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나가면 문과 중경외시는 서성한처럼 동급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523940
특히 과 같다는 전제 하에 중=외 성립 ㄱㄴ?
중대 어문 외대 경영이면?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523940
특히 과 같다는 전제 하에 중=외 성립 ㄱㄴ?
중대 어문 외대 경영이면?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외서연고인대 잘 모루시내요
분탕 안대요..
동급이면 왜반수해서서성한을갈까요
아뇨아뇨 중경외시 내에서요
중잉대랑 외대는 예전에 좀괜찮아서좀더 좋게본다는말은들음
중이 탈 중경외시다 이런 말들 많은데 사회에서도 성립하나 싶네요
사회인식은잘모르겠고 중대 광고홍보랑 외대lD LT는 엄청좋음
크게 차이 안남
서 성
한중경
외시
이 느낌이긴 한데 이 사이에서 엄청 큰 차이가 있진 않고 그 위 연고 / 서성 차이가 서성 외시차이보다 큼
문과는 서강이 강세이고 그다음 성균. 한양은 좀 덜 알아주는 것 같아요.
성균한양은 공대강세 학교. 그리고 중경외시는 비슷하다네요.
어른들은 외대를 경희대보다 더 쳐주던데
경희대생이 서성한 중경외시란 말 만들기 전에는 서강대가 연고대급 외대가 성한급이었죠..
서강대가 연고대급은 아니었지 않나요 어르신분들은 서강대 박근혜 나온 대학으로만 알고 있는 경우도 많던뎅,, 외대는 성한급이었던거 맞는듯 한양대 문과가 확실히 별로 안유명했다 하더라고요
샤>>>>넘사>>ky>>>>서성한>>나머지
기업에서 유출된 자료보면 1차 서류전형에서 서성한 중경외시도 같이 묶어 뽑고 2, 3차에서 인재상에 맞춰 뽑는 경우도 허다임. 학벌 까다롭게 보는 곳 경우는 서성한과 중경외시 차이두는 곳도 있다곤 하지만 요즘 트렌드가 블라인드 강세라 학벌영향력이 더 줄어들 가능성도 있고 그런 상황인데 중경외시 자체에서 전혀 학교가지고 차별둘리가 없죠. 당연히 묶인다고 봄.
오르비 특유의 대학 올려치기 내려치기일뿐 ㅋㅋ 걍 로스쿨 합격생들만 봐도 뭐 걍 중경외 구만
그게 뭔 소리야 그니까
구별 없다구. 기업 대학 추가 가산점만 봐도 서연고 설카포 묶이고 서성한 중경외시 이런식으로 묶인다는거지. 로스쿨 합격 인원도 비슷한거 보면 굳이 구별 안한다는 거라고
로스쿨 합격 인원도 비슷함?? 인원수가 다른데 비율로 따지는 게 옳지 않나. 그러면 외대뽕 존나 차는데??
작년에 경희대 50명 외대 49명. 심지어 인서울 로스쿨 합격인원은 외대가 더 많음 ㅇㅇ 그냥 오르비에 이런글 올리면 득달같이 외까 하는데 정작 현실은 그냥 다 비슷하게 구별함
근데 그거 대부분이 자교 로스쿨 아님? 그건 이제 로스쿨 순위로 따져야 하는 거 아닌가. 어디가ㅜ더 높노?
서연고/ 성한이/ 서 경/ 중외시/ 건 이런느낌이라고 이해하면 될 듯 ㅇㅇ
입결은 중>경>외=시인듯(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