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사문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050338

메타 열렸던 이형수 모고 풀어봄
답 왜 3번이냐
기능론이 차등분배 갈등론이 균등분배 강조하는 거 아님?
(서로 그게 공정하다고 생각?)
그리고 1번에 기능적 중요성의 차이에 따른 역할의 위계 인정
기능론 갈등론 둘 다 해당하는 거 맞죠?
갈등론은 그래 그런데 그 중요성을 누가 정하냐
환경미화원이 의사보다 중요하지 않다고 누가 말할 수 있냐
이렇게 주장하는 거고요
4번은 병리적 현상때문에 틀린걸까요... 현재 사회체제 하에선 불평등 현상이 당연한 일이기 때문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병리적 때매 틀린 것 같아요
갈등론 입장에선 사회문제가 당연한 거니까..!
3번은 왜 맞았을까요?
상속세부과...
그냥 기능론 갈등론 둘 다 공정한 분배를 강조하나
기능론은 차등분배를, 갈등론은 균등분배를 공정하다고 생각한다 고 배웠지 저런 건 배우지 않았는데...
걍 버릴까요?
기능론은 개인의 노력으로 다 해낼 수 있다~~~ 이런 입장이니까 상속세 부과에 찬성하는 거 아닐까요?? 상속세 찬성해야 금수저들보다 노력으로 성공할 수 있으니까..
음~ 굿
근데 이형수쌤 모고 난도 넘 에바참치꽁치임...... 저도 그 꽁짜로 배포되는 거 풀다가 때려쳤어요...ㅠ 이렇게까지? 이런 생각만 들어서ㅠ
ㅋㅋㅋ 저도 10번까지 풀고 스탑했음
원래 등급컷 30점대인 실모는 쳐다보지도 않는데 악명때매 궁금해서ㅠ
ㅋㅋㅋㅋ ㅋㅋㅋ 저건 진짜 약간 거만해질 때쯤 풀어보면 괜춘을듯ㅠ
엥 기능적 중요성 차이에 따른 역할의 위계 이거 기능론만 되는 거 아니에요??
사탐이 어렵다는 게 아니라 이 모의고사가 과탐급이라는 건데 다들
"사탐이 과탐보다? ㅋㅋ ㅈㄹ하네"
이 ㅈㄹ들 하고 있음
걍 넘어가세요 ㅋㅋ 커뮤에서 감정넣으면 자기만 피곤함
'사회 불평등 현상은 타파해야 할 병리적 현상이다'라는 선지 자체가 없는 말이지 않나요?
기능론: '사회불평등현상'이 아닌 '사회변동'을 병리적으로 봄
갈등론: 사회변동이 불가피하므로 '병리적'이라 바라보지 않음
인듯요...
4번선지는 알고도 그냥 답이 없어서 제일 답인 거 같은 거 고른거라 알겠는데
3번 선지가 궁금해서요!
선지에서 사회 불평등 현상은 사회 제도에 의해 '고착화'된다고 제시하고 있으므로 A:갈등론 B:기능론 입니다.
갈등론에서는 부모의 학력,재산(가정 환경 및 배경) 등등이 자녀의 교육, 사회진출 등등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의 관계로 바라보고 있으므로, 세대를 거쳐 상속되는 돈에 세금을 부과(상속세 부과)하여 이를 억제해 공정한 분배로 이끌어야 한다고 볼 듯 싶습니다!!

제가 말이 주저리주저리 길어졌는데..가독성이 너무 낮은것 같아 좌송함다..오오!! 굿!! 감사합니다
저 말 자체가 성립할 수 없는 말이에용
기능론 - 사회 불평등 현상 보편적 + 불가피
갈등론 - 사회 불평등 현상 보편적이지만 불가피는 x, 타파해야 함
그리고 갈등론이 균등 분배 강조한다는 건 엄밀히 말하면 아닌 게 갈등론 대표적인 학자가 마르크스인데 마르크스는 균등분배가 아닌 각자의 필요에 따른 분배를 주장해요. 이건 생윤 하면 아실 텐데 어쨌든 사문에서는 기능론이 균등 분배를 싫어하고 갈등론이 기능론이 말하는 능력에 따른 차등 분배를 싫어한다 요 정도로만 알아두시면 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