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넥fox ฅ^._.^ฅ [1057907] · MS 2021 (수정됨) · 쪽지

2021-09-05 03:30:25
조회수 225

화장실 변기를 청소하다 보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388958

변기에 물을 부어도 수면의 높이가 항상 일정한데 

그건 화장실 변기가 사이펀의 원리에 따라 만들어 졌기 때문입니다.


대기압이 양쪽에 일정하게 작용하니 변기에 추가된 물의 높이 차가 압력을 가하면 그만큼이 반대쪽에서 빠져나갑니다.


이정도는 지적인 오르비언이라면 모두 알겠죠?


그렇다면 왜?! 레버를 당겨서 물을 공급할 때는 물이 전부 사라질까요? 넣은 만큼만 사라져야 하는 거 아닌가요? 분명 샤워기 호스로 물을 넣었을 땐 수면 높이 변화가 없을 정도의 물만 사라졌는데 말이죠.


그것은 물의 수소결합, 응집력 때문입니다.


변기 레버를 내리면 샤워기 호스로 공급되는 물보다 훨씬 많은 양의 물이 내려오고 그 결과 더 많은 양의 물이 U자관을 통해 내려갑니다.


이때 물 분자끼리의 인력이 강한 편에 속하기에 내려가는 물이 남아있어야할 물까지 이끌고 그 결과 전부가 내려간답니다.


이상 오늘 화장실 청소하며 생긴 의문점을 해결해보았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