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례/반비례가 나오면 왜?를 생각해야 하는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937896
전에 비례/반비례는 화살표 표시정도만 하고 넘어가지 말고 이유를 생각해보라 했었는데 이건 당연히 공부할 때 얘기임 아직 실력이 부족해서 현장에서 이유를 생각해내지 못하는 사람들은 화살표로 관계라도 잡고 넘어가면 다행인 거고 이걸 평소 공부할 때 제대로 해둔 사람들은 시험에서도 자연스럽게 쓰는 거고 당연히 독해나 문제풀이도 더 잘 될 거고
이번엔 기출을 예시로 가져와서 이런 의문이 왜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얘기해볼 건데
2019학년도 9월 문제임 일단 한 번 읽어보셈 읽기 싫으면 줄친 부분이랑 형광펜이라도 읽어보셈
여기서 노란색 형광펜 부분은 '단분자층 형성 시간'이 짧아지는 경우를 빨간색 형광펜 부분은 '단분자층 형성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인데 이걸 단순히 비례, 반비례 관계라는 것만 인식하고 넘어가는 게 아니라 왜 비례지? 왜 반비례지?하는 생각을 한 번 해봐야 하는 거임
우선 노란색 형광펜 부분을 보면 1. 표면에 달라붙을 확률이 클수록, 2. (단위 면적 당) 기체 분자의 충돌 빈도가 높을 수록 단분자층 형성 시간이 짧다고 하는데 여기서 이유를 한번 생각해보면 '아 표면에 잘 달라붙으니까 단분자층이 잘 형성되고 빠르게 형성되는구나, 아 충돌 빈도가 높으니까 같은 시간동안 많이 충돌하고 그로인해 표면에 달라붙어 단분자층이 형성되기까지의 시간이 짧아지는 것이구나'를 알 수 있을 거임
추가로 여기서 그럼 반대로 1. 표면에 달라붙을 확률이 낮아지면, 단위 면적 당 기체 분자의 충돌 빈도가 낮으면?까지 생각해주면 더 좋음 그리고 이 생각은 바로 다음에 설명할 것(빨간색 형광펜 부분)을 이해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됨
이번엔 빨간색 형광펜 부분을 보면 1. 기체 분의 질량이 클수록, 2. 기체의 압력이 낮을수록 단분자층 형성시간이 길다고 하는데 여기서도 왜 그렇지?를 한번 생각해보면 '아 기체의 질량이 크니까 잘 못 움직여서 덜 달라붙고 결국 단분자층을 형성하기까지의 시간이 더 늘어나는 거겠네, 아 압력이 낮으니까 기체분자의수 자체가 적고 그로인해 충돌빈도나 표면에 달라붙을 확률이 낮아져서 단분자층 형성까지의 시간이 더 늘어나는 거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고 이는 지문이해는 물론이고 문제 풀이에서도 활용됨
이거 과외할 때 애들한테 풀려보면 비1등급들의 공통적인 특징이 이거 하나 푸는데 엄청 오래 걸리고 앞에서 본 온갖 비례, 반비례 관계 다 옮겨 써놔서 엄청 더러워져있음 이건 앞에서 비례, 반비례 관계 찾아와서 푸는 게 아니라 앞에서 왜 비례지? 왜 반비례지?를 생각하고 그 생각의 결과를 가져와서 푸는 문제임 다른 평가원 기출들도 마찬가지라 생각함
주로 학생들이 많이 헷갈리는 4, 5번 선지에 대해서만 좀 얘기를 해보자면
4.A가 질량은 작고 단위부피당 기체분자수는 많네 -> 아까 왜?를 생각했으니 여기서 바로 질량이 작으니 잘 움직이고 기체분자 수도 많으니 단분자층이 빨리, 잘 형성되겠네, 그럼 단분자층 형성시간이 짧겠네라고 생각할 수 있는 거임 ->맞는 선지
5.충돌 빈도를 얘기하는데 이에 대해서도 아까 비례/반비례의 이유를 생각하는 과정에서 이미 생각해뒀음 E가 D보다 질량이 크네? -> 질량이 크면 잘 안 움직여서 충돌 빈도가 낮고 단분자층 형성시간이 길어진다는 생각을 이미 해둠-> 아 당연히 E가 충돌 빈도가 더 낮겠네 ->틀린 선지
지문만 제대로 봤다면 앞에서 봤던 지문 뒤적거릴 필요도 없고 복잡하고 지저분하게 비례, 반비
례 관계 사용하면서 시간 지체할 필요가 없음
잘못 받아들일까봐 다시 얘기하지만 무작정 시험가서 이렇게 하라는 게 아님 실력이 부족하면 눈알이라도 굴려야지
이건 공부를 이렇게 해서 시험장에서도 이런 사고를 할 수 있을만큼 실력을 키우라는 의미임
오늘도 덕코수금을 위해 쓴 글이니 다 읽었으면 좋아요 눌러주셈 반응 보고 좋으면 다른 기출로 자세히 또 써줌
0 XDK (+100)
-
100
-
*은 문제 유형임. 견수사 파견, 견당사 폐지 시기 사이에 있었던 사실을 물어보는...
-
난이도: 하
-
촘촘한 선지로 문제를 구성해 보았습니다.
-
주개념서(이거 하나만 10번 읽어도 2등급 ㄱㄴ) 동사 보조개념서 각국사 대비용...
-
세계사 내신 1등급이었어서 도저히 화1 못해먹겠음 아님 그냥 화1 계속 할까요ㅇㅇ?...
-
난도: 불(1등급컷 45 예상) 틀릴만한 문항 3번: 북면관ㆍ남면관만 보면 틀린다....
-
ㅡ 동아시아사 ㅡ 1등급 50점 2등급 44~45점 3등급 39~40점 주목해볼만한...
-
2025학년도 늘잠이 한국사/동사/세사 모의고사 공개!! 16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돌아온 늘잠이입니다. 벌써 교직 2년차네요 ㅎㅎ 중학교에서...
-
수능을 앞두고 마지막 주말인 11월 9일 토요일에 한국사, 동아시아사, 세계사...
-
수특 p23 2번 지문 100% 연계 난이도: 중하 수능특강 변형, 자작, 세사, 동사
-
10모 세계사 1
올해중에 제일 쉬운거같은데 만점표점 98은 무슨일인가요??
-
함 공부해볼까 ㅋㅋㅋㅋㅋ
-
역덕 테스트 11
이거 맞히시면 역덕 인정해드립니다
-
난도: 약불(1등급컷 47 예상) 틀릴만한 문항 3번: ‘남인’을 놓치면 틀린다....
-
다 무난하네 ㅋㅋ 근데 진짜 시험지 공개 전까지 뭔가 오늘따라 적중 예감이 있었음...
-
답지에는 수특, 수완 연계 문제, 유사한 기출 문제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실모 동사...
-
9평을 치는 동아시아사, 세계사 유저 분들을 위해 모의고사 한 세트씩...
-
9개월 만에 돌아왔습니다. 원래 6월 달에 다 완성해 놨는데 중간에 갈아엎어서...
-
내일 밤 10시, 동아시아사, 세계사 모의고사를 한 세트씩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
질문받습니다. 5
역사교육과 재학중입니다. 사범대 및 교육계열, 역사 관련 학과,...
-
정답은...
-
9월 모의고사 전에 모의고사 한 세트 배포할 생각입니다! * 이 시험은 수능특강,...
-
ㄷㄷ;
-
2025학년도 수능특강 세계사 문항 선별좌표입니다. 수능특강의 문항들은 기본적으로...
-
문제 어떤가요??
-
한사 난도: 불 (1등급 비율 10% 이하 예상) 틀릴만한 문항 10번, 19번...
-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
6모 화이팅!!
-
2024 수능 20번 세계사 지식 없어도 풀 수 있습니다!
-
난이도나 퀄 평가 부탁드립니다!
-
백종원 연계 있었어? 24 9모 연계 있었어?
-
제목이 곧 내용
-
수특 연계 대신 교과서 연계 ㄷㄷ
-
세계사 지식으로 풀 수 있는 세계지리 문제 발견 ㄷㄷ 4
ㄷㄷ하네요
-
이번엔 좀 평이하게 만들어봤어요
-
뇌절 모의고사에서 그나마 쓸만한 문제들을 가져와 보았습니다 아래는 해설입니다! 7....
-
과연 결과는?
-
1. 지엽 수능 특강 구석에 있는 개념을 긁어온 유형이다. (위 두 문제는 각각...
-
중학교처럼 한국사에 세계사 소매 넣기 하면 됨 ㅇㅇ 제발
-
는 영상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ㅎㅎ 아름쌤이 말씀하시듯 2028학년도 수능은...
-
음...
-
50점 백분위 95 48점 백분위 88 47점 백분위 81 45점 백분위 75 인...
-
세계사 등급컷 6
결국 더 올라가게 되었네요... 1등급 50점 63 95 2등급 48점 62 88...
-
점수 기준은 여기 참고 https://orbi.kr/00065597067 20 수능...
-
평이 - 1점 중상 - 2점 중상(까다로움) - 3점 준킬러 - 4점 킬러 - 5점...
-
책 이름 보고 바로 스샷 찍음ㅋㅋ 시대인재 시간표 건대 수분감 중앙 현정훈 가천...
-
이 문제 보고 영감 받아 만들어봤어요 물론 이런 유형의 문제는 수능 동아시아사에서...
-
나락덕후 파이널 모의고사 등급컷 & 오답률 TOP 5 2
수능 전 배포했던 나락덕후 파이널 모의고사 (세계사 영역)의 등급컷과 오답률 TOP...

맞말이글을 보고 국어 만점을 받았읍니다.

비례 반비례 관계에서 "왜" 를 왜 생각해야하는지 알거 같아요감사합니다
저 지문 두 개의 비례 관계 나열 중에 하나를 딱 바꿔주면 3점 그냥 풀려서 재밌었던 기억이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