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anyoung.cho.1 [465609] · MS 2013 · 쪽지

2013-10-05 22:36:18
조회수 1,014

연대사회 난 일케씀 의견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61578

문1

제시문들에서는 사회에대해 주체적이며 적극적개인과 반대로 사회에 종속된 소극적,수동적개인이 보임 근데 얘들은 사회에대한 영향력에 잇어서 가라나다로 차등적임

가는 공리주의임 여기의 개인들은 남의 욕구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이 있음 이 능력을 통해 합리적 손익분배를하고 사회전체 개인의 이익을 최대화함 그 결과는 개인의 이익최대화를 보장받는걸로 돌아옴 즉 가의 공리주의는 개인주의적인 뿌리로부터 나온거임 이런 맥락에서보면 가의 개인은 사회를 이용하여 자기 이익을 보장받음 이는 매우 적극적임 그니깐 1등

라는 가처럼 사회정책을 주도함 근데 그 근본 의미는 윤리의식을 전제로한 연대의식임 윤리라는 동기는 가의 동기 즉 개인의 이익을 위한 객관성과 합리성이라는 동기에 비해 다분히 공동체주의적임 그니깐 2등

나의 개인은 여러 종류의 사회에 동시에 구성원역할을 해야되니 기대에 대한 의뭉0 구속된상태임 얘네는 가라처럼 사회를 개인이 주도하기보단 개인이 사회에 의해 또 위해 움직이는편임 그 동기는 개인이 사회와 자신을 동일시하기때문

이게 심해지면 다의 집단이기주의로 나타남 집단이기주의는 나의 동기가 이타심이 아니라 확대된 이기주의에 가깝단걸 보여줌 이건 젼나 병적인거라 걍 좀비임 다는 나가 심화되면 다로 되는거임 그니깐 4등





문2

사람들이 싸울때 하는 비난중 두가지가 잇음 하나는 이기적인놈 다른하나는 말안통하는놈임 전자는이기성 후자는 비합리성에해당됨 나다라는 이기성을 억제하는 해답을 냈고 가는 이기성을 인정하는 대신 합리적이기심을 함양하고자 함

나랑 다에서는 사회에 대한 연대의식과 자부심걑은걸 통해 집단 내에서의 이타심을 발휘하게끔함 사실근데 이건 이타심이아니라 이기심의 주체가 집단으로 확대된것에불과하다는 한계점잇음

이에대해 라는 윤리의식이라난 절대적 기준이라는해법을 첨가함 근데이건 현실적이지않음 세상에 누가 강제력없고 동기부여없는 윤리따윌 스스로 따르겟음

가는 라의 한계에 대해 보다 현실적 답을 내놓음 가에따르면 걍 사람들한테 야 너가 객관성을 갖고향동하믄 오히려 니가 개이득 ㅋ 이렇게만 알려주면 스스로 갈등해소를 함 즉 가는 합리성을 함ㅇ8ㅇ하게끔하는거임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yb연대가고싶다 · 465598 · 13/10/05 22:40 · MS 2013

    (가)가 공리주의라.... 공평한 관망자를 이상적존재가 아닌 모든 개인에 적용하셧나봐요 신기ㅋㅋ

  • djakdha · 465570 · 13/10/05 22:48 · MS 2013

    저도모든개인에적용했습니다...가 가 라보다먼저라고주장하시는분들은 전부다 모든개인에적용해야지만 논리적으로맞지않나요..? 오히려이상적존재라고봤다면 라가 먼저라고주장하시는분들의말이 맞겠죠...누가맞냐틀리고는아직모르겠으나ㅈㅓ는모든사람들에게적용했습니다..이부분이좀궁금하기도하구요..

  • hwanyoung.cho.1 · 465609 · 13/10/05 22:49 · MS 2013

    모든 개인이라고 해야 말이 되죠 그럼 가의 공평한 뭐더라 하튼 그게 공정거래위원회라던지 한국소비자원 이런거일 리는 없자늠 ㅋㅋ

  • 제발연대경영이나고대경영 · 476103 · 13/11/28 15:05 · MS 2013

    난 그런 쪽으로 상각햇는데 ... 요 규칙과 의무를 할당한다기에 ...

  • minsu.kang.184 · 465606 · 13/10/05 22:57 · MS 2013

    가 1번에서 광탈인것 같은데요.
    공평한 관찰자는 개개인의 도덕성 판단의 기준이 되는 존재입니다.
    애덤스미스는 도덕감정론에서 공평한 관찰자는 사회 일반의 감정과 여론을 체현한 제 3자적 존재로 도덕적 행동은 공평한 관찰자에 의해 공감을 얻을 수 있는 행동이라고 말했습니다

  • minsu.kang.184 · 465606 · 13/10/05 22:57 · MS 2013

    가 1번에서 광탈인것 같은데요.
    공평한 관찰자는 개개인의 도덕성 판단의 기준이 되는 존재입니다.
    애덤스미스는 도덕감정론에서 공평한 관찰자는 사회 일반의 감정과 여론을 체현한 제 3자적 존재로 도덕적 행동은 공평한 관찰자에 의해 공감을 얻을 수 있는 행동이라고 말했습니다

  • yb연대가고싶다 · 465598 · 13/10/05 22:58 · MS 2013

    그렇게되나요...저는 그냥 공평한관망자가 모든 개인의 욕구를 사회에 반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햇어요 그래서 관망자가 존재함으로써 모든 개인이 사회에 영향을 끼칠수잇게 된것이다 이런쪽으로 생각했는데... 2번도 같은맥락에서 공평한관망자의 역할을 해결방안으로 보았구요 지금 보니 이상적존재에 중점을 둿네요ㅎ

  • djakdha · 465570 · 13/10/05 22:58 · MS 2013

    제시문에서는 공평한관망자가아닌 관망자의성격을갖는개인이 다른사람의합리적이해관계를고려하여 분배와정책을정한다고하지않았나요

  • hwanyoung.cho.1 · 465609 · 13/10/05 23:01 · MS 2013

    애덤스미스는 유식하지않아서 모르겟는데 내생각임그냥 ㅋ 내생각엔 가지문은 하나의 객관적 거래감독관을 설정햇다기보단 개인의 합리성을 다르게 표현햇다고 봄)))))합리성이란 공감능력을 수단으로해서 결과적으로 사회전채이익~~~그에 속한 내 이익 최대화 라는 이성적 퍈단을 뜻함

  • djakdha · 465570 · 13/10/05 23:06 · MS 2013

    저도 대부분은 님과같은논리네요 물론 도덕감정론의정의에근거하자면 답은분명 절대자가맞습니다 하지만제시문에근거하여맥락을봤을때 저는 절대자라기보다는 각개인들의속성이라고본거구요...제시문에서도 관망자라고언급하지않고관망자의속성을갖춘개인이라고언급했던걸로기억합니다

  • hwanyoung.cho.1 · 465609 · 13/10/05 23:07 · MS 2013

    도덕감정론 읽진않앗는데 저쪽분이 잘못이해하신게 꽤 분명함 ㅋ 애덤스미스라잖음 ㅋㅋㅋㅋ

  • djakdha · 465570 · 13/10/05 23:12 · MS 2013

    애덤스미스는개인의합리적인판단이결과적으로사회전체에도합리적인방향으로이어진다고주장하지않았나요?보이지않는손도 이와같은맥락같은데..

  • yb연대가고싶다 · 465598 · 13/10/05 23:12 · MS 2013

    관망자의 속성을 갖춘 개인이라고 나왔어요??? ㅠ내가잘못읽엇나.....

  • hwanyoung.cho.1 · 465609 · 13/10/05 23:04 · MS 2013

    애덤스미스의 글을 인용한거라면 내 주장이 맞는거아님? 상당히 스미스씨적인 주장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