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wjrqnfrk [364137] · MS 2011 · 쪽지

2013-12-19 19:37:15
조회수 547

교육부가 대학의 40여개 항목을 평가하여 지원한 예산 약15년간 (2006년~2019년) 금액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102611

각 대학의 학부나 학과 대학원의 교육역량(19개)과 연구역량(15개), 제도개선(12개) 부문의 40여가지 세부 항목과 기타 대학경쟁력 강화가 필요한 사항을 평가해서 배정


서울대       9856억

포스텍       7161억

카이스트    6775억

성균관대    4626억

고려대       3444억

연세대       3298억

한양대       1530억

서강대        344억





1. BK21


서울대     3172억


연세대     1531억


고려대     1369억


성균관대  1004억


한양대      905억


포스텍      781억


카이스트   704억


서강대      226억


 


2 . WCU


서울대     317억


카이스트  164억


포스텍     146억


성균관대  116억


고려대      78억


연세대      65억


한양대      35억


서강대        5억


 


3.글로벌펠로우십(1,2번 지원후 선정된 2011년 2012년 상반기 선정자수에 의미)


서울대      33억(110명)


카이스트   26억(87명)


성균관대   16억(52명)


포스텍      14억(49명)


연세대      12억(41명)


고려대      10억(35명)


한양대       6억(21명)


서강대     0.6억(2명)



4.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카이스트  5000억


포스텍     5000억


서울대     3000억


성균관대  2000억


5. BK21 플러스(2013년이후 7년간 집행예정)
서울대      385억*7년 = 2695억


고려대      223억*7년 = 1561억


연세대      211억*7년 = 1477억


성균관대   152억*7년 = 1064억


포스텍       83억*7년 =   581억


카이스트    65억*7년 =   455억


한양대       53억*7년 =   371억


서강대       16억*7년 =   112억



6 . bk21 플러스 글로벌인재양성 사업단
서울대        639억
포스텍        639억
성균관대     426억
고려대        426억
카이스트    426억
연세대       213억
한양대       213억


1, 2  은  2006년 이후 2013년까지 연구환경 3 은 그 결과로 배출된 고급인력과 관련있고

4 ,5, 6 은 최근 발표된  2013년 이후의 미래 연구환경 조성과 관련있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