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학번^_^ [376459] · MS 2011 · 쪽지

2013-10-10 11:11:37
조회수 5,448

(국어) '잊히다'는 구개음화 ??? 음운축약??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67876

1) 잊히다 -> [읻히다] -> [이티다] -> [이치다]

순서대로 끝소리규칙, 음운축약, 구개음화


아니면


2) 받침이 'ㅈ'이니까 [잊히다] -> [이치다]

ㅈ + ㅎ에 의한 음운축약 인가요??


EBS국어 문법문제에서는 구개음화가 아니다 라고 하는데요.

해설 "'잊히다'를 [이치다]로 발음하는 것은 'ㅂ,ㄷ,ㅈ,ㄱ'과 'ㅎ'이 서로 만나면 'ㅍ,ㅌ,ㅊ,ㅋ'으로,
두 음운을 합쳐서 발음하는 음운의 축약과 관련된다. 따라서 구개음화에 대한 선생님의 설명을
활용하여 답을 할 필요가 없다.

라고 하네요.

근데 1)처럼 구개음화로 볼 수 없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들턱 · 465929 · 13/10/10 11:18 · MS 2013

    국립국어원의 답변을 보면 축약 후 구개음화라 하는군요

  • 13학번^_^ · 376459 · 13/10/10 16:56 · MS 2011

    저도 검색해서 국립국어원의 답변을 봤는데요.

    ‘구개음화’는 끝소리가 ‘ㄷ’, ‘ㅌ’인 형태소가 모음 ‘ㅣ’나 반모음 ‘ㅣ[j]’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그것이 구개음 ‘ㅈ’, ‘ㅊ’이 되거나, ‘ㄷ’ 뒤에 형식 형태소 ‘히’가 올 때 ‘ㅎ’과 결합하여 이루어진 ‘ㅌ’이 ‘ㅊ’이 되는 현상으로 ‘굳이’가 ‘구지’로, ‘굳히다’가 ‘구치다’로 되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맞히다’는 먼저 음절 끝소리 규칙에 의한 [맏히다]가 [마치다]로 변한 구개음화로 볼 수 있습니다.



    Madal저자인 이찬희선생님말로는 이 부분은 국립국어원이 잘못설명했다고하네요

    Ebs가 맞나봅니다 답변감사합니다

  • 아들턱 · 465929 · 13/10/10 11:25 · MS 2013

    전문가마다 의견이 다른 문법은 수능에 나오지 않죠ㅎ

  • 학샘 · 441190 · 13/10/10 16:23 · MS 2013

    ‘ㅎ축약’은 표준발음법 제12항에서, ‘구개음화’는 제17항에서 각각 규정하고 있습니다.

    ‘ㅈ’이 뒤 음절 첫소리 ‘ㅎ’과 결합되는 경우에도, 역시 두 음을 합쳐서 [ㅊ]으로 발음한다. (표준발음법 제12항 붙임1)

    받침 ‘ㄷ, ㅌ(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ㅈ, ㅊ]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붙임] ‘ㄷ’ 뒤에 접미사 ‘히’가 결합되어 ‘티’를 이루는 것은 [치]로 발음한다.(표준발음법 제 17항)

    따라서 ‘잊히다[이치다]’는 ‘ㅎ축약’, ‘굳히다[구티다 → 구치다]’는 구개음화에 해당합니다. ‘잊’은 끝소리 규칙의 적용을 받아 [읻]으로 발음되지만, 받침 ‘ㅈ’ 뒤에 ‘ㅎ’이 오면 끝소리 규칙이 적용되지 않고 ‘ㅎ축약’이 적용됩니다.
    'ㅎ축약' 후 구개음화에 해당하는 것은 '잊히다[이치다]'가 아니라 '굳히다[구치다]'입니다.

  • 13학번^_^ · 376459 · 13/10/10 16:57 · MS 2011

    답변감사합니다 완전히 해결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