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속비친그대 [891177] · MS 2019 (수정됨) · 쪽지

2021-07-17 10:10:28
조회수 12,708

작수 사막을 건너는 법 김승리 이원준 강민철 충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593478

21수능 사막을 건너는법 3번째문제 1번선지




새기분 문학 1-2 17분부터 + 25분 50초부터

강민철 : 앞에게 틀렸지 뒤에건 백퍼 맞다

내가 100대 0으로 맞다

걔(뒤에꺼가 틀렷다고 하는사람)는 뭐 내면심리 안읽나보지...





All of KICE 16주차-2 41분 50초부터

김승리 : 앞에껀 맞다 뒤에껀 찾아 볼 수가 없다




HEART 9강 15분부터

이원준 : 둘다 틀린거다



대체 누굴 믿어야되냐

다른쌤은 뭐라 그러드냐


일단 전 이원준T 해설에 손을 들고 싶네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icandoittt · 1067922 · 21/07/17 10:17 · MS 2021

    ㅇㄷ

  • 허수지만 대학이 가고싶어 · 1069917 · 21/07/17 10:22 · MS 2021

    둘 다 맞는 거 같은데요 정답 1번이예요? 모든 사물로 부터 차단된 거니까 소외된 게 맞고 사물이 부재 중이니까 상실된 상태인 것도 맞는 거 같은데

  • 유리속비친그대 · 891177 · 21/07/17 10:23 · MS 2019

    정답 1번입니다

  • 허수지만 대학이 가고싶어 · 1069917 · 21/07/17 10:27 · MS 2021 (수정됨)

    전 김승리T 해설이 타당해 보이네요

    변화된 모습 O (피곤한 모습)
    변화된 모습이 예상이라는 행동을 이끄느냐 X

    다시보니 강민철T 해설도 가능해 보입니다
    선지 판단 근거를 뭐를 먼저 잡냐 차이같은데

    일딘 중단될 거라는 예상이라는 행동이 있느냐O
    그게 변화된 행동을 통한 행동이냐 X 라고 본다면 가능한 해설같네요

  • 빠라빠라락 · 1044941 · 21/07/17 20:06 · MS 2021

    닉값ㅋㅋㅋㅋㅋ

  • 올라프 ʕ•ᴥ•ʔ · 753108 · 21/07/17 10:24 · MS 2017

    ‘나’는 ‘노인’의 변화된 모습을 통해 ⓑ를 찾는 ‘노인’의 행위가 중단될 것임을 예감한다. 이 선지요?

  • 유리속비친그대 · 891177 · 21/07/17 10:24 · MS 2019

  • 허수지만 대학이 가고싶어 · 1069917 · 21/07/17 10:25 · MS 2021

    아 제가 짝수형 보고 있었네요

  • ♧☆☆만점가자☆☆♧ · 861218 · 21/07/17 21:03 · MS 2018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namelessㅤ · 878775 · 21/07/17 10:25 · MS 2019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seo74 · 1020463 · 21/07/17 10:25 · MS 2020

    둘다틀림

  • 유리속비친그대 · 891177 · 21/07/17 10:26 · MS 2019

    저도 이원준해설이 맞다는 입장인데
    그래도 1타강사 두분이 서로 다르니까 혼란이 오네요

  • seo74 · 1020463 · 21/07/17 10:27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자무 · 1007821 · 21/07/17 10:27 · MS 2020

    심찬우 : 앞이 맞고 뒤가 틀림

  • 유리속비친그대 · 891177 · 21/07/17 10:28 · MS 2019

    감사합니다!

  • 자무 · 1007821 · 21/07/17 12:44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자무 · 1007821 · 21/07/17 23:17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자무 · 1007821 · 21/07/18 14:53 · MS 2020

    댓글 실수로 지워서 다시적음..
    제기억상 뒤가 틀렸다고했는데 연결이 안된다고한거라고 볼수도있음

  • seo74 · 1020463 · 21/07/17 10:33 · MS 2020

    떡밥이니쉬걸린거임?

    노인의 변화된 모습을 허용 할 수 있는근거는 지문어디에도 없으며,

    대체로 그러지 못할것이라고 생각했다<<에서 이게 애매함.

    예감이랑 예측은 다른 뉘앙스의 낱말인데다가 상황에 따라 다르기때문에

    둘다 틀린거라고 생각합니다 암튼

  • 허수지만 대학이 가고싶어 · 1069917 · 21/07/17 10:37 · MS 202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John Burrow · 1028004 · 21/07/17 10:33 · MS 2020

    노인의 행위가 중단될 것임을 예감(>대체로 그러지 못할 것이라고 나는 믿고있다~)은 찾을 수 있지만 그게 변화된 모습을 통해서 알 수 있는건 아니여서 틀린선지 아닐까요 변화된 모습이랄만한것는 '하루사이 아주 눈에 띄게~노인도 피곤하고 지친 모습~' 이부분 이지만 이건 행위가 실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관찰한 사실이니까 이걸가지고 중다될 것이라고 예상했다고 보기는 힘드니까요

  • CisUreal · 902409 · 21/07/17 10:36 · MS 2019

    전 강민철t가 맞는듯 한데 (대체로 그러지 못할 것이라고 나는 믿고있다) 로 뒤는 맞다고 볼 수 있지않나..

  • 투러브루 · 921664 · 21/07/17 10:38 · MS 2019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건빵25 · 1035236 · 21/07/17 10:56 · MS 2021

    그냥 문학선지가 앞뒤가 안맞으니까 해설도 다른거아님?
    행위가 중단될꺼라는 예상이 먼저 있었고
    그후에 노인의 변화된 모습을 보면서 예상이 뒤집힌거잖음

    그럼 앞(변화된모습 감지)를 기준으로 잡으면 감지한건 맞으니까 앞은 맞고 감지한 시점에서는 중단될거라는 예상을 하지않았으니 뒤가 틀린거고

    뒤(중단될 것임을 예상)을 기준잡으면 그 시기에는 변화된 모습을 확인하지 않았으니 앞이 틀린게 되는거 같은데

  • 건빵25 · 1035236 · 21/07/17 10:59 · MS 2021

    이원준 선생님은 그냥 인과가 잘못되었으니 둘다 틀리다 라고 하신거같고
    그냥 같은말인데 기준에 따라 해설이 달라진것 같은데요,,?

  • 괴뢰군 20수 · 998410 · 21/07/19 10:25 · MS 2020

    정답
  • 건주우연존버 · 1042201 · 21/07/17 10:56 · MS 202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에이이게중요하나 · 851256 · 21/07/17 11:05 · MS 2018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아기재수생 · 979542 · 21/07/17 11:06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아기재수생 · 979542 · 21/07/17 11:07 · MS 2020
  • INTP군수생 · 1061186 · 21/07/17 18:50 · MS 2021

    둘다틀린거 아닌가
    a 변화된 모습 없음 여전히 찾고 있음
    b 중단될 것임을 예감한적 없음 / 나타나면 두렵다 이정도 밖에 없음

  • 아기재수생 · 979542 · 21/07/17 11:07 · MS 2020

    문제 찾으러가기 귀찮은 분들

  • 아기재수생 · 979542 · 21/07/17 11:09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아기재수생 · 979542 · 21/07/17 11:09 · MS 2020
  • 디노쇼 · 910954 · 21/07/17 11:28 · MS 2019

    이거 현장에서 소거법으로 1번 골랐는데ㅋㅋ. 공부하려고 다시 풀어보니 솔직히 잘 모르겠음

  • 김민규의레프트훅 · 968697 · 21/07/17 11:28 · MS 2020

  • 고란니 · 892098 · 21/07/17 11:33 · MS 2019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고란니 · 892098 · 21/07/17 11:33 · MS 2019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설아비니조이예지 · 965445 · 21/07/17 11:34 · MS 2020

    일단 홀수에서도 둘 다 틀렸다로 해설하긴 함
    당연히 둘 다 틀린 거 아닌가
    노인은 변화된 모습을 보이지 않았으니 뒤에는 맞을 수가 없지 인과적인 서술인데

  • 설아비니조이예지 · 965445 · 21/07/17 11:36 · MS 2020

    아 난 연결이 안되는 걸 뒤에는 틀렸다 본 건데 연결은 안되는데 대충 찔러넣은 거를 맞다고 보는 견해도 있구나

  • 설아비니조이예지 · 965445 · 21/07/17 11:39 · MS 2020

    근데 그냥 인과가 안맞으니까 틀린 건데
    셋 다 그걸 왜 딱 자르려고 한 거지
    앞이 맞고 뒤에도 맞다고 치더라도 연결이 안되는 거잖아

  • 의공대 · 986139 · 21/07/17 11:45 · MS 2020

    이거아님? 윗지문의 내용인 ' 대체로 그렇지 못할것이라고 난는 믿고 있다' 부분을근거로 판단하면 변화된 모습을 통해서 예감하는게 아니니까 앞이 틀린거고
    뒷부분의 지문 근거로 판단하면 '쇠약하고 지친모습이다' 를 통해서 변화된 모습을 확인할수 있지만 중단될것이라 예감은 한적이 없기때문에 뒤가 틀린거고

  • 닉네임뭐할까요! · 1067511 · 21/07/17 12:04 · MS 2021

    근데 b 앞쪽 맥락 보면 대체로 그렇지 못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는 부분있어서 뒤는 애매함

  • 연대를 연대해 · 1030387 · 21/07/17 11:57 · MS 2020

    ㅇㄷ

  • 닉네임뭐할까요! · 1067511 · 21/07/17 11:57 · MS 202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민트초코가세상을지배해 · 1069173 · 21/07/17 12:02 · MS 2021

    딴걸떠나서 연결이 안되는거니 틀린거아님?

  • 홍익대 한의대 간 꿈을 꾼 사람 · 850790 · 21/07/17 12:23 · MS 2018

    강사분들마다 오류가 있긴 있져...

    전 김승리, 전형태 듣는데

    전형태쌤 오류는 김승리 쌤이 잡아주고
    김승리 쌤 오류는 전형태 쌤이 잡아주고

  • 설아비니조이예지 · 965445 · 21/07/17 12:36 · MS 2020

    앞뒤 문장은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맞게 볼 수도 틀리게 볼 수도 있는데
    연결이 안된다는 건 변하지 않는 사실이니 연결이 안된다로 가야 맞는 것 같음

  • 강민열 · 1046841 · 21/07/17 14:02 · MS 2021

    이게 정답임. 원래 평가원은 개별 사실은 애매하게 판단되지만 연결로 확실하게 정답으로 이끄는 출제방식을 사용함.

  • 반갑습니당 · 756306 · 21/07/17 12:36 · MS 2017

    뒤는 무조건 틀렸죠. 심리태도로 읽으면 맞을수가없는거같은데.. 예감했으면 뒷문단에 나오는 '나'의 태도가 설명이 안됨

  • Addler · 811768 · 21/07/17 20:30 · MS 2018

    '... 잃어버린 물건을 계속 찾을 것인지. 대체로 그렇지 못할 것이라고 나는 믿고 있다.' 에서 b를 찾는 노인의 행위가 중단 될 것임을 예상했다고 할 수 있지 않나요? 변화된 모습이 없고 연결도 틀려서 틀린거고

  • 박민석 · 936017 · 21/07/17 12:39 · MS 2019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eicH · 861002 · 21/07/17 12:40 · MS 2018

    둘다 맞는데 연결이 안되서 틀린거같은데

  • eicH · 861002 · 21/07/17 12:40 · MS 2018

    근데 세명 기출분석 강의 듣는 글쓴이 갓황인가보네

  • 하리온 · 1030364 · 21/07/17 13:00 · MS 2020

    "허용가능성"으로 풀라니깐ㅋㅋㅋ

  • mlkwy · 818678 · 21/07/17 13:02 · MS 2018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학식먹을나이_ · 956011 · 21/07/17 13:09 · MS 2020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체크체쿠 · 1067939 · 21/07/17 13:26 · MS 2021 (수정됨)

    앞이 맞냐 뒤가 맞냐의 문제를 떠나서, 결정적으로 '통해' 때문에 연결이 잘못되어 오답인 선지입니다.
    노인의 변화된 모습을 통해를 A로, 노인의 행위가 중단될 것임을 예감한다를 B로 놓겠습니다.
    case 1) A 맞음, B 맞음 : A,B가 모두 옳다고 해도 인과가 뒤집혔기에 '통해' 때문에 오답. 먼저 예감을 하고 후에 변화된 모습을 관찰함.
    case 2) A 틀림, B 맞음 (강민철 T)
    1번 선지가 '나'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나'가 생각하기에 노인의 변화된 모습은 b를 찾는 행위를 중단하는 것이겠죠. 다만 지문에서는 노인이 b를 계속 찾고 있습니다.
    1. B는 '대체로 그렇지 못할 것이라고 나는 "믿고 있다"'라는 구절에서 '대체로..믿고 있다'가 예감의 늬앙스를 보여주므로 예감을 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고요.
    2. A가 옳다고 생각하는 분들은 '피곤하고 지친모습이긴 하나...' 때문에 변화되었다고 하시는데, 1번 선지가 '나'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나'가 생각하기에 노인의 변화된 모습은 b를 찾는 행위를 중단하는 것이겠죠. 다만 지문에서는 노인이 b를 계속 찾고 있습니다. 글쓴이의 안정을 잃은 태도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고요.
    피곤하고 지친 모습이어서 찾는 행위를 중단해야 변화된 모습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단순히 피곤하고 지친 모습이라는 것이 노인의 행위에 변화를 일으켰다고 볼 수 없을 것 같네요.

  • 슉.슈슉 시.시발럼아 슈슉. 슉. 슉 · 1060151 · 21/07/17 15:22 · MS 2021

    견해에 따라 몇가지 케이스가 있으나 앞부분 틀리고 뒷부분은 맞고,앞부분이 틀렸으니 연결은 맞을 수 없다는 견해가 시험장에서 구현하기 가장 적합한 판단 아닐까요?
    앞부분같은 경우 [B]의 개와 노인의 피곤한 모습을 근거로 추론은 할 수 있겠지만 이전에 노인이 피곤했는지 안피곤했는지 확실하게는 알 수 없고(노인'도'를 통해서 유추는 가능)
    뒷부분은 '대체로 그렇지 못할것이라고 나는 믿고있다.'를 근거로 잡을 수 있겠네요.
    저 근거를 예측이라고 하면서 예감=예측이 틀렸다는 의견도 있는것같은데 예감:미리 느낌/예측:미리 짐작
    저는 여태까지 평가원 기출을 보면서 이런 표현을 구분짓게하는 문제와 사고방식은 본 적이 없습니다. 일상적인 쓰임새에서도 어색함을 못느꼈고요.(엄밀하지않다고 지적할수도 있겠지만 문학에서 글자의 매우 정확한 어휘적 측면을 구분하는게 엄밀한건지 과한건지는 모르겠네요.)
    잘못판단한 부분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1녕2 · 967791 · 21/07/17 19:22 · MS 2020

    나는 노인이 변할 거라고 믿고 있다고 하지만, 당장 내일이라도 노인이 변하지 않는다면 자신의 생활의 안정성이 송두리째 무너질지 모른다고 생각하며, 자신이 노인에게 도전받고 있다고 느낌. 그리고 결국 변하지 않은 노인의 모습을 보며 놀라며 충격을 받음. 여기서 노인이 계속 b를 찾을 것임을 예감함.

  • 슉.슈슉 시.시발럼아 슈슉. 슉. 슉 · 1060151 · 21/07/17 19:27 · MS 2021

    앞 부분에 '만에 하나라도'라는 표현때문에 중단될것을 예감이라는 표현을 맞게하기는 어려울것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제가 너무 심한 허용을 한건가요?

  • 안1녕2 · 967791 · 21/07/17 19:29 · MS 2020

    '만에 하나라도' 때문에 '중단될 것을 예감'이 틀렸다는 거죠? 그럼 저랑 같은 의견이신데

  • 슉.슈슉 시.시발럼아 슈슉. 슉. 슉 · 1060151 · 21/07/17 19:39 · MS 2021

    아 제가 뭐하던 도중에 급하게 보고쓴거라 착각했네요. 다시 설명드릴게요.
    '만에 하나라도 노인이 어제와 같은 모습으로 내 앞에 나타난다면'=노인은 어제와 같은 모습이 아닐것이다고 여김 그리고 노인의 모습이 어제와 지속되자(변화된 모습x)방에서 뛰쳐나왔죠. 이를 통해 앞부분은 틀렸다고 여긴겁니다. 그리고 노인이 어제와 같은 모습이 아닐거라고 여기는건 어제는 b를 찾았지만 오늘은 b를 안찾을것이다가 되겠죠.

  • 슉.슈슉 시.시발럼아 슈슉. 슉. 슉 · 1060151 · 21/07/17 19:43 · MS 2021 (수정됨)

    그리고 본인께서 '결국 변하지 않은 노인의 모습을 보며 놀라며 충격을 받음'인데 '변하지않는다'는건 'b를 찾는것'이고 '변한다는건 b를 안찾는다'는건데 'b를 찾는것'을 예감했다면 `변하지않은모습`='b를 찾는것'에 대해 놀라는건 어색한것같아요!

  • 안1녕2 · 967791 · 21/07/18 14:14 · MS 2020

    '변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계속 b를 찾는 노인의 모습을 보고 "노인은 앞으로도 변하지 않겠구나"라고 여겨서 놀라며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감'했다는 뜻입니다.

  • 슉.슈슉 시.시발럼아 슈슉. 슉. 슉 · 1060151 · 21/07/18 14:47 · MS 2021

    저는 예감의 근거를 어렵게 찾을 필요가 없다고 여겨서 생각못했던 부분이네요.
    일단 님의 주장도 맞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예상했던게 틀려서 놀랐다라는 명시적근거로 도출낼수있는 쉬운 결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런 추론은 제 기준에서 조금 먼것같네요. 제가 지금 중요하게 여기는건 첫 댓글에서 썼다싶이 다른 분들의 근거가 무조건 틀리다가 아니라 시험장에서 학생이 구현하기에 가장 적절한 판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체로 그렇지 못할것이다'라는 예상은 명시적으로 나와있고 이를 밑 문단과 연결하여 '변하지않은모습'이 나타나고 그로 인해 '당황'한걸로 보아 노인의 모습이 변화되어 b를 찾는것이 중단될것임을 예상했다는걸 명시적으로 알수있고 결론적으로 '변화하지않은 모습'을 통해 'b를 찾는 노인의 행위가 중단될것이라는 예상'이 틀렸다는걸 알 수 있다는게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명시적 근거만으로 추론없이 도출해낼 수 있기에 가장 시험장에서 구현하기 가장 쉬운 풀이라는거죠.
    '놀라서 방에 뛰쳐나온걸 보고 b를 찾는 행위를 지속할것이다라고 예감'했다는건 명시적으로 드러난 근거가 아니라 추론에 가까우니 제가 말한 기준에 제가 말한 근거가 좀 더 가깝다라는 얘기입니다.

  • 안1녕2 · 967791 · 21/07/18 15:51 · MS 2020

    저도 문제 풀 때는 앞에 것만 틀린 거 확인하고 넘어갔습니다. 단순하게 푸는 게 가장 좋죠 ㅎ

  • lyrical · 988257 · 21/07/17 18:27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책 판매 (할인중) · 1019356 · 21/07/17 18:27 · MS 2020

    그건모르겠고 승리가 작년에 사막을 건너는법 적중해서 시험장에서 승리야 고맙다 이러면서 풀었음
    결론 : 곧 죽어도 승리가맞음

  • saua · 1018553 · 21/07/17 18:29 · MS 2020

    민철이가 맞아 애들아

  • 참새크면비둘기 · 977009 · 21/07/17 18:31 · MS 2020 (수정됨)

    앞은 무조건 틀림

    예측/예상이면 뒤는 맞는데 예감은 세모 혹은 틀린듯

  • 양양 · 1005705 · 21/07/17 19:08 · MS 2020

    마닳 해설은 이렇게 되어있네요

  • 양양 · 1005705 · 21/07/17 19:16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안1녕2 · 967791 · 21/07/17 19:09 · MS 2020

    본문을 보면 처음에는 중단될 거라고 믿고 있다고 하지만, 다음 문단에 노인이 b를 계속 찾는 것을 보고 크게 놀라며 믿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 나옴.

    '나'가 계속 노인의 행위가 중단될 거라고 생각하고 있었다면 아직 중단되지 않은 노인을 봐도 (언젠가 중단될 거라고 믿기에) 놀라지 않음. 따라서 노인의 끈질긴 행위를 보고 노인이 b를 찾는 것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예감'함(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에 암시적으로 또는 본능적으로 미리 느낌).

    따라서 앞(노인의 변화된 모습)과 뒤(노인이 중단될 것임을 예감) 모두 틀림.

  • 안1녕2 · 967791 · 21/07/17 19:11 · MS 2020

    나는 노인의 변화되지 않은 모습을 통해 b를 찾는 노인의 행위가 중단되지 않을 것임을 예감한다. 라고 써야 맞음

  • 아드레날린 · 984786 · 21/07/17 19:11 · MS 2020

    "'노인'의 변화되지 않은 모습을 통해 b를 찾는 '노인'의 행위가 중단되지 않을 것임을 예감한다."가 맞지 않나??

  • 안1녕2 · 967791 · 21/07/17 19:12 · MS 2020

    이게 맞음 이원준 해설도 이거고

  • 야수성 · 1049371 · 21/07/17 19:16 · MS 2021

    " 변화된 모습 " 은 좀 애매한 부분이긴 한데 노인이 물웅덩이로 가려는 모습을 보고 놀랐다는 서술을 보아 이전까지는 그런 모습을 본 적이 없다는것이고 변화된 모습을 보였다고 해석할 여지가 있다고 생각함

    그럼 이제 노인의 행위가 어떻게 될것인지 예감하는 부분을 체크해봐야 하는데

    좀 포괄적으로 변화된 모습의 유무를 긍정,부정한 경우 모두를 따져보면

    1) 변화된 모습이 존재한다고 가정, 그렇다면 이것이 원인이 되어 노인이 물웅덩이로 가는 모습을 보았기 때문에 노인이 행위를 멈춘다는 결론을 낸다는건데 상반됨. 말이 안됨.

    2) 변화된 모습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 아예 선지가 성립이 안됨.

    개인적으로 변화된 모습이 존재한다는 쪽이 더 합리적인 답으로 보여서 저같은 경우는 ( 본문에 있는대로라면) 김승리T의 해설에 제일 공감하지만 이원준T 말도 말이 된다고 봄.

  • 야수성 · 1049371 · 21/07/17 19:18 · MS 2021

    강민철T 해설은 안봐서 말은 제대로 못하겠는데 앞 X 뒤 O 결론을 어떻게 내신건지 궁금하네용.. 한번 찾아봐야겠다

  • 야수성 · 1049371 · 21/07/17 19:26 · MS 2021

    댓글 보니까 어떤 논지로 앞 X 뒤 O라고 말했는지 알겠네요 그냥 중간에 나오는 부분 얘기하신거구나

  • 안1녕2 · 967791 · 21/07/17 19:25 · MS 2020

    본문을 보면 처음에는 중단될 거라고 믿고 있다고 하지만, 다음 문단에 노인이 b를 계속 찾는 것을 보고 크게 놀라며 믿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 나옴.

    '나'가 계속 노인의 행위가 중단될 거라고 생각하고 있었다면 아직 중단되지 않은 노인을 봐도 (언젠가 중단될 거라고 믿기에) 놀라지 않음. 따라서 노인의 끈질긴 행위를 보고 노인이 b를 찾는 것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예감'함(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에 암시적으로 또는 본능적으로 미리 느낌).

    따라서 「'나'는 '노인'의 변화되지 않은 모습을 통해 b를 찾는 '노인'의 행위가 중단되지 않을 것임을 예감한다.」라고 써야 맞다는 맥락에서 앞과 뒤 모두 틀림.

  • 양양 · 1005705 · 21/07/17 19:30 · MS 2020

    이전까지 노인이 물웅덩이로 가려는 모습을 본 적이 없어서 놀란게아니라
    '만에 하나라도 노인이 어제와 같은 모습으로 내 앞에 나타난다면 어떤 안정성을 획득하고 있던 나의 생활은 송두리째 무너질지도 모른다' 에 근거해서 어제와 같은 모습으로 나타나서 놀란거 아닌가요?

  • 야수성 · 1049371 · 21/07/17 19:31 · MS 2021

    그래서 애매하다고 써놨어용 저는 둘다 가능하다고 생각하는데... 하나가 확실히 아니라고 하기 어렵지않나요? 문학이 그런부분이 어렵기도하고

  • 양양 · 1005705 · 21/07/17 19:39 · MS 2020

    선지에서 의도하는 '변화된 모습'은 물건을 계속 찾느냐 / 찾지않느냐 혹은 계속 찾을것처럼 보이느냐 / 그렇지않느냐로 보이는데 전에도 찾고있었고 현재도 물웅덩이 쪽에서 찾고있으므로 전에 물웅덩이 쪽에 간 적이 없었더라도, '물웅덩이 쪽에서 찾지 않다가 물웅덩이 쪽으로 가서 찾았다'는 변화된 모습으로 보기 어려울거같아요

  • 야수성 · 1049371 · 21/07/17 19:41 · MS 2021

    변화된 모습을 그렇게 단정짓는건 너무 자의적인 해석 아닌가요... 물론 해석상 그게 더 자연스러울수는 있는데 주관성 없이 말 그대로 "변화된 모습"이라는 말에 집중했을때 배제할 수는 없다고 생각해요 물론 이 문제에서 중요한 부분은 아니라고 보지만요

  • 양양 · 1005705 · 21/07/17 19:52 · MS 2020

    선지에서 변화된 모습을 '통해' 노인의 행위가 중단될 것임을 예감한다고 되어있으니 당연히 선지에서 의도하는 '변화된 모습'은 '나'가 노인이 행위를 중단할것임을 예감하는데에 있어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모습이라고 보는게 당연하지않나요? 선지가 없었을 땐 너무 자의적인 해석인게 맞지만 선지에 근거해서 판단했을때 타당한거같아여

  • CPU · 1067229 · 21/07/17 19:23 · MS 2021

    변화된 모습 X
    노인의 행위 중단될거라 예감하던건 O
    근데 둘이 연결은 전혀 안맞음

    승리T는 변화된 모습이 어디서 맞다는거임?

  • 야수성 · 1049371 · 21/07/17 19:28 · MS 2021

    댓글 보고 느낀건데 말을 그렇게 해서 그렇지 셋 다 틀린부분은 없는 것 같은데요? 표현의 차이일 뿐

    민철T는 "변화된 모습" 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고 별개로 노인이 행위를 멈출것을 예감하는 서술이 나왔으니 앞 X 뒤 O라 하신거고

  • 야수성 · 1049371 · 21/07/17 19:30 · MS 2021

    승리T,원준T는 각각 변화가 존재/존재 X라 가정한 후 두분 다 뒤와 연결이 안되므로 앞O뒤X / 앞X뒤X라 하신거고

  • 야수성 · 1049371 · 21/07/17 19:33 · MS 2021

    승리T 원준T는 뒤의 결론이 나올 수 없다고 해설하신걸 뒤X라 표현하신것같고

    민철T는 앞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X 뒤는 존재하므로 O라 하신것같은데 해설에 잘못된부분은 없는것같습니다

  • zenais · 989215 · 21/07/17 20:10 · MS 2020

    뒤에가 맞다는 말은 중단될 것임을 예감한다까지 포함해서 말하시는거 같은데

  • 일반고식 노베 · 953136 · 21/07/17 20:13 · MS 2020

    봤는데 피곤하고 지친모습으로 변하긴 했는데 끈질긴 힘이 솟아 나온다 하니깐 중단이 말이 안되는거 아닌가

  • 예비레포트 · 963958 · 21/07/17 20:14 · MS 2020

    왜 작년에 푼건데 저런문제가 있었는지 조차 기억이 안나노

  • 22 New Run · 970354 · 21/07/17 21:41 · MS 2020

    ㄹㅇㅋㅋ

  • 헛수애비 · 950370 · 21/07/17 23:05 · MS 2020

    이건 평가원 입장도 들어봐야함

  • 유스틴 클램차우더 · 978091 · 21/07/17 23:57 · MS 2020

    딴 건 모르겠고 노인의 모습 변화는 어디서 찾는거

  • 설미대 · 971615 · 21/07/18 00:17 · MS 2020

    앞이틀린듯

  • 공부지존 · 876408 · 21/07/18 03:08 · MS 2019

    충돌 아니고 강사분들마다 포인트 잡는 부분이 다른 것 같아요 다 이해는 갑니다 다만 평가원은 어떻게 생각하든 1번이 앞뒤가 안 맞아서 틀리게 설계한 것 같아요
    다만 저는 시험장에서 민철게이랑 똑같이 판단해서 풀었던 것 같네요
    팡일이였다면 어떻게 해설했을지도 궁금한 부분입니다 ㅋㅋ

  • 강민열 · 1046841 · 21/07/18 06:43 · MS 2021

    https://orbi.kr/00038612285 답이 될 겁니다

  • Geusndjd8evwk · 1025045 · 21/07/18 15:24 · MS 2020

    피곤한 모습이 변화된 모습이라고도 볼수 있고 아니면 인물의 행동자체는 그대로기 때문에 변화되지 않았다고도 볼 수 있는데
    저는 변화되지 않은쪽이 타당한 것 같고요 그래서 노인의 행위가 중단되지 않는다는게 맞는것 같네요 그리고 노인의 외양이 피곤해지더라도 인물의 행동자체는 변하지 않았기에 일단 노인의 행위는 중단되지 않아서 1번은 무조건 틀린 선지입니다

  • 재수생 대학간다 · 918608 · 21/07/18 18:12 · MS 2019

    사막을 건너는 법을 적중한 댄디킴이 맞다

  • RUBILUV · 1065606 · 21/07/18 22:26 · MS 2021

    민철T 말씀이 맞는 것 같은데요... '나'가 예상하는 것은 일단 노인의 행위가 중단 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는 것은 중략 다음의 내용에서 드러나고 있고, [B] 부분에서 어제와 거의 같은 장소에서 노인은 자전거를 멈추고 짐을 내린다. 라는 구절을 통해 노인이 거의 변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중략 다음의 부분에서 '나'는 노인이 어제와 같은 모습으로 내 앞에 나타난다면... 이라는 구절에서 노인의 변화된 모습을 통해 노인이 중단 할 것이라 생각한 것이 아니라 중단하며 노인이 변할 것이라고 본 것 같아요.

  • 삼수생 성불 · 1020104 · 21/07/18 22:37 · MS 2020

    솔직히 내 생각은 "문학을 이렇게 깊게 생각하면 20분 안에 풀리나??" << 이 생각밖에 안드네...... 걍 1보자마자 총체적 개소리라 뭐가 맞고 자시고 그냥 골랐던거 같은디

  • R E V E L U V · 1017455 · 21/07/18 23:29 · MS 2020

    지문에 보면 대체로 그러지 못 할 것이라고 나는 믿고 있다 <— 이 부분에서 결국 물건을 찾는 노인의 행동이 중단될 것이라고 내면 심리가 드러난거 아닌가요? 근데 노인이 변화된 모습은 나오지 않았으니 강민철T 해설이 맞는 것 같은데,,

  • 해피너스 · 1055923 · 21/07/19 00:57 · MS 2021

    열쇠t: 둘다 틀림

  • 무빵이 · 623620 · 21/07/19 02:05 · MS 2015

    저는 둘 다 맞는데 발생하는 시간 순서가 거꾸로이고 인과가 안 맞아서 틀렸다 봐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