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품이 비싸지면 내수가 위축되는 이유가 뭐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242628
예를 들어서 생각하면 1캔에 1000원이던 수입 음료수가 1500원이 되면 오히려 우리나라 것을 더 선호하게 되니깐 내수가 활발해지는거 아닌가요?
아니면 내수의 뜻이 우리나라 상품의 수요가 아니라
그냥 그 나라에서 특정 제품의 수요를 뜻하는건가요?
그러면 1000원이던게 비싸진거니깐 내수가 위축되었다 이렇게 이해해야되는건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내수 그냥 우리나라 수요임

아 내가 멍청이었네고마워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