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x+ [400346] · MS 2012 · 쪽지

2013-12-09 22:30:45
조회수 6,155

설의랑 연의 차이많이나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50974

설의 졸업생이랑
연의 졸업생이랑
국가고시성적 같다고했을때
의사계에서 차이가 큰가요?
그냥 궁금해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크레파스11 · 421988 · 13/12/09 22:37 · MS 2012

    이런 질문은 여기서 답을 찾기가 어렵지 않을까요?;;

  • 수쥬 · 439180 · 13/12/09 22:40

    의사들은 그런 것에 관심없습니다.

  • Lux+ · 400346 · 13/12/09 23:35 · MS 201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自我 · 480078 · 13/12/09 22:49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corean · 307950 · 13/12/09 23:58 · MS 2009

    하늘과 땅 차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 simpleplan · 412365 · 13/12/10 00:01 · MS 2012

    서울대가 하늘
    연세대가 땅
    메이져가 지각
    인설 맨틀
    삼룡 외핵
    ...?무슨ㅋㅋ

  • corean · 307950 · 13/12/10 00:06 · MS 2009

    간단히 말해서 서울대와 나머지인 구조죠. 여기서야 메의저니 삼룡의니 하지만 의료계는 서울대와 비서울대로 나뉩니다.

  • simpleplan · 412365 · 13/12/10 00:09 · MS 2012

    난생 처음 듣는 소리네요 ㄷㄷㄷㄷㄷㄷㄷ

  • corean · 307950 · 13/12/10 00:22 · MS 2009

    글쎄요 형이 소위 메의저의 다니고 있는데 그 소리를 입에 달고 살더라고요

  • Lux+ · 400346 · 13/12/10 18:36 · MS 2012

    ㅋㅋㅋ

  • 수쥬 · 439180 · 13/12/10 00:06

    그 정도 아닙니다.

  • 수쥬 · 439180 · 13/12/10 00:07

    그 정도 아닙니다.

  • 수쥬 · 439180 · 13/12/10 00:10

    의대는 타 과랑 다릅니다. 학교간의 차이가 그리 크지 않습니다. 제 아무리 서울대라 해도 지방오면 그 지방 국립대 못이깁니다. 서울대라 해도 세브란스 출신이 많은 병원오면 연세대한테 밀립니다.

  • corean · 307950 · 13/12/10 00:24 · MS 2009

    특수성이 다 있기는 합니다만 대학병원에 계속 남는 사람들은 극소수 아닌가요? 지방 국립대는 그런 측면이 있기는 하겠네요.

  • 수쥬 · 439180 · 13/12/10 00:30

    대학병원에 남는 그 극소수만이 학벌 이득을 보는 것입니다. 그 극소수만이 출신학부가 매우 중요해지는 것입니다. 나머지 의사들은 무슨 의대를 나왔는지 큰 차이 없습니다. 오히려 무슨 과 의사인지가 휠씬 중요한거구요. 그래서 의대는 지방대라도 점수가 다 높은 것입니다. 의대의 역사로 보든, 의료진 실력으로 보든 서울대와 연대가 하늘과 땅 차이로 볼 만큼의 차이는 아닙니다. 재활의학과 등 일부 과는 연대가 서울대를 앞서기도 하구요..단 staff 하기에는 서울대가 더 많이 유리하긴 합니다. 진출해 있는 병원이 많기 때문이지요. 소수의 의사 이야기지만요.

  • corean · 307950 · 13/12/10 00:35 · MS 2009

    여기서 과는 동일하다는 가정을 하고 출발하는 것이 아닌가요? 서울대 산부의과 의사보다는 연세대 성형외과 의사가 나은 건 당연한 사실이겠고요. 대부분 개원을 할 건데 여기서는 서>>>연>메의저 등 나머지 이고, 이들도 학벌 이득을 보는 것으로 저는 판단되는데요. 하늘과 땅 차이라는 말이 거슬리셨다면 죄송합니다.

  • 수쥬 · 439180 · 13/12/10 00:39

    거슬리진 않습니다. 저는 연대 의대 출신이 아니거든요. 다만 정확한 표현이 아니라는거죠.. 우선 메이저의대라는 말은 수험생 용어구요. 어떤 의사도 그런 말을 쓰지 않습니다. 그리고 과가 동일하다는 게 대학의 학과 정도로 생각하시는거 같은데요. 고신대 피부과가 서울대 외과보다 가기 힘든게 의사들의 전공경쟁입니다. 빅4 병원 비인기과 손만 들면 갑니다. 인기과 진입이 힘든거지 큰 병원 수련은 과만 포기하면 아무나 갈 수 있습니다.

  • 수쥬 · 439180 · 13/12/10 00:45

    성균관대 울산대는 의사 사회에서 큰 존재감 없습니다.서울대와 연대는 확실한 명문, 다만 서울대가 확실히 더 좋긴 하죠. 지방은 전남대 경북대 부산대 삼파전입니다. 지거국은 예전보다 하향세라 언급이 잘 안되는거구요. 의사로서 생각컨데 의대학부 따지는건 별로 의미없는 짓입니다. staff이 꿈이라면 서울대나 연대까지 가면 조금 더 유리하긴 하겠죠. 그 정도 입니다.

  • corean · 307950 · 13/12/10 00:50 · MS 2009

    메의저의는 윗분이 표현을 사용하셔서 따라한 점이 있습니다. 저도 별로 의미없는 구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서울대와 연세대 이외에도 '성모'라는 이름으로 가톨릭대도 개원가에 종종 보이는데, 가톨릭대를 딱히 찝어서 말하기에는 그다지 메리트가 없어서 통칭하는 의미로 차용했습니다.
    그리고 과의 중요성은 익히 알고 있습니다만, 본문의 질문이 '서울대 의대와 연세대 의대의 비교'였기 때문에 과는 딱히 고려하지 않고 비교하거나, 동일과라고 가정하고 비교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말한 것이었습니다. 그 두 조건에서는 서울대가 연세대를 큰 차이로 앞서는 것은 맞고요. 여기 수험생분들이 많으니까 예를 들자면 '연세대와 한양대의 비교' 라는 질문글에 '연세대가 낫습니다' 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 '한양대 의대가 연세대 종교학과보다는 낫습니다' 라는 식의 말은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이죠. 적어도 질문이 그러한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 수쥬 · 439180 · 13/12/10 00:52

    그리고 개업 성공 여부.. 출신학부가 큰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강남 분당 등 일부 지역 사람들이 서울대나 연대 출신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긴 하나.. 개업은 일종의 사업이기 때문에 사업가 기질이 있는 사람이 잘 해나가는거지 좋은 학교 나왔다고 잘하는게 아닙니다. 서울대 선생님들은 그러한 것을 잘 알기 때문에 큰 병원에 남아 staff을 더 하고 싶어 하는거죠. 대개 서울대 학부 출신들이 일반기업체보다 공직이나 교수를 더 많이 하고 싶어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 corean · 307950 · 13/12/10 00:54 · MS 2009

    저도 의사자격증이 나오기 때문에 큰 차이가 있으려나 싶지만, 아니라는 얘기를 여기저기서 들어서 이런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 수쥬 · 439180 · 13/12/10 01:08

    corean 님이 그렇다는건 아닌데.. 대개 타 학교 의대와 서울대 의대 사이에 넘지 못할 4차원의 벽이 있다고 하시는 서울대 선생님들 보면.. 일반적인 코스로 한번에 진학한 사람이 아니고 의전이거나 학사편입이거나 위탁교육생이거나.. 그렇더군요. 뭔가 secondary 하게 그 지위(?)를 얻은 느낌이랄까. 그런 경험이 몇번 있었습니다.

  • 고속성장 · 265927 · 13/12/10 00:17 · MS 2008

    길 가다가 개인병원 간판에 학교마크 걸고 싶은 학교와 그렇지 못한 학교... 그정도 차이 아닐까요? 개업할 때 메리트는 있겠죠.

  • Lux+ · 400346 · 13/12/10 18:38 · MS 2012

    연세무슨의원 진짜 엄청많은듯..ㅋㅋ

  • 서울거리 · 478944 · 13/12/10 08:49 · MS 2013

    설의와연의가 하늘과땅차이라 생각하는자체가 우리나라가 발전못하고있다는증거죠 설사 설의와 지잡의대라해도 페이닥터시 의사의 자질과 소명 인간성등이 간호사들입을통해 또는 근무자들의 입을통해 평가됩니다 요즘설대 학생뽑는수준 연고대에 우수한학생많이뺏기고 수시로 수는2내지3등급받아도 설의나공대가는애들 많습니다 지금은 또 문과애들뽑는다고 갑지기발표하구요 설대연대절대로 하늘과땅치이아니며 지방의대다니며 의사꿈꾸는 학생들 소신있고 사명감있는 의사되길빕니다

  • 신시의꿈 · 472470 · 13/12/10 09:24 · MS 2013

    닥설의

  • 마음이따뜻한의사 · 455553 · 13/12/10 10:42 · MS 2013

    mb정권때 석선장 치료 기억나실 겁니다. 그 분 성남 공항에 내려 가까운 분당 서울대 병원에 가지 않고 수원에 있는 아주대 이국종교수가 치료 하셨습니다. 여러분들은 병.의원에 갈때 명의보다 서울대 출신인가를 먼저 확인하나요? 나 같으면 국경없는 의사회등 다양한 의술 경험과 환자를 진심으로 대하는 의사를 택하겠습니다. 우리 사회는 암기 잘하고 수학 문제 잘 풀면 우수한 인재로 취급 받습니다. 내 생각은 창의성을 갖춘 사람을 천재라 믿고 싶습니다. 그 분들이 이 사회를 발전 시키고 다수를 먹여 살릴 겁니다. 에디슨,아인슈타인,세익스피어...지금의 서울대 입학 시험 통과할 수 있을까요?

  • Lux+ · 400346 · 13/12/10 18:41 · MS 2012

    서울대병원에도 중증외상전문의가 있나요?
    그쪽전문의가 별로없어서 아주대가셨다고그러던데 동*일보에서

  • 마음이따뜻한의사 · 455553 · 13/12/11 10:36 · MS 2013

    중증 외상센터 있어요 그리고 없다면 국가예산이 가장 많이 지원되는 병원인데 당연히 있어야 하지 않나요?

  • 정시합격생 · 408254 · 13/12/10 10:53 · MS 201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다샤샬 · 470571 · 13/12/10 11:2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양천꼴 · 311780 · 13/12/10 11:49 · MS 2009

    차이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수능 점수 차이가 거의 없는 사람들이 들어 가는 곳임. 의사는 환자들에게 친절하게 대하는 것이 중요함. 설대 나와도 개뿔인 의사는 개업하면 폭망함.

  • constellation · 73011 · 13/12/10 11:52 · MS 2004

    저희가 딱히 신경 안써도 됩니다.

  • 잘될거야꿈돌이 · 476627 · 13/12/10 12:40

    전 올해 이과 수능본 학부모에요.
    제 남편은 카대의대 출신이고,남동생은 한림의대 출신인데 둘다 수쥬님처럼 이야기합니다.
    의사는 출신학교보다, 수련병원과 전공과가 더 중요하다고 하네요.
    이젠 의대교수로 남는건 설의 출신도 어렵다고 합니다.(포화상태)
    학생들이나, 학부모들이 예민하게 따지는 것 만큼 의사들은 학벌에 의의를 두지 않는것 같고, 개원의로 성공하는 건 경영자 기질이 있어야 해요.

  • 벵거의축복 · 418537 · 13/12/10 18:30 · MS 2017

    제가 아는 친구 연대의대 우선선발 됐는데 서울대의대 탈락했어요.

  • KakaoFace · 441202 · 13/12/11 21:44 · MS 2013

    지금 논점은 대학 입시가 아닌것 같네요...

  • 우와와아아 · 464505 · 13/12/13 07:10 · MS 2013

    과가 중요합니다. 저희 아버지가 흉부외과 교수 (명의10걸) 신데 누누이 하시는 말씀이 한국에서 절대 비메이저과 하지 마라 였습니다. 설대 흉부외과 갈거면 서남대 가서 내과해라 라고 하실만큼 이에요.

  • Lux+ · 400346 · 13/12/19 20:09 · MS 2012

    명의 출연하셨어요?..ㄷㄷ
    아버지께서 외과쪽은 하지마라고 하신거죠?
    정확히 이유가 뭔지 궁금해요..

  • 우와와아아 · 464505 · 13/12/21 04:03 · MS 2013

    비메이저가 모든 외과를 아우르지는 않죠. 외과에서도 매우 많은 갈래가 나오기 때문에. 근데 설대 비메이저과 할거냐 저기 어디 지방대 내과할거냐 등의 질문에서는 무조건 후자죠. 상대가 안됨. 과가 아예 달라버리면 상대가 안돼요. 설흉부외과는 흉부외과 계에서 탑인거고 흉부외과 계 자체가 내과등 중,상위과에 해볼 수가 없는데 아무리 설흉부외과라 해도 저기 어디 지방 내과의에 비해 어쩔 수가 없다는거죠. 물론 보통의 경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