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에 대한 나의 이해-[품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888456
수능 국어의 기본인 단어[품사]에 대한 나의 이해를 적었습니다.
단어[갈래]
단어는 세가지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단어는 형태로서 뷸변어, 가변어로 나뉜다
기능으로서 체언,용언,수식언,독립언,관계언으로 나뉜다.
몸의 기능을 해서 체언
활용될 수 있어서 용언
수식하는 기능을 해서 수식언
독립적인 기능을 해서 독립언
단어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을 해서 관계언
의미로서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
용언
세 가지를 조심하자
1.동사/형용사 구분
동사는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가능
2.본+본용언, 본+보조용언
본+본은 뛰어씀
본+보조는 뛰어씀, 다만 붙여쓰기 가능
본+보조는 사이에 ‘-서’나 다른 문장 성분 못 옴(워낙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가 긴밀해서)
정확히는 ‘못 옴’보다는 ‘의미가 바뀜’이 맞다.
본+보조에서 ‘서’나 다른 문장 성분이 올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다만
인과관계같이 의미가 바뀌니까 안된다는 것이지.
3.용언의 활용
용언=어간+어미
어미는 두 가지로 나뉜다.
1.어말어미
2.선어말어미
여기서 어밀어미는
1-1.종결어미(말을 끝내는)
평서형: -오(하오체, 격식높임)
의문형: -오(하오체, 격식높임)
감탄형
명령형:-오, -시오(하오체 격식높임), -십시오(하십시오체 격식높임)
청유형:-시지요(하십시오체 격식높임)
Q.왜 종결어미 설명하는데 –오,-요를 설명하는가?
조결어미 ‘-오’는 ‘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
대등적 연결어미 ‘-이요’와
비격식 높임 해요체에 쓰이는 보조사‘-요’와
발음이 헷갈리기 때문에
종결어미에 ‘오’
대등적 연결어미에 ‘-이요’
비격식 높임 해요체 보조사 ‘요’를 미리 알아두자.
1-2.전성어미(성질이 변하는)
명사형 전성어미:-(으)ㅁ, -기
관형사형 어미(시제가 있음):-(으)ㄴ, -는, -(으)ㄹ, -던
부사형 어미:-게, -도록
1-3.연결어미(연결 시켜주는)
대등적 연열어미(대등적으로 이어진 문장, 인과x)
종속적 연결어미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인과o)
보조적 연결어미(본+본/보조용언)
2.선어말 어미
2-1높임
2-2시제
았었시는겠더
규칙활용과 불규칙 활용
규칙활용에는 두 가지가 있다.
1.모습이 바뀌지 않는 경우
1-1:먹어, 먹니, 먹자
2.바뀌어도 설명 가능
2-1:이중모음화(모음 축약)
가리다, 두다, 되다
2-2:ㄹ탈락, ㅡ탈락, 동음탈락
울다(cry)->우니, 살다(alive)->사니 날다(fly)->나니
쓰다, 끄다
가아->가(동음 ㅏ탈락), 서었다->섰다(동음 ㅓ탈락)
불규칙 활용은 어간이 바뀌는지 어미가 바뀌는지를 기준으로
세 가지로 나눈다.
시다바리ㅠ 열어 헿
(욕설 버전)시발롬들아 열어 헿
ㅅㄷㅂ르우 여러 ㅎ
1.어간이 바뀌는 경우(어간이 “ ”물규칙‘에서’ 바뀐다)
ㅅ탈락
ㄷ->ㄹ
ㅂ->ㅗ/ㅜ
ex)돕다
르->ㄹㄹ(어간에 받침 ‘ㄹ’이 생긴다고 생각하면 ‘러’불규칙과 혼동x)
ex)부르다(call)+러->불러, 이르다(yet)->일러, 이 사냥터는 너에게 아직 일러
2.어미가 바뀌는 경우(어미가 “ ”불규칙‘으로’ 바뀐다)
어미가 ‘여’로
어미가 ‘러’로
3.어간과 어미 둘다 바뀌는 경우
ㅎ불규칙
<사람들이 불규칙인줄 알고 혼동하는 규칙활용들>
벗다, 솟다, 묻다(땅에)->묻어, (값을)치르다->치러, 주다->줘, 막다->막아, (집에)들르다->들러
관계언
조사는 세가지로 나뉜다.
1.격조사
주격:이/가,께서,에서
서술격:이다
목적격:을/를
보격:이/가
관형격:의
부사격:에게,에서,에,로,와/과,
로서 로써 처럼 같이 보다 만큼
(로서처럼 같이 본 만큼)
장소 부사격 조사:에게,에서,에,로
비교 부사격 조사:와/과,처럼,같이,보다,만큼
도구 부사격 조사:로써
자격 부사격 조사:로서
원인 부사격 조사:에,로
변성(바뀜) 부사격 조사:로(A에서b로)
인용 부사격 조사:고,라고
호격 조사:아/야,이시여,이여
2.접속조사
문장체:와/과(부사격 조사와 혼동x)
구어체:랑/이랑
<‘와/과‘가 부사격조사인지 접속조사인지 구분하는 법>
문장을 나눌 수 있으면 해당문장을 겹문장이고, 접속조사 쓰인 것
나눌 수 없으면 해당문장은 홑문장이고, 부사격조사 쓰인 것
ex)나는 국어와 수학을 잘한다
나는 철수와 비슷하다
나는 철수와 축구를 하였다.
3.보조사
엄니는 만두부터 마저 까지요
은/는, 만, 도,부터, 마저, 까지, 요
수식언
관형사와 부사
관형사
1.지시 관형사
2.수 관형사
3.성상 관형사(성질과 상태)
↘옛헌새 아 ↗이그저~ 아 ↘한두세~ 다른↗여느↘어느↗ 온갖↗모든
부사
성분 부사(위치 자유롭게 옮길 수 없다),문장의 한 성분이 되어서 위치 움직일 수x
성상부사 아주, 잘
지시부사 이리, 곧,요즘
부정부사 안/못 -> 안 부정문, 못 부정문
의성/의태부사->의성어, 의태어 ->현대시에서 찾을 수 있어야 함
문장 부사(위치 자유롭게 옮길 수 있다).문장 자체를 꾸며주는 부사라 위치 움직일 수 o
양태부사(양상과 태도),과연(나루호도) , 접속부사,츠기만, 하지만, 게다가
체언
명사
자립성의 유무, 사용되는 범위, 감정 표현 여부
자립 명사
의존 명사(관형어가 필요 홀로 쓰일 수 없음)
고유 명사
보통 명사
유정 명사(사람과 동물)
무정 명사(식물과 무생물)
<’의존‘이란 말에 ’의존형태소‘와 혼동주의, 의존명사도 ’명사‘라서 자립형태소이다>
++)이제 어미, 조사, 의존 명사에 대해 배웠으니 이를 응용해서
사람들이 자주 혼동하는 조사, 어미, 의존명사를 배워보자
바 뿐 만큼 데 대로 지 만
나는 “바쁜만큼 손대(로)지마”라고 외운다.
바쁘니까 손대지망!
(1)’바/-ㄴ바‘
의존명사/연결어미
(2)뿐
의존명사/보조사
(3)만큼
의존명사/비교부사격조사
(4)데/-ㄴ데
의존명사/연결어미
(5)대로
의존명사/조사
(6)지/-ㄴ지,-(으)ㄹ지
의존명사/연결어미
(7)만
의존명사/보조사
의존명사는 체언의 수식을 받고, 조사가 붙을 수 있다.
연결어미는 어간과 붙어있다.
(심화), ’-ㄹ지, -ㄴ바, -ㄴ데‘와 같은 연결어미를 볼 때,
ex)
되다/될지, 된바, 된데 같은 경우
되다/되지, 되바, 되데 가 말이 안되기 때문에 어간의 받침에 어미가 포함됨을 알 수 있다.
보다/볼지, 본바, 본데
이다/일지, 인바, 인데
도 마찬가지 이다.
조사는 체언에 붙는다.
위의 의존명사/연결어미/조사의 성질에 근거해 띄어쓸지 말지를 알 수 있는데
가끔 위의 원칙을 알아도 의미를 모르면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에
몇 개는 의미도 외워야 한다
(!)만
시간,횟수 의미이면 의존명사
제한, 강조 의미이면 보조사
(2)지/-ㄹ지
시간 의미이면 의존명사
궁금 의미이면 연결어미
(3)바/-ㄴ바
~했더니 의미이면 연결어미
방법이나 앞에 말한 내용 가져오면 의존명사
각각 둘 중 하나만 외워도 된다.
대명사:명사를 대신하는 품사 4가지가 있다.
(1)지시 대명사
이,그,저 (지시 관형사와 똑같은 게 있으니 혼동 주의)
이것 그것 저것(지시대명사+명사’것‘이 합쳐진 합성어)
지시 관형사 ’이‘,’그‘,’저‘ 와
지시 대명사 ;이’,‘그’,‘저’를
구분하는 방법
이,그,저를 이것,그것,저것으로 바꿔서 말이 되면 지시대명사
말이 안되면 지시관형사이다.
(2)인칭 대명사
1인칭:저, 저희
2인칭:당신, 자기
3인칭
(3)재귀 대명사:한 번 앞에 나온 명사를 다시 가리킬 때 쓰임
저, 저희 자기, 당신
**인칭 대명사와 재귀 대명사는 사람들이 많이 혼동하고
심지어 재귀대명사 ’당신‘이 있는 줄도 모르는 사람이 많다.
이를 보여주는 일화로
지난 2021년 5월 14일
국회에서 문정복 의원이 말을 하던 중
존중의 재귀 대명사 ’당신‘ 이라는 말을 썻는데
이 말을 들은 류호정 의원은 ’당신‘을
낮춤의 2인칭 대명사로 알아 들어
곧바로 “당신?” 이라고 소리쳐서
국회가 시끌벅쩍해진 일화가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연합뉴스>류호정 "당신?" 문정복 "야! 감히"…본회의장 고성
https://www.yna.co.kr/view/AKR20210514098900001
기사를 참고하자
(4)부정칭/미지칭 대명사
대상이 정해지지 않아서
아닐 부(不)
정할 정(定)
일컬을 칭(稱)
대상이 누구인지 몰라서(아니 알아서)
아닐 미(未)
알 지(知)
일컬을 칭(稱)
구분하는 법은 쉽다.
문장에서 대명사가 가르키는 대상이 궁금해서 미치겠으면 미지칭
딱히 대상이 정해져 있지 않아서 별로 안궁금하면 부정칭
수사
서수사(차례 서)
순서를 나타내는 수사
양수사(헤아릴 양)
양을 나타내는 수사
수사와 수관형사의 구분은
체언과 수식언의 구분이므로
’조사‘가 붙을 수 있는지/없는지로 구분한다.
이제 마무리로 문법 단어의 ’품사‘에서 나올 수 있는 포인트 들을 정리하면 끝마친다.
1)동사-형용사구분-현재형 선어말어미
2)본+본/보조 구분, 띄어쓰기 및 ’-서‘나 붙을 수 있는지 없는지
3)주격 조사 ’에서‘와 부사격 조사 ’에서‘의 구분
부사격 조사 ’와‘와 접속조사 ’와‘의 구분
4)수관형사 수사 구분
5)성분부사와 문장부사의 구분
6)자립명사 의존명사 구분
유정명사 무정명사 구분->ex)갈매기도 동물이라 유정명사이다.
7)의존명사 조사 어미를 구분해서 띄어쓰기를 해야하는지 구분
8)지시관형사 지시대명사 이그저 구분
9)용언과 관형사 구분 ->구별법이 있긴 있는데, 그냥 관형사 암기가 더 편하다
10)용언의 활용형 규칙/불규칙 구분
어근이 바뀐 뷸규칙/어미가 바뀐 불규칙 구분- 특히 ’ㅂ‘불규칙은 애들이 어미가 바뀐걸로 혼동함
11)인칭대명사와 재귀대명사의 구분(류호정 의원을 기억하자)
12)부정칭/미지칭 구분
등이 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춤추자 4
모두 이걸로
-
리세마라가 답이야
-
20 21 22 맞고 18 못 풂 ㅋㅋ아니 존나 발상적이네
-
글제목만 봐도 뭔가 우울한 분위기
-
왜 안자냐고요? 저도 자고싶었어요....
-
걍 기분이 엿같은거지 내 잘못이 아닌데 짜증나
-
와 꼴데신 0
감사합니다...
-
다음생엔 알파메일로
-
맨날 술집 가고 남사친/여사친 만나러 다니는 사람 vs 집돌이/순이 인데 오르비하고...
-
술 안 마신 지 19
38일 째
-
안녕하세요 2
-
살못빼는이유가 4
1. 먹는게 인생의 낙 술도 좋아하고2. 운동을 싫어함(땀이 싫어요)유지는 할만한데 빼는건 어려움
-
유류분 보다가 느낀거인데 부모님이 자식 마음에 안든다고 재산 무상기부 하면 어쩌지?...
-
고추 4
2개
-
내겐 그것도 허락되지 않았구나
-
진짜싸다
-
3-1에 3개 맞게생김 ㅋㅋ
-
오르비 사망 2
-
퀴즈! 과학상식 2
뾰롱이 꼬양이
-
쌩재수 하는걸로 아는 애는 주변에 한명있는데 얘는 별로 안친하고 반수는 몇명...
-
조금 피곤하긴 한데 나름 괜찮음
-
저번에 강원랜드 같이 간 뒤로 계속 가자하네 ㅅㅂㅋㅋ
-
거지라 덕코 주고가시면 안될까요
-
근데 막상 문디컬 작정하고 온분들은 많이 없는듯 대부분 이게되네? 해서 오신거같음
-
휴가 일지 3
금: 먹고 싶었던 치즈와퍼, 질릴정도로 롤하기, 혼코노 토: 목욕탕 가기,...
-
삼반수생입니다. 고2때까지 문과였다가 고3때 이과로 돌리고 과탐이 처참하게...
-
이제 기출 들어가는데.. 양은 적당히 많았으면 좋겠고 난이도는 중간4점 난이도...
-
저 어때보이시나요 딱 봤을때 위험해보인다거나 정신이 이상해보인다거나(자존감 낮은거...
-
Sky 1
문과이고 정시 엄청 잘 봐서 평균 백분의 98 뜨면 설대 갈 수 있을 텐데 내신이...
-
전신지방흡입 알아보다가 12
그냥 포기하기로 결정함 걍 생겨먹은대로 살다가 서른다섯즈음에 뒤져야지
-
그런 게 있음.. 보면 웃음이 나옴
-
이게 대체 뭐지 2
-
자나 3
-
인사해주세요 4
슬프네요,,, 안녕히 주무세요 선생님,,
-
댓글로 정신차리라고 욕해주세요
-
뭔가 아련하다…
-
왜ㅣ다들우울하늬 0
힘내
-
내일은 학원 가도 될 듯 D-200에 방구석에서 웹툰 본 것 외에 한 게 없다니 나새끼 ㄹㅈㄷ..
-
황그바!!!! 0
사랑행!!!!!
-
행복해라 3
는 문법적으로 틀렷군
-
영어 제대로 공부안해봐서;;;0
-
제발 수학 1 8
머리터지겠다 인제자러갑니다..
-
싹 다 매진ㅋㅋ
-
대체 난 기차에 몇백을 쓴거야
-
아무 걱정 없던 시기
-
그리 행복하지 않음 내얘기
-
맞팔 ㄱ 2
은테달고 프사 은발 한결 하고싶어짐
와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