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가미씨남정기 [805553] · MS 2018 (수정됨) · 쪽지

2021-11-04 08:28:27
조회수 1,493

re)이번 교육과정 끝날때까지 나올 지1 질문 목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354395

1. 이 지괴 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건가요??? 시계방향같은데 아무리 생각해도 모르겠어요ㅠㅠㅠ


2. 우주 팽창 속도가 증가한다는건 허블 상수가 증가한다는걸 의미하는거 아닌가요??


3. 가속 팽창을 하는데 왜 평탄한 우주인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무능한 부엉이 · 962949 · 21/11/04 08:30 · MS 2020

    2번 + 허블상수가 증가하면 우주는 작아져야하는데 뭔가 이상해요...

  • 조교가 될거야 · 1059904 · 21/11/04 08:32 · MS 2021

    ㅋㅋㅋㅎㅋㅋㅋㅋ ㅇㅈ 1번 무조건이고 3번도 두개 구분해서 봐야하는 거 모르는 애들 마늠..

  • 0303030 · 1009871 · 21/11/04 08:32 · MS 2020

    3번 솔직히 oz 매직개념이 너무너무 불친절함

  • 0303030 · 1009871 · 21/11/04 08:33 · MS 2020

    닫힌 평탄 열린 구분할 때 첫 분류에 "암흑에너지를 고려하지 않을 때"를 써주지 않아서 혼자서 찾아보느라 고생함

  • 381638 · 956868 · 21/11/04 08:40 · MS 2020

    3번 춘식쌤 그래프로 정리해주는게 개좋음 ㄹㅇ

  • 꼴 자 · 975067 · 21/11/04 09:30 · MS 2020

    이건 억깐데;; 다 말해주는데..안적어놓은거 아녜요??

  • 0303030 · 1009871 · 21/11/04 09:59 · MS 2020

    안 써져 있는데요 강의에서 설명을 어케 했었는지는 기억 안 나는데 이미 여기서 멘붕이었음 앞뒤 얘기가 달라서

  • 0303030 · 1009871 · 21/11/04 10:05 · MS 2020

    참고로 수능특강에는 같은 자료에 암흑에너지를 고려하지 않을 때라고 명시되어있음

  • 귀여운 모코코 · 1084829 · 21/11/04 08:38 · MS 2021

    2,3설명하는거보면 강사의 역량을 알수있는데 역량미달이신분이 많음

  • 381638 · 956868 · 21/11/04 08:39 · MS 2020

    춘식쌤이 젤 낫던데

  • Totentanz · 1082843 · 21/11/04 08:38 · MS 2021 (수정됨)

    2는 맞긴한데 우주의 나이나 크기계산할 때는 고려안하는거 아님?

  • 이계로 · 997585 · 21/11/04 08:47 · MS 2020

    ㅇㄷ

  • 일찍일어나버린얼리벌레 · 796560 · 21/11/04 09:06 · MS 2018

    ㅇㄷ

  • 닥마 · 994443 · 21/11/04 10:16 · MS 2020

    아니에요. 허블 상수는 감속,등속,가속(암흑 에너지 밀도:물질 밀도=0.7:0.3인 모형) 어느 모형에서나 시간이 흐르면서 감소합니다.

  • 홍익대 한의대 간 꿈을 꾼 사람 · 850790 · 21/11/04 11:00 · MS 2018 (수정됨)

    우주의 나이 증가 잉

  • 이태준 · 989901 · 21/11/04 08:43 · MS 2020

    oz풀커리 타는데 3번 도저히 이해 안가서 따로 공부해서 알아냄... 이거 그냥 듣는거로는 부족하다고 느낌 ㅜㅠ
    근데 2번은 맞는말 아닌가요? 2번 모르겠뜸...

  • 비비지 · 1081919 · 21/11/04 08:49 · MS 2021

    엥 oz 듣고도 3번 이해했는데
    근데 2번은 헷갈릴 때가 은근 많음

  • 브릿지관 부엉이 · 1083326 · 21/11/04 09:00 · MS 2021

    2,3번… 시녁t는 전설이다…

  • ​​​​​​​​​​ · 949493 · 21/11/04 09:22 · MS 2020

    물타기가 무섭눙 오지 듣고 다 커버됨..ㅇㅇ

  • 코리안제니 · 1009565 · 21/11/04 09:45 · MS 2020

    가속팽창우주는 허블법칙 적용자체가 안되는거아님?
    허블법칙은 팽창속도 일정하다는 가정하니깐

  • 마제라티 · 732631 · 21/11/04 09:57 · MS 2017

    이게 맞는듯?

  • 닥마 · 994443 · 21/11/04 10:16 · MS 2020 (수정됨)

    허블 법칙이 먼 우주까지 적용되지 않는 것이고, 가까운 우주에서는 근사적으로 적용됩니다. 1a 형 초신성 관측 결과가 그런 의미에요.

  • Totentanz · 1082843 · 21/11/04 10:24 · MS 2021 (수정됨)

    반대 아니에요? 수특에 먼 천체를 관측했을 때 허블 법칙 적용이 유리하고, 가까운 천체를 관측할 땐 중력의 작용 때문에 관측결과가 허블 법칙에 잘 부합하지 않는다고 하는걸로 아는데

  • 닥마 · 994443 · 21/11/04 10:26 · MS 2020 (수정됨)

    '먼' 의 기준이 다릅니다. 수특에 나오는 '먼' 이라는건 중력으로 묶여있지 않아 우주 팽창에 의한 적색편이가 잘 나타나는 거리, '가까운'은 중력으로 묶여 있어 우주 팽창에 의한 적색편이가 잘 나타나지 않는 거리(예를들어 안드로메다 은하와 같은 이웃 은하)를 의미합니다. 즉, 중력의 영향이 우주 팽창에 의한 효과보다 더 큰 거리의 천체와 그 밖의 천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고, 제가 말하는 '먼' 이라는건 중력으로 묶여 있지 않아 우주 팽창에 의한 적색편이가 나타나는 은하들(다른 말로 허블 흐름이 나타나는 은하들) 중에서도 멀리 있는 은하들까지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수특의 이야기보다 훨씬 먼 거리를 이야기 한거에요. 우주가 가속 팽창 하는 경우 허블흐름을 보이는 은하들 중에서도 먼 거리의 은하들은 거리와 적색편이의 정비례 관계에서 벗어나는 양상을 보입니다. 1a 형 초신성 관측 결과는 그걸 말해주고 있는거에요. 전혀 다른 범주의 이야기입니다.

  • Orbital03 · 957222 · 21/11/04 09:57 · MS 2020

    oz기출 419번 해설 똑바로 들었으면 3번이 오지가 불친절하단말 못할텐데

  • 0303030 · 1009871 · 21/11/04 09:59 · MS 2020

    매직개념만 들음

  • Orbital03 · 957222 · 21/11/04 10:06 · MS 2020 (수정됨)

    오해의 소지가 있었네용 풀커리타고 이해못한건 개인역량부족이 맞음

  • 크래드 · 1080027 · 21/11/04 10:26 · MS 2021

    개념에서 다 이해되게 가르쳐야지

  • 닥마 · 994443 · 21/11/04 10:59 · MS 2020 (수정됨)

    우주론은 갓직히 교육과정에서 빼야합니다,,고교 과정 치고 너무 어려워요. 그 어려운 내용을 꾸역꾸역 고등학생한테 가르치려다보니 교육과정상 왜곡도 너무 심하고 오개념도 너무 많이 퍼져있습니다...

  • 브릿지관 부엉이 · 1083326 · 21/11/06 12:42 · MS 2021

    ㄹㅇ 그래서 천문쪽 졸업하신 분께 배워야함

  • 닥마 · 994443 · 21/11/07 18:21 · MS 2020 (수정됨)

    가르치는 사람의 전공이 중요한게 아닙니다. 어차피 전공 과정에서 배우는 우주론과 고교과정 우주론은 괴리가 크거든요. 무리하게 교육과정에 넣었다는 것 자체에서 문제가 되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