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형의 개념을 거의 모르고 계시는 것 같아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완료형 용법에 대한 FM식' 설명은 적지 않고, 그 대신 바로 독해에 써먹을 수 있도록 약간 변형하여 기재합니다.
1 완료상에는 (완료형 용법에는)
<계속>, 그리고 <계속>에서 파생된 <결과> 용법.
<완료>, 그리고 <완료>에서 파생된 <경험> 용법으로 총 4개의 해석 선택지가 있습니다.
각각의 해석 용법은
<계속>은 V해왔다
<결과>는 V했다 (그래서 그결과 계속 V한 상태이다)
<완료>는 V했다
<경험>은 V해본 적 있다
로 4가지가 있는데, 문맥에 따라 네 개 중 적절한 하나를 골라 해석하면 됩니다.
(결과와 완료의 해석이 똑같아보여서 서로 무슨 차이인지 헷갈리실 수 있는데, 완료는 동작이 끝났다는 것에 중점을 두고 말할 때 사용하고, 결과는 동작은 끝났으나 그 동작의 결과(영향)가 계속된다는 것에 중점을 두고 말할 때 사용합니다. 이런 뉘앙스 차이라 생각하시면 이해가 편하겠네요.)
따라서 have become의 경우 해석은 '되어왔다', '됐다', '되어본 적 있다' 등으로 해석하면 됩니다.
2. 동사 become의 3단 변화형태는 become-became-become로 become은 동사원형꼴임과 동시에 과거분사꼴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have become역시 (현재) 완료상[형] 용법입니다.
본인은 become이 과거분사꼴인 것은 몰랐던지 위에 'have + 동사원형'은 어떻게 해석하냐고 질문하셨는데, 'have become'은 'have + p.p'꼴입니다. 따라서 'have+동사원형'같은 용법은 없으며, 이 역시 현재완료입니다. 오해가 해결됐으리라 생각합니다.
됐다
have 동사원형은 어캐해석하나요?
become became become
have pp 현재완료
become은 pp가아니지않나용
become 과거분사 맞음
ㄷㄷ
완료형의 개념을 거의 모르고 계시는 것 같아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완료형 용법에 대한 FM식' 설명은 적지 않고, 그 대신 바로 독해에 써먹을 수 있도록 약간 변형하여 기재합니다.
1 완료상에는 (완료형 용법에는)
<계속>, 그리고 <계속>에서 파생된 <결과> 용법.
<완료>, 그리고 <완료>에서 파생된 <경험> 용법으로 총 4개의 해석 선택지가 있습니다.
각각의 해석 용법은
<계속>은 V해왔다
<결과>는 V했다 (그래서 그결과 계속 V한 상태이다)
<완료>는 V했다
<경험>은 V해본 적 있다
로 4가지가 있는데, 문맥에 따라 네 개 중 적절한 하나를 골라 해석하면 됩니다.
(결과와 완료의 해석이 똑같아보여서 서로 무슨 차이인지 헷갈리실 수 있는데, 완료는 동작이 끝났다는 것에 중점을 두고 말할 때 사용하고, 결과는 동작은 끝났으나 그 동작의 결과(영향)가 계속된다는 것에 중점을 두고 말할 때 사용합니다. 이런 뉘앙스 차이라 생각하시면 이해가 편하겠네요.)
따라서 have become의 경우 해석은 '되어왔다', '됐다', '되어본 적 있다' 등으로 해석하면 됩니다.
2. 동사 become의 3단 변화형태는 become-became-become로 become은 동사원형꼴임과 동시에 과거분사꼴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have become역시 (현재) 완료상[형] 용법입니다.
본인은 become이 과거분사꼴인 것은 몰랐던지 위에 'have + 동사원형'은 어떻게 해석하냐고 질문하셨는데, 'have become'은 'have + p.p'꼴입니다. 따라서 'have+동사원형'같은 용법은 없으며, 이 역시 현재완료입니다. 오해가 해결됐으리라 생각합니다.
으왓;; 장문글 고맙습니다 ㅎㅎ
Become의 pp가 become인졸 몰랐네용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