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시드드림 [378009] · MS 2011 · 쪽지

2013-09-16 22:29:57
조회수 4,064

인간 눈의 구조적 결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37159


우리가 쓰고 있는 qwerty 자판배열은 타자기로 문서를 작성하던 시절, 타이핑을 할때 활자해머가 엉키는것을 최소화시키도록 디자인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 자판배열에는 타이핑 속도에서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재미있는것은 이제 타자기 대신, 활자해머 엉킴걱정이 필요없는 키보드를 쓰는 지금도 여전히 치기에 비효율적인 qwerty자판배열이 대세라는 점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드보락 자판같은 타이핑 효율성이 검증된 자판이 있음에도, 다시 자판배열을 익히는 것이 귀찮았던 대다수 사용자들이 기존의 비효율적이지만 익숙한 자판배열을 선호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키보드가 아무리 소재가 바뀌고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 되어, 터치감이 향상되고 손목이 보호되는 등의 질적으로 향상되어도 키보드는 qwerty 배열이라는 불가피한 근본적인 결함을 안게 된 것이다.



제목은 눈인데 밑도끝도 없이 자판배열 이야기를 장황하게 한 이유는 눈에도 이것과 똑같은 맥락의 결함이 있기 때문이다. 아래 그림에는 두개의 눈 단면도가 있다. 우선 왼쪽 눈을 보자. 왼쪽 그림의 눈에서는 외부 빛이 렌즈를 통해 (표시되진 않았지만)유리체를 지나 빛을 감지하는 광수용신경세포체(그림의 우측 상단 그림)가 있는 망막에 도달하게 된다. 대단히 단순명료하고 자연스러운 형태다. 반면 오른쪽 눈을 보자. 유리체를 지나는것 까지는 똑같다. 그런데 유리체를 지나서 빛이 도달하는 곳은 망막이 아니라 두꺼운 신경다발이다. 이 신경다발을 지나 (묘사되진 않았지만)몇개의 신경세포층을 지나서야 빛은 드디어 목적지인 광수용체에 도달하게 된다. 광센서가 멍청하게도 광원 방향과 등진 채 배열된 오른쪽 눈은 왼쪽 눈에 비해 쓸데없이 복잡하면서도 빛에 감도도 떨어지게 되어 있다.


오른쪽 눈에는 빛의 투과율저하 말고도 몇가지 문제가 더 있다. 그중 하나가 우리가 흔히 말하는 맹점이다. 뇌에서 볼때 뇌와 연결되어야 하는 신경다발이 광수용체층을 지나서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망막표면에는 신경다발과 뇌가 연결되는 구멍이 발생하게 되는데 맹점은 그 구멍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오른쪽 눈의 불안정한 구조는 왼쪽눈이라면 신경쓸 필요도 없는 안구질환을 걱정하게 만든다. 망막박리와 녹내장이 그것인데, 망막박리는 물리적인 충격등의 이유로 망막층이 안구벽에서 떨어져 나간 병적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녹내장은 주로 안압에 의한 신경다발 손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모두 광수용체가 수정체를 등진채 배열되면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오른쪽 그림 눈 구조처럼 망막이 안정적으로 안구막에 정착되어 있다면 왠만한 충격에도 망막은 떨어져 나가지 않을것이다. 또한, 신경다발이 오른쪽 눈처럼 유리체 바깥쪽에 있다면 신경다발이 안압이 손상되는 걱정을 할 필요도 없가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제정신이 박힌 제작자라면 눈을 복잡하고 힘들면서도 성능은 떨어지고 불안정한 오른쪽 형태로 설계할 이유가 없을듯 하다. 그러나 저런 눈은 지구상에 존재한다. 다름 아닌 인간의 얼굴에 밖혀있는 눈이다. 만물의 영장인 인간에게서, 그리고 인간의 신체 중에서도 가장 정교하고 경이롭다는 눈이 사실은 저렇게 엉터리로 디자인 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은 눈이 한번에 설계되어 완성된 것이 아니라 단순한 형태에서 오랜시간 서서히 조금씩 진화하여 지금과 같은 정교한 형태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광수용체가 반대로 배열된 것은 처음에는 별로 사소한 것이었는데 진화가 진행되면서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급기야 이전으로 되돌릴수 없는 상황이 되면서 눈의 근본적인 결함으로 남게 된듯하다. 마치 앞서 소개한 키보드의 qwerty자판배열처럼 말이다. 물론 진화는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진 못했지만 땜질식으로나마 나름 잘 수리를 하였으며 , 덕분에 인간은 쓰는데 별 불편없는 훌륭한 시각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후니 · 114036 · 13/09/16 22:42 · MS 2005

    진화와 관련된 내용 찾아보면 재밌는거 많습니다.
    진화는 좋은 방향으로 가는게 아니라 그 당시의 문제점(취약점)을 고쳐 생존에 유리한 방식으로 간다. 그러므로 계속된 진화와 환경의 변화는 비효율성이나 또 다른 문제가 드러난다고 하지요.
    만약 이 진화의 방향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면 멸종의 길을 걷게 됩니다.

    예를들면 치타의 경우 순간적으로 100km이상의 속력을 낼 수 있지만 이 진화에는 빠른 속도를 내므로 큰 체력손실과, 이 속도를 내기 위해 체지방량의 희생이 있었습니다.
    체지방이 적어지면 생존에 취약한 구조를 가집니다. 그리고 무게가 적게 나가게 되므로 사냥타겟의 범위도 가젤종류도 한정되어지고요. 그러므로 계속된 사냥실패로 먹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치타의 목숨을 잃게 된다는 문제를 가지게 되죠.

  • 千本櫻 · 404192 · 13/09/16 23:05

    2005년 평가원 국어지문에도 폐어 관련해서 재밌는 진화내용 나오드라구요 ㅋㅋ

  • 후니 · 114036 · 13/09/16 23:28 · MS 2005

    나에겐오래된일이라 그 그림문제밖에 기억이..
    근데 사람 기도도 진화적으로 볼때 구조적 문제를 가지고 있죠. 그래서 기도막혀 죽는 사고 많이 나고요

  • Lucete · 450827 · 13/09/17 00:07 · MS 2013

    저 자판기 내용 어디서 본거같은데..

  • 岳畵殺 · 72210 · 13/09/17 00:57 · MS 2004

    비슷한 맥락으로,

    켈로이드 체질인 사람은 의학이 발달하기 전 원시 시대에는 생존에 유리했지만

    의학의 발달로 더 이상 켈로이드가 필요 없어졌지만 아직까지 유전자에는 남아 있어서 미용 상 불편함을 주고 있죠.

  • 토로 · 254852 · 13/09/17 05:45 · MS 2018

    오오 저 켈로이드 체질인데 ㅠ 보기싫어죽겠어요
    근댸 이 죽일놈의 켈로이드가 어떤식으로 생존에 유리했었나요??
    지금의 제가 보기엔 좋을게 하나도 없는데 ㅠ

  • 둠칫 · 435086 · 13/09/17 10:15 · MS 2012

    죄송한데 켈로이드가 뭐에요?

  • 암흑의그림자 · 401050 · 13/09/17 19:30 · MS 2012

    상처가 툭 튀어나와서 보기 싫게 생긴... 빨갛고 튀어나온..좋은 점이라고는 하나도 찾을 수 없을 것 같아 보이는 상처의 흔적입니다. ㅠ

  • 둠칫 · 435086 · 13/09/17 10:43 · MS 2012

    ㅇㅅㅇ 툭 튀어나온?? 약간 큰 점이 튀어나오는 것 같은건가요......무튼 그것도 체질이군요......

  • Tools · 248238 · 13/09/17 03:33 · MS 2008

    참고할만한 좋은 글
    -------------------------------------------------------------------------------------
    뒤로 향하는 인간 망막이 빈약한 설계인가?
    (Is the Backwards Human Retina Evidence of Poor Design?)
    Jerry Bergman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2978
    ------------------------------------------------------------------------------------

  • 암흑의그림자 · 401050 · 13/09/17 09:25 · MS 2012

    허, 창조과학 사이트를 링크 해놓으셨네요;;;
    한가지를 진리라고 믿고 그를 위해 다양한 이론들을 펼치는 사람들은.. 과학적이라고 하기 어렵지만, 뭐, 내용을 들여다보니 그들이 주장하는 내용은 그들이 사용하는 근거를 생각했을 때는 그럴수도 있겠다.. 라는 생각까지는 할 수 있겠네요 ㅎ
    나름 열심히 비과학적인 내용을 증명하기 위해 과학적인 방법으로 노력하는 것 같고, 혹시 그것들이 결론은 다를지 몰라도, 증명하는 과정에서 좋은 발견을 가져다 줄 수 있기 때문에 저 분야도 꼭 부정적인 방향으로 보이지는 않네요.

    솔직히 저쪽 사람들에게서 가장 모순 된것은.. 과학쪽보다 윤리적인거라서 ㅎ

  • Tools · 248238 · 13/09/17 08:43 · MS 2008

    생물 전공자이고 문제 없을 것 같아 가져왔습니다.

    글 읽어보셨나요?
    사이트 이름은 제쳐두고(전 어제 처음 들어가봤네요) 제시된 과학정보 중 어디가 잘못 되었죠?
    포토리셉터가 뒤집혀져 있어도 우리가 잘 볼 수 있는 이유와 그에 따라 얻게 되는 이점 정도로 보이는데요.
    설계됐느니 안 됐느니 변두리 미사여구 몇 마디는 신경도 안 써서 문제될 줄 몰랐네요ㅋ

  • 암흑의그림자 · 401050 · 13/09/17 19:28 · MS 2012

    글은 찬찬히 읽어보았습니다.
    모든 부분을 이해하기에는 저의 지식적 한계가 있었지만, 위의 글과 반대되는 내용이고 어떤 근거가 사용되었는지 전문적인 용어를 제외한 큰 맥락과 예시에 대한 이해는 나름 나쁘지 않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증명과정에서 문제 되는 것은 잘 모르겠어요 제가 그쪽에 대해서 정통한 사람도 아니고. 그저 한때 공학 공부하던 공돌이일 뿐이죠..
    위의 링크에서 글쓰신분도 상당히 지식이 깊고 능력이 출중하실 것으로 생각되는바인데요
    저러한 발견과 추론들을 하시는 것으로 봐서.. 제가 함부로 옳다 그르다 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닌 것 같았습니다.

    하지만 글의 목적이 결국에는 전능한 신의 완벽한 설계를 설명하기 위한 글이 되어버려서 좀 내키지 않았던것 같아요.
    그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시각체계는 충분히 좋은 시스템이다! 라는 것을 피력하려는 목적이 아닌..
    위의 글에 나온 내용에 대한 다른 과학적 반박글이라고 하기보다는 그 반박을 통해서 귀결되는 결과가.. 전능한 신에 의한 완벽한 설계...그것의 증명을 위한 한 과정으로 보여서 선입견이 생긴것은 사실입니다.

    간 김에 좀 여러가지 읽어보았는데.. 여러 흥미로운 가설들이 있더군요.
    그들은 어떻게 자신들의 종교를 비호하는지에 대한 것에 대해서도 알게되었구요 ㅎ
    제가 전문성이 없어서 정확한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그냥 흥미로운 곳이었어요

    제가 위의 댓글에서 잘못되었다고 한건 없는것 같은데;; 혹시나 그렇게 들리셨다면 저의 왜곡을 불러일으키는 글솜씨가 문제인가봐요 ㅠ

    마지막에도 모순이 과학쪽보다 윤리쪽이라고 재진술 했는데. 혹시 위의 댓글에 '비과학적'이라는 단어가 눈에 거슬리셨다면..
    그것은 그들의 목적에 대해서 이야기 한것이라고 알아주셨으면.. ㅠ
    혹은 첫줄의 세미콜론 3개가 거슬리셨다면.. 저의 오해를 불러일으킬만한 부호사용을 반성하겠어요 ㅠ

    결론적으로 그저 제 생각에 저곳에 있는 사람들은 과학자로서 과학을 한다기 보다는 신앙인으로서 과학을 하는 사람들로 보여서 편견이 섞인 말을 했네요.

  • 나를뒤돌아본다 · 301239 · 13/09/17 17:38 · MS 2009

    읽어봤는데... 상식수준에선 정확히 판단하기 힘든 글이네요 ㅎㅎ;;

    의느님이 출동하셔야 할듯...

  • Tools · 248238 · 13/09/17 08:53 · MS 2008

    별 내용 없어요... 포토리셉터가 거꾸로 위치했어도 우리는 어떻게 잘 볼 수 있는가? 혹 그에 따른 이점도 존재하는가? 로 포커스 맞추세요

  • SKINFOOD · 272708 · 13/09/17 09:55 · MS 2008

    책 이름은 기억 안 나는데 하버드 교수가 쓴 어떤 책이 기억나네요.
    진화가 진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진화는 방향성이 없이 일어나는 변화이지만, 대체적으로 진보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더 유리하게 변화한 종이 보통 살아남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