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34번의 핵심은 question과 questioning의 차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768506
Question of a가 "a에 대해서 질문하다"로 해석된다면 "a와 관련있다, a에 가깝다"라는 의미고, "a에 대해서 이의(의문)제기하다"로 해석된다면 "a와 반대된다, a와 먼 개념이다"란 의미가 되는군요. Question이 다의어라 생긴 문제입니다. 평가원에 맞서는자들은 Questioning of a는 "a와 관련있음" 또는 "a와 관련적고 반대됨"로 둘중 하나로 해석될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34번은 "a와 관련적고 반대됨" 하나로만 해석될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런데 캠브리지 영어사전에 의하면 questioning은 의심스런 감정을 표현하다 라는 뜻 하나로만 해석될수 있어요(다의어 아님). 따라서 questioning of a가 하나로만 해석될 수 있다는 평가원이 맞고 이의제기자들은 틀렸다고 생각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번에 토론대회를 하게됬는데요. 주제는 '빛이 현대사회에 미치는영향,효과'...
-
만약 2013난이도로 이번수능이 나온다면 만점자 50명이상 나올텐데.. 2
2013수능은 만점자가 6명이었지만이건 과탐(사탐)...

ㅠㅜ 희망을 깨버리는 납븐사람..ㅠㅠ캠브리지 영어사전…ㄷ
개멋있노
저도 그래서 기대 안함 ㅋㅋ
그래 평가원 교수들이 그렇게 허술하게 오류를 낼 일이 없지.. 괜히 기대했네
아 진짜 문제 개좆같이냈네 주먹으로 얼굴 개꼽아버리고싶네
아니 수험생들이 캠브리지 사전까지 찾아보고 어? 인터넷 사전에는 탐구하는 이라는 뜻이 있는데 여긴 아니네? 이러면서까지 해야하냐고 ㅋㅋㅋ 걍 수험생 수준에서는 질문하다의 뜻에서 의심하다라는 뉘앙스로 볼지 탐구하다라는 뉘앙스로 볼지 걍 나뉠 수도 있지 ... 그렇게 따지면 탐구하는 이라는 뜻이 실린 사전도 있어요
실제로 지과에서도 교수님들 입장에서는 당연한 내용이 수험생들 입장에서는 다른 경우의 수도 고민됐을 수도 있다는 이유로 오류 인정한 적이 있음. 물론 “의심하는”이라는 뉘앙스가 외국에서 더 자연스럽고 교수님들에겐 당연하지만 수능생들에게는 questioning이라는 단어를 따로 외우지 않은 이상 question이라는 의미를 이용해서 유추해낼 수 밖에 없고 따라서 “탐구하는”으로 해석하는 것도 마냥 부자연스럽지는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