ㄴㅇㄱ [909210] · MS 2019 · 쪽지

2021-07-24 15:53:13
조회수 608

물리황분들 상대성이론 질문좀요 ㅠ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729000


7모 10번  ㄷ에서 시간수축땜에 틀린선지인건 알겠습니다. 근데 A기준으로 광원Y와 R이 움직이잖아요. 그리고 광원에서 나온 빛이 R까지 도달하는 시간을t라 하면 A가 봤을때는 시간지연 때문에 t보다 길어지고 광속은 일정하니깐 A에서본 ct0가 더 긴것도 말이 되지않나요? 헷갈리네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쎄닐 · 955292 · 21/07/24 16:32 · MS 2020

    B가 측정한 YR이 ct0인데, A는 우주선에서 0.8c의 속력과 YR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A가 측정한 YR의 길이는 길이수축 때문에 ct0보다 짧은 것으로 측정이 됩니다.

  • 달이 빛나는 밤 · 895581 · 21/07/24 16:37 · MS 2019

    일단 알아두실 것은 A의 관성계에서 B를 관찰할 때 B의 t0가 두 관성계의 시간을 비교할 수 있는 고유시간으로 설정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운동 방향과 나란한 X축 위에서 출발점과 도착점이 다르기 때문이죠. 여기서는 그냥 t0를 b에 대한 시간만으로 잘라서 보셔야 합니다.

  • ㄴㅇㄱ · 909210 · 21/07/25 22:44 · MS 2019

    고유시간 파악을 잘못했네요 ㅠㅠ 감사합니다

  • 쎄닐 · 955292 · 21/07/24 16:52 · MS 2020 (수정됨)

    문제에 나와 있듯이, B가 측정한 YR의 길이를 L이라 했을 때 L =ct0입니다.
    A가 YR의 길이를 측정할 때 빛이 광원에서 도달지점까지 가는데 걸린 시간을 t’이라 하면 A가 측정한 YR의 길이는 L’=ct’이 됩니다.

    질문자님은 ‘A가 YR의 길이를 측정할 때 시간 팽창이 발생하여 t’ > t0이므로 ct0 <ct’일 수 있지 않을까’하며 헷갈려하시고 있습니다.

    위에서 적은 바와 같이, 애초에 A가 측정한 YR의 길이는 L’으로 B가 측정한 YR의 길이인 L과는 다릅니다.
    이 이유는 애초에 A가 측정한 YR의 길이는 A가 0.8c의 속력으로 움직이는 우주선안에 타고 있기 때문에 원래 YR의 길이에서 길이 수축이 발생한 뒤에 그 길이를 측정했기 때문이고요.

    따라서, A가 측정한 L’은 B가 측정한 L에 길이 수축이 일어난 것을 측정한 것이기에 L보다 짧습니다.

    추가해서, 길이수축이 일어난 다음에 시간팽창이 일어났다고 생각하시면 헷갈려하시는게 해결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ㄴㅇㄱ · 909210 · 21/07/25 22:45 · MS 2019

    상세한 해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