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대가즈아 [807856] · MS 2018 · 쪽지

2021-11-29 17:28:43
조회수 1,471

생2논란 일종의 강사저격?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1057538

개인적인 생각임을 미리 밝힙니다.

 수능(대학수학능력 평가시험)은 펙트 체크 시험이 아닌 능력평가 시험으로서 바라보면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현실세계가 존재해야한다? 이건 과학자의 시선으로 보입니다 문제의 세계에서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논리적으로 구할수있다면 현실세계와 상관없이 문제 오류가 아니라는 것이죠 아마 대부분의 강사들이 음수인 case는 귀류법으로 지워라고 강의 했을겁니다 그런데 강사의 강의는 기존 출제된 수능 평가원 기출을 바탕으로 현재까지의 문제를 풀기 좋은 방식을 연구해서 강의를 할건데 이부분을 저격한거 아닐까요? 얻어야할 교훈은 앞으로 어디서 이런 저격이 나올지 모른다는것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과(일수도 있는)것 · 937634 · 21/11/29 17:29 · MS 2019

    그런 저격이 있다고 하더라도 저건 애초에 과학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상황인데,,

  • 으대가즈아 · 807856 · 21/11/29 17:30 · MS 2018

    저게 펙트시험이라면 문제가된다는거에 100번동의하는데 시험의 성격을 고려하면

  • 이과(일수도 있는)것 · 937634 · 21/11/29 17:31 · MS 2019

    아니 시험의 성격이라 해도 될게 있고 안될게 따로 있죠,,

  • 도 율 · 1038589 · 21/11/29 21:45 · MS 2021

    추가. 14수능인지 15수능에 전기영동과 하디-바인베르크 법칙이 결합된 문제에서 이미 귀류법으로 케이스를 거르는 풀이가 사용되었습니다.

  • Honk · 953724 · 21/11/29 17:29 · MS 2020 (수정됨)

    교과서에서 준게 귀류라고요

  • 으대가즈아 · 807856 · 21/11/29 17:32 · MS 2018

    교과서에 귀류로 개체수가 음수인 경우는 제외한다는게 있나요? 만약 있다면 소송감인데

  • Honk · 953724 · 21/11/29 17:34 · MS 2020 (수정됨)

    수학엔 주사위에는 1-6까지가 쓰여있고 마주보는 수의 합이 7이라는 조건이 있어서 내나요?

    문법에서 지시표현과 의미론에대해선 해당 단어의 의미/지시대상을 “특정” 하는 방법을 제시하나요? 해석을 통해 “상식적인” 선에서 판단하는건데요

    아님 위의 내용도 교과외인가요?

  • 으대가즈아 · 807856 · 21/11/29 17:36 · MS 2018

    https://ko.dict.naver.com/#/entry/koko/ba950bdfd37048fdaca2c9da6110a5c8 주사위의 사전 정의에는1 -6이 쓰여있다고 쓰여있긴 하네요

  • Honk · 953724 · 21/11/29 17:39 · MS 2020

    사전 정의가 교과서인가요?

  • 으대가즈아 · 807856 · 21/11/29 17:37 · MS 2018

    제가 궁금한건 교과서에서 준게 귀류라는게 펙트인지입니다 사실이면 소송하면 180전 180승인데요?이건진짜

  • 설케딩 · 1083394 · 21/11/29 17:30 · MS 2021

    아하~ 그러면 질량이 음수인 상황이 되거나 풍속이 음수인 상황이 되거나 구심력이 음수가 되어도 논리적으로 답만 구할 수 있다면 상관이 없는 거였군 ㅋㅋ

  • 추워용 · 815490 · 21/11/29 17:30 · MS 2018

    님말이 딱 그거잖슴

    몰라도 되는 것은 몰라야 한다

    이게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냥 존나 권위주의에 찌든 발상인거지

  • 으대가즈아 · 807856 · 21/11/29 17:33 · MS 2018

    제말이 어딜보아 몰라도 되는 것은 몰라야 한다인가요?

  • 추워용 · 815490 · 21/11/29 17:34 · MS 2018

    교과서에서 배운거 바탕으로 논리적으로 구해지기만 한다면 문제가 없다면서요

    그 이상의 내용에 의해 문제가 오류가 되는 걸 깨달은 수험생이 있다면 불이익을 받아도 어쩔수없다는소리잖슴

  • 으대가즈아 · 807856 · 21/11/29 17:39 · MS 2018

    고교과정을 배우면서 배운 고교과정의 이상의 내용이 있다고해보면 그 내용이 고교과정에 위배될순없으므로 님이 설명한 부분은 발생불가합니다
    제 말을 잘 이해못하신듯합니다

  • 추워용 · 815490 · 21/11/29 17:40 · MS 2018

    뭔소리에요 지금 일어났구만 ㅋㅋㅋㅋ

  • 도 율 · 1038589 · 21/11/29 17:30 · MS 2021

    교훈이고 뭐고 개체수가 음수인 집단이 존재할 수가 있냐구요... 풀이에도 귀류쓰는거 있던걸로 기억하는구만

  • 홍옌 · 976581 · 21/11/29 17:44 · MS 2020

    이런 논리는 그동안 평가원이 낸 문제에서 하나라도 존재할 수 없는 상황이라서 거른 게 있다면 바로 반박됨

    예를 들면 길이가 두개 나오는데 음수라서 거르는 경우라던가

  • dasdasgaddg · 1023596 · 21/11/29 17:48 · MS 2020


    예전에 물리에서 열역학 문제 오류 한번 나왔는데
    그때 오류 이유가 "단원자 분자 이상기체"라는 조건을 표기하지 않아서였음
    단원자 분자 이상기체가 아니면 내부에너지=3/2nrt가 성립하지 않기 때문
    불가능한 상황 설정에 대한 오류 인정은 이미 전례가 존재함

  • 으대가즈아 · 807856 · 21/11/29 17:50 · MS 2018

    그거랑 이건 다르네요 그건 오류가 맞네요 문제 조건의 오류니까 제가 말하는건 주어진 조건 세계에서 논리적 모순없이 답이 도출된다면 이상 없다 물리 같은경우는 그냥 기체라고 표현하면 다양한 상황이 존재하게되니깐

  • agrfre · 1015785 · 21/11/29 18:38 · MS 2020

    평가원은 아니지만 작년 10월 수학 나형은요?

  • 아리아나구라 · 1017293 · 21/11/29 21:34 · MS 2020

    아니 님 그전에 음수라 제껴야 한다.. 라고 푸는 기출들이 있었어요
    시잘 그러면 이때까지 음수라 제꼈던 조건들 다 풀어봐서 그중에 무시하고 풀면 답이 나오는 문제 찾아서
    복수정답처리 해야되는 상황인거임
    아니 그냥 애초에 말이 안되잖아 시험특성상이라도 사람수가 어떻게 음수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