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틀즈코드 [259839] · MS 2008 · 쪽지

2013-12-07 04:46:37
조회수 1,994

삼성재단은 성대 의료분야 및 이공계 특정과만 지원하는게 전부 다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32894

삼성재단의 지원은 의료분야 혹은 넓게 봐도 이과 소프트 반도체 정도라고 제한적인 단정 또는 잘못된 판단을 하시는 분들이 많으신거 같습니다. 
왜 이렇게 판단하시져 ???  

반박 

첫째 : 삼장 ............삼성장학금은 성대에서 주는게 아니고 삼성에서 주는 겁니다. 성대 내 어떤과를
         지원하든 무관하게 일정 조건만 달성되면 삼성에서 주는 장학금 입니다. 

둘째 : 교수충원 삼성재단 영입후 과에 관계없이 공격적인 교수 영입이 되고 있습니다. 몇년전에는
         카이스트 전산관련 교수님 네분 한꺼번에 영입하기도 했었죠.

         삼성재단 및 학교측에서는 풍부한 자금력으로 더 많은 교수님들을 영입하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학교에서 원하는 수준의 교수님 구하기가 어려워 못 구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셋째 : 기숙사 확충 성대 이과캠퍼스는 뭐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숙사 비율이니 접어두고
         성대 인문캠퍼스도  최근 비싼 땅값의 종로구 2곳에  각각 200~400명 수용하는 기숙사를
         공사 하고 있습니다.

넷째 : 삼성 재단 영입후  성대 이과 문과 구분할거 없이 도서관부터 대학건물까지 전부 새로 짓거나
         리모델링을 70% 정도는 했습니다

다섯 : 세계 51위에 오른 mba과정 + 중국관련 대학원을 비롯한 삼성이 엄청나게 투자하고 있는 성대의
         대학원 과정들..  비교해서 죄송하지만 소위 성대의 경쟁대학이라고 할수 있는 한대나 서강대의 
         대학원 중 성대 대학원과 비교해서 경쟁우위에 있는 대학원은 거의 없을 정도입니다.
     
         최근 성대 재학생들의 대학원 진학 상황을 보면  자교 아니면 카이스트 포공 서울대로 끝 입니다.
         대학원이 대학재학생에게 뭔 소용이 있는지 반문한다면 할말이 없습니다. 
         대학원과 대학은 생태 관계입니다

여섯: 삼성재단이 성대를 떠난후 성대도 입시비리 및 각종 예산 전용 등으로  많은 곤욕을 치루곤했져
         하지만 다시 삼성 재단이 돌아 온 후 비리와는 단절 되었습니다.
         2013년만 해도 성대의 경쟁대학들 포함 많은 대학들이 여러 형태의 비리에 연관되었습니다.
         
일곱 : 장학금  입학관련 삼성장학금 아니더라도 재학중 성대는 장학금 받기가 가장 쉬운 대학중 한곳으
         로 인정되고 있고 사실 입니다.


 간단히 거론 했지만 위에 내용들은 의료부분 및 이공계 특정과에만 한정된 삼성재단의 투자가 아니고
 명백히 성대 전체를 아우르는 투자입니다.   

 말도 안되는 인터넷  훌리들 논리로 수험생에게 혼란을 주지는 맙시다.

 추신1
 제가 대학을 선택할때만 해도 서강대 경영 vs 성대경영  어디 갈까여 ? 수험생 글 올리면
 7 : 3   닥 서강 경영 이었습니다. 

 그리고 3년이 지난 지금 많이 변했고 또 변화는 중인거 같습니다. 

 대학이란 선택은 군대 포함에서 6년~8년 정도 몸 담는 곳 입니다. 자기 인생을  어느정도
 결정하는 공간이기도 하구요.

 수험생 입장에서는 학교거리 등등 이상한 논리로 대학을 선택할것이 아니라 학생을 위해서
 얼마나 치열하게 혁신하고 투자하는지를 보라고 하는게 올바른 판단으로 여겨집니다.

추신2
 어느정도 대학과 과를 결정하셨다면 여기서 서강대경영 vs 성대경영 어디 갈까여 우문스럽게 
 묻지마시고 각 대학 커뮤니티를 방문하세요. 각대학은 다양한 커뮤니티가 있습니다. 
 
 어떤 경로를 통하든 대학 재학생 커뮤니티 방문을 꼭 권하고 싶습니다. 직접적인 재학생 만남을 가지면
 더욱 좋을거구요.

 성균관대학교의 대표적인 커뮤니티는 < 성대사랑 > 입니다.
 
 적어도 여기 보다는 성대에 대한 좀더 많은 정보와 선배들의 조언을 들을 수 있을 겁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