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1439216

800~2000구간이 밀도약층인것 같은데 밀도약층은 수온약층이랑 비슷하지 않음? 근데 왜 수온 변화가 없음 ㅇㅇ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전 들어보지는 않았음, 다만 분명 이 강의가 엄청나게 도움이 되는 사람이 있을거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1439216
800~2000구간이 밀도약층인것 같은데 밀도약층은 수온약층이랑 비슷하지 않음? 근데 왜 수온 변화가 없음 ㅇㅇ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전 들어보지는 않았음, 다만 분명 이 강의가 엄청나게 도움이 되는 사람이 있을거란...
밀도약층과 수온약층은 별개임
수온약층의 범위와 일치하다는듸?
님이 밀도약을 수온약이라 본거부터 틀린거
왜 수온이 달라야하는지 설명해보세요
밀도약층은 수온약층의 범위와 일치하다는디?
누가 그래요ㅋㅋ
개념
찍어서대댓달아봐요
자료보셈 저게 어떻게 수온약층범위임
밀도 약층은 수온 약층과 대체로 비슷한 수심에서 나타납니다. 염분의 변화량보다 수온의 변화량이 크기 때문에 해수의 밀도는 수온의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는 개념의 연장이에요. 교과서에도 쓰여있는 내용이에요.
말그대로 대체로입니다. 그리고 교과서에 쓰인것도 수온약층이 밀도약층일 경우가 대체로라는거지 밀도약층이 대체로 수온약층이다는 별개입니다
그건 당연한 소리 아닙니까,,, 글쓴이가 알고 싶은건 밀도 약층과 수온 약층은 수심이 대체로 일치하는데, 어째서 첨부된 자료에서는 밀도 약층이 눈에 띄지 않는지를 궁금해하는 거 잖아요. 그렇다면 저 자료에서 밀도 약층을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을 해주어야지요. 거기에 '밀도 약층과 수온 약층은 다름' 이라는건 꼬투리 잡는 것밖에 되지 않습니다.
꼬투리잡는다니요 밀도약층이라고 수온약층이 아니니 서로 다른거라하는데 이게 무슨 꼬투리에요 님
세로축이 온도인데 800-2000 구간에서 보면 수온이 거의 일정해요
그니까 왜
원래 수온약층이랑 밀도약층이 일치하는게 아녜요, 지구과학은 아는 개념보다 주어진 표나 그림 해석이 우선해서 푸는게 조은듯요
저 해역은 그런가보죠
이런태도가 최고죠 ㅋㅋ
일치가 아니라 비슷하다.. 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어떤 자료의 경우는 다를 수도
어떤 자료의 경우는 같을 수도 있어요
무조건 자료를 기준으로 보셈
오지훈쌤도 매번 얘기하던건데 어찌됬든 자료가1순위임 자료해석형 문제임
다 동문서답만 달리니 답답하겠네요. 일단 800m~2000m는 밀도 약층이 아니에요. 일단은 수온의 변화를 살펴보세요. 0m~800m 구간까지 수온이 급격히 변하고 있죠? 혼합층이 제대로 발달되어 있다면 수온이 일정한 층이 가장 표층에 있어야할텐데 없잖아요? 이 경우는 혼합층이 거의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거에요. 따라서 0m~800m 구간에 수온 약층이 형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고, 거기쯤이 밀도 약층이 되는거에요. 0~800m 내려갈동안 800m~2000m를 내려가는 것보다 밀도의 변화가 더 크니 비교적 밀도가 급격하게 변했다고 할 수 있죠.
800-2000이 왜 밀도약층이아니에요 ? 0-800보단 비교적 덜 급하게 변했지만 밀도약층이 아니라고 할수는 없을 것 같은데요.
수온,염분 두가지 모두 영향을 끼치는게 맞고 일반적으로 수온의 영향이 더 크지만 수온이 저렇게 비슷할 땐 염분이 밀도영향을 크게 줍니다
'일반적으로 해수는 밀도는 수온과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다'는 교과서에도 등장하는 표현입니다. 뭔가 제 말을 오해하신 것 같은데, 밀도 약층이 아닌 구간이라고해서 밀도가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저는 해수의 밀도가 수온에 큰 영향을 받는다고 했지, 염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는 한 적이 없습니다.
님이 800이랑 2000사이 밀도약층 아니라 하셨잖아요ㅋㅋ
해당 자료와 깊이에 따른 밀도 값이 비슷한 그래프 가져왔습니다. 표층의 밀도는 다르지만 그 이후로는 대체로 비슷한 그래프인데요. 이런 경우 보통 800m~1000m 정도까지를 밀도 약층이라고 하죠.
글쓴이한텐 밀도약이 수온약으로 연결되는게 아니라 별개의 것이다 라는게 필요한건데 동문서답은 님이하고있고 꼬투라잡는다고 폄훼하고계시네요
지구과학에 절대적인 개념은 없다
이 자료에서는 그렇고 저 자료에서는 다를수 있는거임
개념에서 말하는거는 대체로 그렇다 이말인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