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rlydar [401554] · 쪽지

2013-11-22 19:18:07
조회수 656

성대 인문1 논술 의견들 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69873

 저 같은 경우 윤리를 안했기 때문에 무슨 의무론, 결과론 이런걸로 안 나눴구요..우선 1번문제는 보편적 도덕성, 특수적 도덕성이라는 특이한 용어(?)로 14/235를 나눳는데요.. 다시 말하자면, 14는 목표로 한 결과를 이루기 위해서 그 과정에서 반드시 도덕을 지키기 보다는 도덕이 특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하고, 235는 목표로 한 결과를 이룰 때 이루더라도 과정상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도덕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한다는 식으로 적었구요.
 2번 문제 같은 경우는 논술 태그에서 밑에 적어 났기 때문에 생략하구요... 
 3번 문제 같은 경우엔, A,B국가를 선진국,후진국 이런식으로 분류하신 분들을 두명이나 봤는데...
전 그냥 공해비율 낮을 수록 임금 수준 높은 국가 같은 경우 인간이 인간 사회에 공해를 일으키지 않는 도덕적인 범위 내에서 임금 수준을 높이기 땜에 235와 대응시켰고, 공해비율이랑 임금 수준 비례하는 국가 같은 경우 인간의 임금 수준을 높이는 목표를 위해서 인간 사회에 폐를 끼칠 수 밖에 없는 공해 비율을 높여야 한다는 점에서...그 과정상 도덕을 지키지 않는 14랑 비슷한 맥락으로 봤어요..(솔직히 이 3번 문제가 조금 무리수 같기도 한데 다른 분들이 어떻게 쓰셧는지 궁금하네요..특히 공해 비율을 높이는 게 환경적으로 비도덕적이라 볼 수 있을지가 걸리네요...그리고 임금수준이 종속변수고 공해비율이 독립변수여서 목표를 임금수준으로 본 건 괜찮을까요..;)
 4번 문제 같은 경우엔, 대체로 여기 계신 분들이랑 비슷하게 썼어요. 단지 마지막에 시간이 너무 부족해서 막 떨면서 해결방안으로는 그냥 "정부가 복권사업으로 벌어들인 수입 일부를 복지사업에 활용하면 된다" 딸랑 요거 하나 썼거든요..ㅜ
인문 과학이구요...우선선발은 맞출거 같은데 합격 가능성 어떻게 보시는지 냉정하게 평가 부탁드립니다. 사실 지금까지 전혀 기대를 안하다가 마냥 기다리는 동안에 너무 할게 없어서 이렇게 글 써봤습니다.
아 그리고 각 문제당 글 분량 차이가 많이 나면 안되나요? 제 기억엔 젤 많이 쓴 문제랑 젤 적게 쓴 문제랑 3줄 정도 차이가 났었던거 같은데... 제 많이 쓴게 8줄 젤 적게 쓴게 5줄 이렇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hwuvje · 434794 · 13/11/22 19:56

    인문 3에서 보편 특수가 아니었나..ㅠㅠ

  • Sarlydar · 401554 · 13/11/22 22:19

    내용을 읽어보시고...좀..말씀해주세요.;;;;;;

  • 송지별 · 473113 · 13/11/25 12:17 · MS 2013

    인문 1봤구요, 님과같은 인문과학계열이에여
    저도 14 / 235로 분류했구요
    윤리에서 나오는
    의무론적 / 목적론적 의 구도더라구요 님이랑 비슷하게 쓴거같긴한데 특수적인거랑은 좀 다르지 싶긴한데 뭐 채점자의 기준에 따라 달라질 문제라고 보여요
    3번은 선진국 / 후진국으로 보는게 ㅇ맞습니다 왜나면 y축이 차이가 있었으니까요
    3번 문제는 대치동 논술학원에서 그냥 양의 상관관계 배우면서 논술학원 준비한 애들에게는 y축이 바뀔 수도 있구나라는 생각을 전혀 못하게 하니까
    한쪽이 y축 최저값이 15인가 그랬고 한쪽은 0이였고 눈금하나도 5 와 3이엿으니 꽤 컸겠죠

    두가지 트렌드가 드러났다고 보시면 되여

    저는 8줄 - 10줄 정도 썼구요

    저도 우선선발 맞췄습니다

    2번은 음 태그가 어딧지

  • 송지별 · 473113 · 13/11/25 12:20 · MS 2013

    2번은 정답이 '근본'맞습니다 저도 근본썼구요
    아무리봐도 근본이 맞아여

    아래쪽은 그렇게 쓰셨으면 2번에서는 고득점이 충분하다고 봐여

    님이 근본을 밑줄친 순간에 이미 2번은 고득점을 하셨어여

    4번이 좀 위험한것같은데 ㅇ.ㅇ.. 전 2가지 비판점에 대해서 ( 오락적 요소, 사회 기금형성) 에 대해서 의무론적으로 접근을 했고 목적론적으로도 맹점이 있다는것을 명백히 보였구요 그렇게 쓰는것이 정답에 가깝다고 생각됩니다

    지금까지 본 글중에 가장 정답에 가까운것 같은데

    얼만큼 완성도가 높았는지가 합격의 키가 될꺼같네요

    저는 건대러버라 성대랑 건대를 붙는다면 건대를 붙을꺼같지만 그럼 제 자리 한자리가 비니까 좋을 수도 ㅋ_ㅋ 근데 건대 떨어지면 ㅠㅠ,..

    둘다 붙으면 친하게 지내여!

  • 징크스 · 445093 · 13/11/26 16:41

    이분 김칫국 사발식 ㅋㅋㅋㅋ

  • 송지별 · 473113 · 13/11/26 19:00 · MS 2013

    전 성대갈마음 없었음 ㅠㅠ..
    근데 붙을꺼같애 ㅠㅠ

  • Sarlydar · 401554 · 13/11/26 19:33

    님아...자꾸 그렇게 말하면 괜히 기대가 되잖아요...;;
    성대 못 써서 기대 안하는데...암튼 사문 1컷이 48 떠서 47인 저로서는 상당히 실망스러웠었는데 다행히 아랍어 1컷에 걸려서 성대 우선선발은 맞췃네요..휴..;;
    자신있게 쓴 외대도 아랍어 덕에 우선맞춰서 얼마나 기뻤는지..;휴
    근데 성대랑 건대 붙어도 건대 가신다니..?;;이유라도 있으신지?...

  • 송지별 · 473113 · 13/11/26 20:09 · MS 2013

    그냥 건대가 가까워서여..
    아랍어는 사회탐구영역이 아니라 제2외국어영역이라서 수시에서는 대체 불가능하지않나여..?

  • Sarlydar · 401554 · 13/11/26 20:32

    아뇨 대체돼요....ㅎ 그래도 크게 희망은 안 거는 심정인지라...ㅜ

  • 송지별 · 473113 · 13/11/25 12:33 · MS 2013

    아 그리고 저랑 맞는게 되게 많네여
    저도
    수리 1 외국어 2 사회문화 1로 맞췃어여 ㅋㅋㅋ

  • 송지별 · 473113 · 13/11/25 12:33 · MS 201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프라마페 · 444261 · 13/11/25 14:05 · MS 2017

    제시문 1,4>는 행위의 내용을 통해 정당성 얻음
    구체적으론
    1은 행위의 내용이 이치에 맞을 때, 즉 선할 때
    4는 행위의 내용이 자신의 직분에 맞을 때 정당성 얻음

    <제시문 2,3,5>는 행위가 산출할 결과를 통해 정당성 얻음
    2는 행위가 유익한 결과를 산출할 때
    3은 행위에 나쁜 결과가 없을 때
    5는 모든 인류를 구원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때 정당성을 얻음

    전 이렇게 나눴어요. 쓸 때는 맞다고 생각하고 썼는데, 다른분들이랑 너무 다르네요.

    근데 일케 나눠도 2,3,4번 푸는데는 전혀 지장 없었어요.
    그저 합격하길 빌뿐...

  • 송지별 · 473113 · 13/11/25 14:36 · MS 2013

    그게 그거에요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