020

    이사람 유명함 진작에 차단했는데

  • 앤드루 뤄 · 462259 · 21/12/18 19:41 · MS 2013

    요즘 열심히 의뱃 가치를 떨어뜨리고 계신 분…진작에 알아봄

  • 15렙 넘으면 탈르비 · 1088272 · 21/12/18 17:51 · MS 2021

    https://orbi.kr/00041888778
    이거같은데

  • 예비이빨요정 · 1089952 · 21/12/18 19:53 · MS 2021

    얘 정신병인가
    인생 살면서 입시공부만 게속 했을듯 ㅋㅋ

  • 두르레기 · 965622 · 21/12/18 20:42 · MS 2020

    ㄹㅇ 주제모르고 너무 깝치는거 같음

  • Vladilena Milizé · 775642 · 21/12/18 17:46 · MS 2017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46 원태인 · 1103713 · 21/12/18 18:28 · MS 2021

    개발자랑 코더 구분못하는 사람 너무많음

  • Vladilena Milizé · 775642 · 21/12/18 18:51 · MS 2017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조각모음 · 906296 · 21/12/18 17:46 · MS 2019

    그럼 컴공 안 가고 국비학원 다니는게 가성비가 제일 좋났뎄죠,,ㅠㅜ

  • Schrödinger · 1084785 · 21/12/18 17:50 · MS 2021

    그냥 학벌 메리트가 타 학과에 비해서 적다고 보면 될듯

  • 노루 · 478820 · 21/12/18 17:52 · MS 2013

    학벌메리트가 적다는 말에는 동의하시죠?

  • math100 · 510749 · 21/12/18 21:02 · MS 2014

    네 이건 동의할 수 있습니다

  • 사용중이 아닌 이름 · 1008093 · 21/12/18 17:55 · MS 2020

    컴공vs전기전자

    어떤게 더 전망이 좋을까요?

  • 더샤이 · 966989 · 21/12/18 17:56 · MS 2020

    물리좋으면 후자가 가는게 더 좋을듯?

  • 레드불 · 1092264 · 21/12/18 17:55 · MS 2021

    결국 수학을 알아야 개발을 하죠
    코딩 만 잘 하는거로는 코더가 될 뿐

  • Orbi_mold · 926868 · 21/12/18 17:55 · MS 2019

  • 교재구매 · 995348 · 21/12/18 17:57 · MS 2020

    PS 독학 가능한거요??

  • 15렙 넘으면 탈르비 · 1088272 · 21/12/18 17:57 · MS 2021

    저 사람들 말대로면 거의 모든 학과가 독학가능함

  • 성공하면 왕 실패하면 도적 · 1092798 · 21/12/18 17:59 · MS 2021

    앙겔로가 그럼 그렇지 뭐

  • Oric · 966237 · 21/12/18 18:02 · MS 2020

    와 초4가 텐서플로우를요?? 고2때 해도 머리 진짜 아팠는데 대단하네 ㄹㅇ

  • 대학원생(진) · 986620 · 21/12/18 18:07 · MS 2020

    꺼무위키 피셜

  • Oric · 966237 · 21/12/18 18:09 · MS 2020

    뭐 어느분야나 lib은 잘 됐지만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가장 중요한 분야니까요.
    그걸 고려했을때 초4가 텐서플로우를 쓴다는건 진짜 놀랍네요

  • 대학원생(진) · 986620 · 21/12/18 18:10 · MS 2020

    생각해보면 본인 초4때 케로로 보고있었음 아 ㅋㅋ

  • 대학원생(진) · 986620 · 21/12/18 18:08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루드비히 · 783567 · 21/12/18 18:09 · MS 2017

    초4가 텐서플로 ㄷㄷ

    오차나 편미분 같은 개념들은 그냥 대충 이해한걸까요 아님 그냥 영잰가

  • math100 · 510749 · 21/12/18 21:03 · MS 2014

    딥러닝 개발자나 대학원 분들 중에서도 대충 혹은 모르고 그냥 사용하는 경우도 드물게 보입니다.
    다만, 그런 지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insight는 얻지 못하겠죠

  • 루드비히 · 783567 · 21/12/19 18:18 · MS 2017 (수정됨)

    편미분+오차역전파 등을 제대로 이해하지 않으면 나중에 optimizer나 손실함수에 대해서도 이해하기 어렵지 않나요?

    그냥 이거엔 이 함수 쓰면 잘먹히더라 라는 선으로만 배우면 insight가 확실히 좀 떨어지긴 하겠네요

  • math100 · 510749 · 21/12/19 19:30 · MS 2014

    그냥 편미분 역전파 모르고 손실함수 흔히 쓰는거 쓰자 + 항상 adam쓰면 된다로 밀어붙이면 되긴 합니다

  • 마로로 · 1101798 · 21/12/18 18:14 · MS 202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리오르 · 1048029 · 21/12/18 18:15 · MS 2021

    교수가 괜히 있는 게 아님...

  • 낙성대 물리학과 · 958755 · 21/12/18 18:17 · MS 2020

    이거 궁금하긴했음 ㄹㅇ

  • 101010101 · 732836 · 21/12/18 19:07 · MS 2017 (수정됨)

    비전공자도 배울 수 있다는건 어느정도는 맞는 말이죠.
    실제로 독학으로 대학교재 이해하고 실력도 전공자 이상인 사람들 있으니까요.

    대학 졸업했는데 다른전공에 뜻이 생겨서 독학하는 사람들도 얼마나 많은데요.

    근데 그게 컴공에만 해당되는 얘기는 아니죠.
    어느전공이든 독학하는 사람들 있죠.

  • 입시싫어어어어ㅓ · 1078040 · 21/12/18 19:41 · MS 2021

    당연히 모든 과목이 독학가능하지 그걸 대학 갈 필요 없는 양 말하는 건 ㅋㅋㅋ 스필버그는 아카데미 타고 나서 대학 졸업했는데 이런식으로 특이케이스 따짐 대학 왜 감..? 그 의대생이 이상하네

  • Manshin · 1066202 · 21/12/18 20:32 · MS 2021 (수정됨)

    그래도 대기업에서 비전공자가 개발자로 일하는 경우는 비단 한국 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있기는 하죠. 그런데 다른 이공계 직군에서는 이런 경우가 거의 없기도 하고요. 그래도 ai같은 특수 분야는 또 말이 다르기도 하고요.

  • 랩실의노예 · 993446 · 21/12/18 20:35 · MS 2020

    안철수는 독학했는데요가 가장 들은말중 어이없긴한듯

  • 화잘주스 · 1102154 · 21/12/18 21:31 · MS 2021

    사실 그렇게 따지면 모든 학부수준 전공은 다 독학으로 가능한데 대학 다니는게 의미가 있을까요.. 참 식견이 좁은 사람의 말이라는 생각이 드네욥ㅎㅎ

  • Hirschberg · 1048141 · 21/12/18 21:41 · MS 2021

    그와중에 텐서플로를 왜 초4가.. 파이토치해야하는데 말이죠 ㅎㅎ

  • math100 · 510749 · 21/12/18 21:42 · MS 2014

    아 ㅋㅋㅋㅋ 배우신 분

  • 루트Root · 784371 · 21/12/18 21:42 · MS 2017

    ㅇㅈ합니다 ㅋㅋㅋㅋㅋ

  • Comulonimbus · 1063530 · 21/12/18 21:47 · MS 2021

    인공지능 개발같은 대학원의 영역이면 킹정인데 대부분 학부생은 어차피 코더들과 경쟁해야 하잖. 비유가 적절치 못한 것 같은데

  • Hirschberg · 1048141 · 21/12/18 21:51 · MS 2021

    ㄴㄴ 백엔드분야만 하더라도 전공자랑 비전공자랑 갭이 엄청 커요

    단순히 타이핑하는거랑, 구조적인 것을 이해한 상태로 하는거랑 다릅니다 확실히

  • Asdfef · 772095 · 21/12/18 22:11 · MS 2017

    근데 그 구조적인 것을 이해하는데 학부가 굳이 필요한지 모르겠네요 저는. 주변에 고졸로 개발자 취업한 친구들 꽤 많은데 대졸 전공자들보다 압도적으로 잘하기도 하는 사례도 있고, 저도 공부해보면서 느낀건 이쪽 계열은 학부 나오고 안나오고보다는 (석박사는 예외) 재능이랑 열정이 우선인 것 같아요. 독학도 말이 독학이지 coursera, stack overflow 등등 뒤져보면 워낙 잘돼있어서..

  • Hirschberg · 1048141 · 21/12/19 00:39 · MS 2021

    사례가 있는거지 일반적인 케이스는 아닙니다. 가능 하기는한데 아무래도 벽이 크기는 하다고 생각합니다

  • Hirschberg · 1048141 · 21/12/19 00:46 · MS 2021

    대부분 비전공자가 느끼는 가장 큰 벽은 수 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무엇을 먼저 어떻게 시작하느냐입니다. 이 부분이 전공자 입장에서는 대학에서 커버를 많이 해주는거구요

    기계과도 동역학, 정역학, 유체역학 물론 책이 다 공개되어있고 배우고자하면 소스야 많죠. 근데 그게 비전공자 입장에서는 엄청난 진임장벽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단순히 stack over flow나 블로그 글 긁어다가 코드 가져오는걸 전공에서 배우는게 아니라, 원리 자체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졌기에 차이가 발생한다고 생각해요

    모든 전공이 인터넷에 정보가 있긴 합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전공자가 의미없다고 하는건 큰 오만이라고 생각합니다. 4년이나 해당 공부만 하는건데, 차이가 없을리가 있나요..

  • 루트Root · 784371 · 21/12/19 00:49 · MS 2017

    오픈 소스로 열어뒀더니 쉬워보이나 봅니다 참..

  • Asdfef · 772095 · 21/12/19 02:07 · MS 2017

    혹시 제 얘기일까요? 저는 쉽다고 얘기한 적이 없습니다.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등을 얼핏 활용해보고 좆밥이라고 치부할만큼 얕게 공부하지도, 그렇게 생각한 적도 없고요. 저는 단지 "굳이 프로그래밍을 배우기 위해 대학을 가야하나?" 라는 입장입니다. 물론 윗분 말씀처럼 어느정도의 진입장벽을 넘기 위해서는 학부가 도움이 된다는 말에는 동의합니다만, 그 이상, 대학원 이하의 지식을 습득하는데에 학부를 가야하는 중요성?은 글쎄요.. 잘 모르겠네요.
    뭐 저보다 잘 아시겠습니다만 저는 개인적으로 대학을 가야만 배울 수 있는 폐쇄적인 몇몇 학과와 다르게 컴공은 굉장히 개방적이라 학부가 그렇게까지 필요하다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 Asdfef · 772095 · 21/12/19 01:56 · MS 2017 (수정됨)

    무슨 말씀이신지 알겠습니다. 저와 제 주변인들도 따지면 고등학교에서 배웠던 사람들이라서 공감을 못했던 것 같네요.
    저도 리버싱 배울 때 처음엔 나뭇잎 책 하나 샀다가 일년 넘게 엄두도 못내고, 그 후에 동아리 들어가서 좀 배웠더니 빠르게 실력이 늘었던 것 같네요.
    말씀하신것처럼 그 진입장벽을 넘는데 학부가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만, 그 진입장벽을 이미 넘은 사람이라면 학부가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다가 제 의견입니다.

  • 야추털 · 1056169 · 21/12/19 10:48 · MS 2021

    난 초4때 버블파이터 잘했는디

  • wkdrn · 927203 · 21/12/20 01:50 · MS 2019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