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부탁) 주식 칼럼 3 - 필요한 사이트 정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1285302
안녕하세요 주식 관련 글로 다시 돌아오게 됐습니다. 잘봐주시는 분들 정말 고맙습니다.
한가지 말씀드리고 가겠습니다. 여기서는 분명히 저보다 주식을 잘하시는 분이 존재할거고 (회원이 100만명 아닌가?) 제 의견에 고개를 끄덕이지 못하실 분들도 많을겁니다. 만약 그런분이 계시다면 죄송합니다. 몇분께서 쪽지로 지적을 해주셔서 답변을 했었습니다. 타당한 지적도 있었고 고개를 갸우뚱하게 되는 지적도 있었어요. 그런데 이제부터는 내용 오류 아니면 기본적으로 받지 않겠습니다. 무시하고자 하는건 아니지만 일단 의견이 안맞는 상태에서 쪽지를 하면 끝도 없이 대립을 하게 되더군요. 제가 그분을 설득시키지 못할 만큼의 미약한 설득력이 그 이유일 겁니다. 그러니 죄송하지만 내용 수정까지만 받도록 하겠습니다. 아무쪼록 잘부탁드립니다.
아 한가지 더 말씀드리자면 저는 장기투자를 좋아하는 사람입니다! 곧 관련 칼럼을 쓰도록 할게요. 제가 경계했던건 무지성 장기투자지 장기투자 그 자체가 아닙니다...
필요한 사이트나 정보 몇 개를 정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INVESTING.COM
아마 대부분 알고 계실 사이트입니다. (주식을 하는 분이라면) 자주 들어가서 확인하는 습관을 기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2. 네이버 증권
https://finance.naver.com/sise/
제 생각에는 네이버가 상당히 증권 관련 정보를 잘알려준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실제로 네이버 증권을 많이 이용합니다. 제가 더 깊게 알려드리고 싶지만 (귀찮아서는 아님) 그건 불가능할 거 같고 (실친들이면 과외도 가능) 책 한권 추천드릴게요. ‘네이버 증권으로 배우는 주식투자 실전 가이드북’ 이 책 읽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3. DART
DART가 새롭게 리모델링을 했더라구요. 훨씬 보기 편합니다 ㅎㅎ. 여기서 그 회사에 대한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어요. 꼭 즐겨찾기 해놓으시길.
4. 한국 거래소
http://www.krx.co.kr/main/main.jsp
거래소 규정 (예를 들어상장폐지 요건 전환사채 관련 내용)은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한국 거래소는 활용법이 다양한데 뒤에서 또 다루도록 할게요. 아니면 그냥 블로그 같은 곳에서 규정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5. 증권사 리포트
http://www.paxnet.co.kr/stock/report/report?menuCode=2222
https://vip.mk.co.kr/newSt/news/news_list2.php?sCode=110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board/message/list.do?categoryId=1521
https://m.iprovest.com/weblogic/ResearchServlet/newReports
그 외에도 있으나 그건 스스로 찾아보시길..
개인적으로 참고를 꽤 하는 편입니다. 저보다 전문가들이 산업을 분석을 해놓아주시니 필요 정보만 빼먹으면 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교보증권을 좋아해서 교보증권 리포트를 참고합니다.
6. 통계청
https://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산업에 대한 통계를 가장 잘 정리해주고 있습니다. 자주 확인해보셔요 (비문학 실력이 쑥쑥 늘 것입니다..ㅎ)
7.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필수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필요정보가 꽤 있습니다.
그 외
https://sims.krx.co.kr/p/Fids0104/
개인별 주식 보유를 나타내주는 지표입니다. 한국거래소 감시포털이지요. 지분 공시가 인정된 사람들이 어떤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지 알려주는 사이트에요. 이 사이트로 이재용이 어떤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지 알 수 있습니다. (사실 활용도는 낮아요)
저는 몇 개의 사이트를 더 이용하고는 있지만 사실 저 정도 정보를 이용해서 본인이 필요한 사이트를 확장시켜나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필요한 정보를 몇 개 더 추천을 드리자면 종이 신문을 구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가장 압축적으로 정보가 잘 드러나있고 대학생분들은 아마 반값으로 구독 가능합니다. 저는 인터넷 뉴스를 주로 과거의 정보를 얻거나 즉각적으로 봐야 하는 정보가 있어야 하는 경우에만 보고 기본적으로 종이신문 2개를 구독해서 보고 있습니다. 주변에서는 틀딱이라고 놀리지만 독해력도 상승되고 일석이조입니다. 실제로 주식이나 부동산에는 독해력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그리고 웬만하면 종목리딩방이나 주식토론방은 믿지 않으시는게 좋습니다. 저도 3~4개 들어가 있기는 한데 여기서 도움을 받는다는건 오르비에 한의학 논쟁이 없는 것만큼 말이 안됩니다. 소형주 같은 경우는 천만원 단위로 바뀌는데 본인이 좋은 정보를 가지고 있다면 굳이 주변에 알릴 이유가 ‘전혀’ 없기 때문이죠. 초보 분들이면 주식 리딩방이 그럴듯해 보이지만 (저도 그렇게 생각했었죠) 피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그저 희망도 절망도 없이 본인을 믿고 하나하나 뚫어내는 법 밖에 없습니다. 저도 아직은 상당히 불안정하지만요.
다음 시간에는 전술했듯이 장기투자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마음 바뀌면 딴거부터 할거임) 감사합니다!
좋아요 눌러주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래는 제가 정치 테마주로 정리했었던 엑셀 표인데 저렇게 엑셀로 쫙 정리해서 한 눈에 보는 것도 좋습니다. 저런식의 엑셀을 저는 10개정도 만들어서 썼어요. 지금은 입시 때문에 쉬고 있지만 (저기서 제가 물렸던 주식이 하나 있는데 슬프군요 후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오르비가 연령대가 고등학생부터 20대초반 이라 그런지 주식 칼럼이 반응이 뜨겁지 않을수도 있겠네요. 그래도 써주시면 열심히 볼게요!
고마워요 ㅎㅎ 2개 더 있습니당

요새 주식 공부중인데 도움되는 칼럼 써주셔서 감사합니다사랑합니다
유익추
이번 논문 리뷰 과제도 강유 교수님의 주식예측 이고, 연구실에서 만들고 있는 알고리즘도 주가 예측 및 자동화라서 더 관심이 가네요
컴공과 교수님들이 점점 주식 알고리즘에 관심을 두시는 분들이 많아지도 있더라구요. 문병로 교수님의 매트릭 스튜디오에서 정말 많은 걸 배웠습니다
오 저 쥬식 시작중인데 유익한 칼럼 감사합니다
2개 더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팍스넷이 없네...
리포트 맨 처음에 넣은게 팍스넷입니다!

나중에 다시 와서 읽을테니 글지우지 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