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1047543] · MS 2021 · 쪽지

2021-12-09 20:29:52
조회수 2,647

지구과학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1439216


800~2000구간이 밀도약층인것 같은데 밀도약층은 수온약층이랑 비슷하지 않음? 근데 왜 수온 변화가 없음 ㅇㅇ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Huuiop · 875235 · 21/12/09 20:30 · MS 2019

    밀도약층과 수온약층은 별개임

  • T. · 1047543 · 21/12/09 20:31 · MS 2021

    수온약층의 범위와 일치하다는듸?

  • Huuiop · 875235 · 21/12/09 20:32 · MS 2019

    님이 밀도약을 수온약이라 본거부터 틀린거

  • Huuiop · 875235 · 21/12/09 20:33 · MS 2019

    왜 수온이 달라야하는지 설명해보세요

  • T. · 1047543 · 21/12/09 20:34 · MS 2021

    밀도약층은 수온약층의 범위와 일치하다는디?

  • Huuiop · 875235 · 21/12/09 20:35 · MS 2019

    누가 그래요ㅋㅋ

  • T. · 1047543 · 21/12/09 20:35 · MS 2021

    개념

  • Huuiop · 875235 · 21/12/09 20:46 · MS 2019

    찍어서대댓달아봐요

  • Huuiop · 875235 · 21/12/09 20:32 · MS 2019

    자료보셈 저게 어떻게 수온약층범위임

  • 닥마 · 994443 · 21/12/09 20:38 · MS 2020 (수정됨)

    밀도 약층은 수온 약층과 대체로 비슷한 수심에서 나타납니다. 염분의 변화량보다 수온의 변화량이 크기 때문에 해수의 밀도는 수온의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는 개념의 연장이에요. 교과서에도 쓰여있는 내용이에요.

  • Huuiop · 875235 · 21/12/09 20:45 · MS 2019

    말그대로 대체로입니다. 그리고 교과서에 쓰인것도 수온약층이 밀도약층일 경우가 대체로라는거지 밀도약층이 대체로 수온약층이다는 별개입니다

  • 닥마 · 994443 · 21/12/09 23:21 · MS 2020 (수정됨)

    그건 당연한 소리 아닙니까,,, 글쓴이가 알고 싶은건 밀도 약층과 수온 약층은 수심이 대체로 일치하는데, 어째서 첨부된 자료에서는 밀도 약층이 눈에 띄지 않는지를 궁금해하는 거 잖아요. 그렇다면 저 자료에서 밀도 약층을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을 해주어야지요. 거기에 '밀도 약층과 수온 약층은 다름' 이라는건 꼬투리 잡는 것밖에 되지 않습니다.

  • Huuiop · 875235 · 21/12/09 23:57 · MS 2019

    꼬투리잡는다니요 밀도약층이라고 수온약층이 아니니 서로 다른거라하는데 이게 무슨 꼬투리에요 님

  • 수능뚫어 · 994155 · 21/12/09 20:32 · MS 2020

    세로축이 온도인데 800-2000 구간에서 보면 수온이 거의 일정해요

  • T. · 1047543 · 21/12/09 20:32 · MS 2021

    그니까 왜

  • 수능뚫어 · 994155 · 21/12/09 20:34 · MS 2020

    원래 수온약층이랑 밀도약층이 일치하는게 아녜요, 지구과학은 아는 개념보다 주어진 표나 그림 해석이 우선해서 푸는게 조은듯요

  • 자무 · 1007821 · 21/12/09 20:33 · MS 2020

    저 해역은 그런가보죠

  • 무조건한방에 · 1073594 · 21/12/11 23:07 · MS 2021

    이런태도가 최고죠 ㅋㅋ

  • fsdjon · 1097669 · 21/12/09 20:33 · MS 2021

    일치가 아니라 비슷하다.. 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어떤 자료의 경우는 다를 수도
    어떤 자료의 경우는 같을 수도 있어요

  • 아!루 · 973416 · 21/12/09 20:37 · MS 2020

    무조건 자료를 기준으로 보셈
    오지훈쌤도 매번 얘기하던건데 어찌됬든 자료가1순위임 자료해석형 문제임

  • 닥마 · 994443 · 21/12/09 20:42 · MS 2020

    다 동문서답만 달리니 답답하겠네요. 일단 800m~2000m는 밀도 약층이 아니에요. 일단은 수온의 변화를 살펴보세요. 0m~800m 구간까지 수온이 급격히 변하고 있죠? 혼합층이 제대로 발달되어 있다면 수온이 일정한 층이 가장 표층에 있어야할텐데 없잖아요? 이 경우는 혼합층이 거의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거에요. 따라서 0m~800m 구간에 수온 약층이 형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고, 거기쯤이 밀도 약층이 되는거에요. 0~800m 내려갈동안 800m~2000m를 내려가는 것보다 밀도의 변화가 더 크니 비교적 밀도가 급격하게 변했다고 할 수 있죠.

  • Huuiop · 875235 · 21/12/09 20:49 · MS 2019

    800-2000이 왜 밀도약층이아니에요 ? 0-800보단 비교적 덜 급하게 변했지만 밀도약층이 아니라고 할수는 없을 것 같은데요.

  • Huuiop · 875235 · 21/12/09 20:50 · MS 2019

    수온,염분 두가지 모두 영향을 끼치는게 맞고 일반적으로 수온의 영향이 더 크지만 수온이 저렇게 비슷할 땐 염분이 밀도영향을 크게 줍니다

  • 닥마 · 994443 · 21/12/09 23:16 · MS 2020 (수정됨)

    '일반적으로 해수는 밀도는 수온과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다'는 교과서에도 등장하는 표현입니다. 뭔가 제 말을 오해하신 것 같은데, 밀도 약층이 아닌 구간이라고해서 밀도가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저는 해수의 밀도가 수온에 큰 영향을 받는다고 했지, 염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는 한 적이 없습니다.

  • Huuiop · 875235 · 21/12/09 23:54 · MS 2019

    님이 800이랑 2000사이 밀도약층 아니라 하셨잖아요ㅋㅋ

  • 닥마 · 994443 · 21/12/09 23:14 · MS 2020 (수정됨)

    해당 자료와 깊이에 따른 밀도 값이 비슷한 그래프 가져왔습니다. 표층의 밀도는 다르지만 그 이후로는 대체로 비슷한 그래프인데요. 이런 경우 보통 800m~1000m 정도까지를 밀도 약층이라고 하죠.

  • Huuiop · 875235 · 21/12/10 00:07 · MS 2019

    글쓴이한텐 밀도약이 수온약으로 연결되는게 아니라 별개의 것이다 라는게 필요한건데 동문서답은 님이하고있고 꼬투라잡는다고 폄훼하고계시네요

  • Rudinai · 1225697 · 23/05/24 19:57 · MS 202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니가뭘알아임마 · 1078756 · 21/12/09 20:59 · MS 2021

    지구과학에 절대적인 개념은 없다
    이 자료에서는 그렇고 저 자료에서는 다를수 있는거임
    개념에서 말하는거는 대체로 그렇다 이말인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