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akdha [465570] · MS 2013 · 쪽지

2013-10-05 22:43:26
조회수 899

제시문 가에서의 합리적관망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61619

제시문에서는 개인은 합리적관망자의특징어쩌구저쩌구그랫던거같은데 여기서합리적관망자란 어느한 절대자를 뜻하나요아니면 각각의 개개인이가진 속성을말하나요

제시문라가 가보다먼저라고주장하시는분들은 전자제시문가가 라보다먼저라고주장하시는분들은 후자라고 보시는건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minsu.kang.184 · 465606 · 13/10/05 22:49 · MS 2013

    절대자에 가까움
    애덤스미스가 도덕감정론에서 말한건대 연세대해서 말한 주제랑 정확히 일치하는 건 아니지만 어쨌든 절대자에 가까움. 애덤스미스가 개개인이 공평한 관찰자에게 공감을 얻도록 행동해야 한다고 말했음

  • minsu.kang.184 · 465606 · 13/10/05 22:49 · MS 2013

    절대자에 가까움
    애덤스미스가 도덕감정론에서 말한건대 연세대해서 말한 주제랑 정확히 일치하는 건 아니지만 어쨌든 절대자에 가까움. 애덤스미스가 개개인이 공평한 관찰자에게 공감을 얻도록 행동해야 한다고 말했음

  • 알파벳 · 343103 · 13/10/05 22:53 · MS 2010

    전 전체로 봣는데..ㅠㅠ 절대적관망자적 개인들이 합의하고 이득을 나누는 그런 방식을 정한다고... 중간에 지시어가 '그'라고 되어잇어서 흔들리긴햇지만..

  • djakdha · 465570 · 13/10/05 22:56 · MS 2013

    저도그부분과 또다른부분 그리고글전체적인부분에서 개인이 절대자라기보다는 모든사람일것이라고판단했어요..

  • djakdha · 465570 · 13/10/05 22:54 · MS 2013

    그렇다면 가안은 라가다나가맞는거같은데요...개인을 절대자라고두었으면서 가라다나를 가안이라고주장하시는분의 가에대한논리를좀듣고싶은데..

  • /자유인 · 436977 · 13/10/05 23:17 · MS 2012

    저요...ㅋ
    개인을 절대자로 두고(대놓고 절대자라고 여러번 반복;;절대자 아니면 매우 곤란ㅜ)
    가라다나 썼습니다

    제 논리는요
    '개인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를 각 개인들의 영향력의 크기의 합이 아니라 그 개인의 영향력으로 한다'는 전제를 깔았어요
    그러니까 여기서 가의 주어(개인)을 '공정한 관망자' 딱 그 사람 하나로 한정시켜준거죠
    '공정한 관망자'가 절대적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에서는 이의가 없을 거 같구요

  • djakdha · 465570 · 13/10/05 23:25 · MS 2013

    제가하고싶은말을해주시네요 ㅋ 라와가중 무엇이우선이냐의문제는ㄱㅐ인이라는정의를 한 개인으로두냐 아니면 보편적인 개인들이라고두냐에따라갈리는거같습니다...저는전제자체를 모든개인이라고뒀어요...

  • djakdha · 465570 · 13/10/05 23:26 · MS 2013

    사실 여기서개인이 무엇을뜻하냐는 제시문맥락을통해서판단해야하는건데...제시문이나와있지않으니어느누구도 확실한가안을내는건어려울듯하네요..

  • djakdha · 465570 · 13/10/05 22:57 · MS 2013

    그리고제시문가에서는 관망자가 아닌 관망자의속성을갖춘 개인이사회적정책과분배를정한다고하지않았나요

  • 식빵. · 452893 · 13/10/05 22:58 · MS 2013

    저도 각 개인들의 속성에 해당한다고 봤어요 그래서 라가다나로 썼구요..

  • djakdha · 465570 · 13/10/05 23:00 · MS 2013

    오히려 개인들의속성에해당한다고보았으면 가라다나 절대자에해당한다고보았으면라가다나가아닐까싶습니다...순전히저만의논리긴하지만

  • 식빵. · 452893 · 13/10/05 23:05 · MS 2013

    (라): 각 개인들이 자신의 도덕성 발현 / 공동체 속에서 합의, 의사 결정에 적극적 참여함 따라서 가장 영향력 높음
    (가): 각 개인들이 공평한 관망자적 관점에서 사고하여 결정함 따라서 다른 사람들의 욕구를 헤아려 자신의 의무와 권리 규정->but 합의와 의사 결정과정에 직접적 참여를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라)보다는 영향력 낮음

    라고 생각해서 저는 나름대로 라>가라고 생각을 했어요ㅠㅠ고사장에서는 확신을 갖고 썼는데 집에 와서 보니 다른분들이 ㅂ많더라구요ㅠㅠㅠㅠㅠㅠ

  • djakdha · 465570 · 13/10/05 23:10 · MS 2013

    직접적참여냐간접적참여냐에따라 구분하신거네요...저는제시문라가 의사를결정하는데있어서 선한사람들의 한해서라는 전제를내렸기때문에 악한사람들의 의사결정은반영하지못한다고봐서 라가 가보다는 덜영향을미친다고봤어요..사실기준을어디에놓느냐에따라 달라질거같네요..

  • 식빵. · 452893 · 13/10/05 23:20 · MS 2013

    그렇겠네요 각자의 논리에 따라 나뉠듯?ㅠㅠ모쪼록 붙었음 좋겠네요ㅠㅠ

  • 통영꿀빵 · 347439 · 13/10/05 23:00 · MS 2010

    합리적 지도자라고 보았어요

  • djakdha · 465570 · 13/10/05 23:01 · MS 2013

    어찌되었든 지금오르비에서 가가먼저인지 라가먼저인지에대한문제는 합리적관망자를 어떤대상으로둿는지에따라결정될거같네요...

  • yb연대가고싶다 · 465598 · 13/10/05 23:11 · MS 201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yb연대가고싶다 · 465598 · 13/10/05 23:11 · MS 2013

    저만 역발상인가요...
    전 관망자를 절대자로 생각하고 그가 모든 개인의욕구를 사회에 반영함으로 모든 개인이사회에 영향을 미친다 (그럴수잇도록하는역할을관망자가수행한다) 고 썻는데... 그래서 가라나다로씀.... 답안지에는 정확히 절대자나 모든개인으로 규정하지 않앗지만 전체적인 뉘앙스는 절대자로 쓴것같아요

  • djakdha · 465570 · 13/10/05 23:13 · MS 2013

    저도규정하지는않았으나뉘앙스는님과반대네요...어느쪽이옳다그르다는 아직제머리로는판단이안서네요..ㅋㅋ.....

  • yb연대가고싶다 · 465598 · 13/10/05 23:15 · MS 2013

    사실 분석보면 개인차가 전부잇어서.... 논리성이존재한다면 둘다 답이되지않을까요...ㅋㅋㅋ내 실낱보다못한희망...

  • djakdha · 465570 · 13/10/05 23:17 · MS 2013

    저도 사실 한쪽이답이라고판단하지는않을거같아요....기준을어디에두느냐에따라달라져서..

  • djakdha · 465570 · 13/10/05 23:15 · MS 2013

    그렇다면 라가 가보다 영향이작은이유는뭐라고쓰셨나요

  • yb연대가고싶다 · 465598 · 13/10/05 23:17 · MS 2013

    라는 시민적 우의를 함양한 개인의 합의ㅣ를 통한 정치가 이루어지는데 비도덕적인사람들은 정치에참여가 불가...그래서 그들의 의사는반영되지않으므로 영향력이약하다고쓴거같아요

  • djakdha · 465570 · 13/10/05 23:18 · MS 2013

    그부분은저랑같네요 ㅋ

  • yb연대가고싶다 · 465598 · 13/10/05 23:21 · MS 2013

    위에 제시문에 관망자가아닌 관망자적 속성을 갖춘 개인이 희소한자원의 분배를 담당한다고 나왓다고 하셧는데....저는 난독증이엇을까요ㅠ 관망자가 분배한다 라고읽었는데... 님말이맞는거면 절대자라는관점은 백퍼 틀린답이네요 으아아아

  • /자유인 · 436977 · 13/10/05 23:12 · MS 2012

    저도 이거 너무 궁금함ㅜㅜㅜㅜㅜ
    저는 가를 절대자라고 봤어요. 플라톤의 철인정치? 이런 느낌...-_-;;;;;;
    말그대로 이상적인 개인이 사회적 의사결정을 하는 거라고 봤거든요

  • djakdha · 465570 · 13/10/05 23:19 · MS 2013

    그래서님은 라가다나?

  • /자유인 · 436977 · 13/10/05 23:22 · MS 2012

    가라다나요
    위에 제 생각 댓글로 달았어요

  • 죽은N수생의도시 · 459169 · 13/10/05 23:14

    절대자가 아니라 이상적 인간형이죠. 개인은 합리적 관망자의 태도를 지닌 존재이어야 하며, 이때 개인은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거죠.

  • djakdha · 465570 · 13/10/05 23:16 · MS 2013

    님의의견은 모든개인의속성이라고보신거네요

  • djakdha · 465570 · 13/10/05 23:16 · MS 2013

    님의의견은 모든개인의속성이라고보신거네요

  • djakdha · 465570 · 13/10/05 23:16 · MS 2013

    님의의견은 모든개인의속성이라고보신거네요

  • djakdha · 465570 · 13/10/05 23:16 · MS 2013

    그러니까, 이상적속성이요

  • 죽은N수생의도시 · 459169 · 13/10/05 23:19

    이상적인 속성이죠.. 이러한 이상적 속성을 가진 개인은 사회에 영향력을 미치는 거고요

  • djakdha · 465570 · 13/10/05 23:21 · MS 2013

    저도님과같이봤습니다...그래서가라다나가나왔어요..

  • 똥꾸멍 · 445456 · 13/10/05 23:44 · MS 2013

    당연히 절대자가 아니라 모든 개인의 속성입니다. 이상적인 존재가 따로 있는게 아니라 제시문에 분명히 나왔듯이 관망자적 '관점'입니다. 즉 합리적 개인이 가지는 이상적인 '관점'이죠. 이 관점을 통해 개인의 선택원칙이 사회 전체로 확대 되는 것입니다. 저도 이 글을 보면서 애덤 스미스의 글이 떠올랐는데요. 애덤 스미스가 말한 관망자 제3자가 실제 제 3자를 말한 것은 아닙니다.; 합리적 개인에게 내면화된 관망자적 관점을 말한 것이죠. 어떻게 보통의 개인과 이상적으로 합리적인 개인이 따로 존재하겠습니까;; (가)가 그렇게 뜬구름 잡는 얘기 일까요?

  • djakdha · 465570 · 13/10/05 23:46 · MS 2013

    저도님과같은판단입니다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