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끝이다 [470196] · MS 2013 · 쪽지

2014-01-03 21:36:34
조회수 568

이번 물리1 응시자분들! 시험의 경향에 대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171632

생1은 유전, 지1은 천체 이런식으로 탐구에는 각각변별력을 가르는 파트가 있는 것으로 압니다. 그렇다면 물1에서는 어느 단원의 어느파트가 변별력 킬러문제로 출제되나요? 되도록 많이 알려주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적..나에게도좀ㅠ · 425521 · 14/01/03 21:41 · MS 2012

    1단원 일과에너지 하고 4단원에 돌림힘 같은게 킬러문제로나올수잇겟네요..물리1이 칠십프로가 그냥 아냐모르냐 확인하는식이라서 제생각에는 물리1꿀과목이될지모르겟네요..ㅎㅎㅎ

  • chemistrii · 470689 · 14/01/03 21:45 · MS 2013

    물리1의 변별력파트는 전통적으로 역학이였죠

    하지만 그 비중의 이동이 살짝 눈에띕니다.

    운동량보존법칙/에너지보존법칙등의 고전역학문제가 킬러로나왔던 반면에

    2014학년도 평가원에서는 유별나게 유체역학을 많이다루었습니다.(파스칼법칙/베르누이법칙등등)

    유체역학을 많이 다뤄보는것이 도움이 됬던해였습니다.

    그리고 돌림힘이 상당히 비중있게 다뤄졌습니다. 기억으로는 20번이였던거같네요

    그리고 특수상대성이론이 거의 빠짐없이 나왔습니다.(킬러인지는 잘 모르겠는데 배점은 항상 높더라구요)

    킬러문제는 이정도였던거같습니다.

    다만 지식을 묻는 문제가 상당히 비중이 커졌다는것이 특징이기도합니다.

    이건 2014학년도의 경향일 뿐이니 참고만하시고 2015학년도 평가원모의고사및 연계교제를 파보세요~

  • co-orbi · 450744 · 14/01/04 15:39 · MS 2013

    물리1이 단순암기가 많아져서 뇌를 거치지 않고 척추에서 바로 답이 튀어나오는 문제들이 많아졌어요.
    예를들면 우주파트나 신소재 반도체 케플러법칙 이런부분?은 패턴이 맨날 똑같습니다. 그냥 싹다 외워버리세요. 그럼 수능때도 무난해요. 단 원리를 이해해야되는건 좀 꼼꼼히 하셔야 수능때 낯선걸 물어볼 수도 있습니다.

    조금 중요시해야될 부분은 역학(역학의 중요성은 말할필요도없죠.), 유체역학, 발전소 송전과정, 돌림힘, 상대성이론(이건 많이해보시면 절대틀리지않습니다. 정해진게나올수밖에없는 이론부분입니다.) 정도가 될 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