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1 산,염기의 수용액에서 이온화정도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04090
예를들어 강산 약산에서 전류흐르는정도는 같은부피기준 같은양이 녹앗을때 강산이 더 쎄잖아요
그러면 중화반응도 같은부피 같은양 녹앗을때 강산이 더 많이 되나요?
그리고 수소보다 반응성이 큰 두 서로다른 금속에 염산을 뿌리면 반응성이 더 큰 금속에서 더 격렬하게 수소가 나오나요?(갑자기 햇갈리네요.;;)
금속의양, 금속의 전하, 염산의 양이 같으면 나오는 수소기체의 양은 최종적으로 같죠?
막쓰다보니 두서가 없엇네요;; 인강 에 물어보면 뭐 최소 2~3일 걸리니 ...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강산이던 약산이던 H+ 의 개수가 같으면 (이온화 되던 안되던) 결론적으로 끝에선 다 반응 하기 때문에 생기는 물의 양은 같죠.
같은 금속을 강산 약산에 넣으면 강산이 더 격렬하게 반응하돠 생기는 수소 기체의 양은 같죠
(허나 같은 염산을 반응성이 다른 두 금속에 뿌리면 둘다 반응을 하지만 둘중 어느게 다 반응이 더 격렬한지는 알 수 없을것 같네요. 확신X)
강산이든 약산이든 같은양이면 같은양이 중화됩니다 그이유는
강산은 이미 백퍼 이온화되서
일사천리로 바로 반응하고
약산은 조금만 이온화 되잇는데여
거기서 h+가 oh-랑 반응하면서
계속 평형이동해서(평형이동이란
계속 이온화된다는 말입니다)
ha 가 결국 다 이온화되고 같은양이 중화되는겁니다
정말감사합니다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