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토막 칼럼 2] '평가원스러움'에 대한 생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424000
어제 7월 모의고사가 평가원스럽지 않다는 의견을 많이 봤고,
저 역시도 그 의견에 대해 동의하는 바입니다
그렇다면 그 잘난 평가원스러움이 뭐길래, 퀄리티에 대해 운운하는 걸까요?
간단합니다.
평가원이 지금까지 낸 문제들이 곧 평가원스러운 거죠.
어제 굉장히 멋지고도 신선한 의견을 봤습니다.
'7모는 6모와 결이 달랐지만 수능이라고 이러지 않을 보장이 없다.'는 의견이었는데요.
분명 모의고사의 퀄리티와는 별개로 언제나 배울 점을 찾아낼 수는 있습니다.
수능 국어 자체가 글을 대하는 시험이기에, 그 태도는 어떤 글을 보든 영향을 받을 수 있거든요.
허나 간과하지 말아야 할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평가원은 늘 일정한 출제 원칙에 따라 지문과 문제를 출제함을 밝혀왔다는 것이죠.
그리고 수험생이라면 그 원칙에 입각하여 공부하는 것이 옳은 태도고요.
하여 이왕이면 기존 평가원이 출제했던 방식을 차용하여 만든,
소위 말하는 평가원스러운 지문과 문제로 공부하는 것이,
굳이 저 원칙을 벗어난 글을 접하는 것보다는 더 옳은 방법이겠죠.
그것이 우리가 기출을 통해 만든 생각의 틀을 잘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봅니다.
토막 칼럼 2편은 여기까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체스하실분 26
맨날 하던 사람들 다 자러간거 같긴 한데
-
어떰? 12
-
요새 다들 빨리 지워서 쉽지않네
-
알림창에서도 알림 사라짐?
-
학벌부터 외모까지 근 한달간 개미쳤음 진짜 탈릅해야되나 내가 이상치가 된 느낌임
-
칵테일 만듦 4
amf
-
ㅃㄹ 급함
-
진짜 10분마다 보이는 얼굴이야 클론인가
-
더이상못버티겠다 11
다들 굿밤
-
ㅇㅈ 9
손톱은 네일때문에 길럿엇음… 여장할때 필요해서
-
내일이두렵다 5
내일을 살기싫다 ~
-
좀.. 눈이 너무 피곤해 눈알 자꾸 굴려야돼서 밝은곳에서 봐야겠음
-
손 ㅇㅈ 8
쩝
-
뒤졌다 ㅋㅋ
-
이미지 써주세뇨 9
고마워요
-
선착순 5명 이미지 12
써주세요
-
김동욱 독서 0
독서는 김동욱 들으려고 하는데 지금 국어학원도 다니고 있어서 김동욱 독서...
-
이미지 선착 열명 60
제발 아는사람만 댓달아
-
ㅇㅈ할때 1
빠른 펑 그런건 어케하는건가여
-
손 ㅇㅈ 4
-
좀 무섭달까 ㅇㅈ메타 + 호감금테고닉 취르비 + 어그로 강민철프사 여르비 대환장 콜라보
-
한번 해보세요
-
홍대 법대 추합 0
위에 점공한 사람들 애매한 점수대도 다 합격할거라고 계산해도 저한테 까지 안오는데...
-
올해 홍대 경영 0
몇번까지 돌까요? 적어도 4.5배는 돌아야하는데
-
손 ㅇㅈ 20
흠..
-
경영 예비 89번인데 몇차추합에서 대충 붙을까요...? 1 2차 안에는...
-
이미지 적어드릴게요! 132
프로필이랑 글목록 보고서 현실에서 어떤 느낌일지 유추해볼게요
-
김동욱 일클래스 1
일클래스 하면서 연필통 대신에 마더텅을 같이 풀어도 괜찮을까요?
-
ㅇㅈ 28
ㅂㄱㄸㅂㄱ.
-
내얼굴 모르니까 다르게 살수 있구나..
-
특정 당하기 싫으면 멈춰!
-
근데 50lp 떨어짐
-
성적 잘 나온 과목도 단과나 재종 없이 혼자 못 하겠음 자기 확신 부족으로 인해...
-
박제되거나 특정될까봐 개무서운디ㅋㅋ
-
계산기 사용시 엄벌에 처함.
-
ㅇㅈ메타 꿀팁 2
너도 ㅇㅈ하고싶어질때 자러가라 새겨들어라
-
펑 16
이왜진?
-
하 시발
-
ㅇㅈㅎㅈㅅㅇ 1
ㅎㅎㅎㅎ
-
락스 어딧냐 2
에잉 시부럴 살맛이 안나누
요즘 교육청 모고도 퀄이 상당히좋더라구요
그런가요? 저는 어제 보고 사설 따라가긴 멀었구나 싶었습니다.
시험이 어떻게 나오든 어쨌든 잘 보는게 장땡인거 같아요!! 물론 기출 계속 꼼꼼히 보면서 최근 경향에 익숙해져있는게 제일 중요하다 생각합니다ㅏ
현실적으로 그게 가능할 정도로 높은 독해력을 지닌 사람은 극소수입니다.
하여 먼저 평가원으로 기준을 명확히 잡고 그 기준대로 공부하는 것이 옳다고 봐요:)
평가원을 기준으로 잡은 후 양적 확대를 통해 실력을 늘려도 늦지 않으니까요.
맞아요!! 저도 기출을 통해 확실한 태도 정립하고 그 후에 양적인 확대가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부분에 대해 정말 공감합니다.
6,9월의 난이도가 아닌 출제 방식을 따른다는 말은 참 적절한 표현이네요:)
EBS는 가볍게 익숙한 느낌만 받아도 그 안정감이 참 커서...
이왕이면 전 작품 간단히라도 아는 게 좋겠더라고요:)
조경민님 저도 참 좋아하는 분이죠:)
저 역시 만점가자님보다 점수는 낮지만 작년에 6,9만 10번 가까이 복습해서 98점 받은 기억이 있네요.
16학년도부터 작년까지 계속 수능응시하고있는 1인인데요 ㅋㅋ '평가원스러움'은 어째 매년 수능마다 달라지는지 참 웃기더라구요!
시험장에서 느낀 체감으로 비슷했던 시험끼리 묶어보면
2016 /2017-2018/ 2019/ 2020, 2021 이정도로 6년간 4번정도가 느낌이 다르네요 ㅎㅎ
특히2019가 레전드였죠..부끄럽긴하지만 그때원점수 82였는데, 태어나서 처음으로 시험장에서 눈물을...
이런 모의고사도 은근 좋은 경험일 것 같아요!
늘 수능은 진화하니까요:)
각자마다 생각이 다르지만, 이런 모의고사도 좋은 경험이라고 말하시는 태도는 정말 멋진 것 같습니다!
약간 평가원 선지들은 근거가 되는 선지 하나만 맞으면 나머지 조건들이 우수수 들어맞는 느낌? 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