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니까 공부 안해도 잘봐야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295032
라는 마인드가 박혀있는 것 같아요..
어릴 때부터 머리가 좋아서 공부 진짜 안해도 성적은 나오고 그러다보니까 실수해서 틀리는 모든 문제들을 전부 내 실력과 무관하다라고 생각하면서 자존심을 지키는 거 같아요
진자 매우 엄청 우울하네요
제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가 된 것 같아서 다행이다 싶으면서도 막상 돌아보니 인정하기 싫어지는 거 있죠
그래도 실수는 실수 아닌가 몰라서 틀린 것도 아닌데
그리고 난 남들보다 공부도 훨씬 안하고 이 정도인걸?
뭐 이러면서 나보다 공부 많이 하고 나보다 잘 본 사람들 보면서자꾸 제 자신을 올려치기 하는 듯한 느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과탐표본은 쌍욕이 나온다니까… 걍 작수 미적 1컷 93 나오는 표본이라 보면됨
-
https://www.instagram.com/reel/DLmNy3pygZa/?igs...
-
수학 복습을 어떤 강의 들으면서 하면 좋을까요? 24수능 기준으로 미적 1컷 정도...
-
닉네임 추천 좀요 12
나한테 잘 어울리는 걸로
-
공부 끝 9
-
와 미친 0
9999번째 하트
-
그 어떤 사탐이건 25생윤급 극소수 시험지 아니면 아예 못비빈다가 정배긴 함
-
교육청임요
-
안방 침투 ㄱ?
-
걍 딴과목하셈 흥미 있어도 오지마셈 나만 할꺼임
-
제가 여기 대표적인 장수병신 이미지인지..
-
닉네임 추천좀 18
또 바꾸고 싶아졌어요
-
뭔가 친해지고 싶음. 경험하지 못한 세계를 경험한 사람들
-
복소수를 싫어한 수학자도 있었음 복소수를 제대로 알기 시작한건 생각보다 오래되지 않았음
-
요번에 12
수학 4에서 1이 진짜 많네
-
탈출하길 잘했네 근데 화학 말고 고른게 세지 ㅋㅋㅋ
-
잠을 못자겠어요
-
물리를 진작에 버렸어야....
-
영어 반영비 2
지금 수학 탐구 공부량이 좀 부족해서 영어 살짝 유기하려고하는데 2등급 맞으면 거의...
-
개추 10개시 1
배리나 사진 돌림
-
여러분 4
만약 제가 그 어떠한 수능보다도 그 어떠한 실모보다도 어려운 하프 모의고사 딱...
-
수학 재밋는얘기 4
기하 선택자도 적고 교육과정은 더더욱 아니라서 외적이 뭔지 아는 사람이 이제는 더...
-
애기잘게요 5
내꿈꿔라이
-
애기 잔다 6
잘자렴..
-
과탐을 닦는다는건 아닌데 다른 사탐이랑은 다른 라인인듯 확실히
-
정법 누가 프레임 씌웠어!!! 진짜 정법이 사문보다 훨씬쉽습니다 여러분….사문이...
-
인테리어 했는데 왜 나오는거야ㅜㅜ
-
난이도 기준 추천좀 Ex) 2022수능, 등등 공통기준이에요
-
아가 어딧누 10
응앵으응앵앙앙앙아아앙 쫍쫍 응애응앵 아아아앙응아잉에에에
-
가을 타 겨울 내릴 눈 네 번 또다시 봄~
-
무물보받음
-
별로임? 목 짧고 굵음
-
유튜브에 국제학교 영상이 떠서 든 생각인데, 시간을 되돌아 간다면 국제학교 가고싶은 분 있으신가요? 3
인천의 채드윅이나 제주국제학교 같이 내국인 입학이 가능한 국제학교 같은...
-
인사해주세요,, 1
반가워요 선생님,, 올해에는 행복한 일이 더 많았으면 좋겠네요,,
-
흠
-
아무거나요
-
저렙노프사인채로 공부 질문 달았을때 답변해주신 착한분들 다 탈릅하셨나ㅜㅠ
-
ㅇㅇ
-
독학서.. 10
끝나면 마지막 인삿말같은거라도 있을줄알았는데.. 서운해잉
-
. 11
훈훈한 남자중에 있음?
-
1컷 정도인데 미적 많이 약함 공통은 쫑느 듣고 있음 시즌3부터 들어도 따라갈 수...
-
빨리 1
가을 냄새 맡고 싶다. 열심히 한 자에게 수능은 떨리면서 기대되는 것 여름 때...
-
노래 잘 부르려면 어떻게함?? 노래방 가서 나만 쭈구리됨 ㅠㅠㅠ 그냥 노래를 ㅈㄴ...
-
공부 할 맛 ㅈㄴ 날텐데 바꿔볼까
-
문제들만이 내 가치를 보증해주는 느낌임
-
학점 개망했네 7
이거 진짜 반수해야되나
-
대학교책 너무 노간지레전드임
-
여름 Vs 겨울 0
난 겨울 나 스키 잘타는데 빨리 겨울 와서 스키 마음껏 타고싶당

하 낼도 시험 있는데 존나 우울하네요 걍우물 안 개구리인지 어떻게 알아 아직 부딪혀보지도 않았는데! 난 남들과 똑같이 노력해본 적이 없는 걸?
좀 많아 과장 보태긴 했는데 굳이 말하자면 약간 이런 느낌이랄까요
음 승부를 피한다기보다는 부딪히면 이길 것 같은데 나중에 부딪혀보지 뭐 지금은 굳이 필요 없으니까
라는 이유로 공부 안하는 게 더 큰 것 같아요
정신승리보다는 자만에 더 가까운 듯한
이건 기만이죠
제가 현역때 그거 믿고 공부 덜했고
덜했음에도 모고성적 좋았는데요, 지금 삼수합니다
자만하지 마세요 절대로
안좋은말이지만 한번무너져봐야 깨달을듯
무너져도 합리화할 것 같은 제 자신이 너무 싫네요..
여기서 누가 말해도 어차피 안통함. 큰 실패 몇번 해보면 그런생각 사라짐
큰 실패라면 재수 정도의 실패를 말하는 건가요? 지금 이 마인드면 수능 망해도 다 실수고 내 실력은 아니라고 변명할 것 같은데
변명하는 거면 애초에 극복의 의지가 없다는 건데 그럼 수험 생활을 하는 데 의미가 크게 없을 겁니다. '적게 해도 되지' 하는 마인드면 실제로 머리가 아주 좋아서 전혀 문제를 틀리지 않든가 (실제로 이런 케이스를 보긴 했습니다. 그냥 안 해도 안 틀려요. 특히 특정 과목 한정 왜 애들이 틀리는지가 더 신기하다고 하는 애도 있었습니다.) 그냥 공부 말고 다른 진로를 찾는 게 맞다고 봅니다.
의대 반수생이 다른 수험생보다 더 잘하는데도 훨씬 열심히 하려는 것이 정 반대의 케이스인데, 위로 올라갈수록 실수를 안 하는 싸움이 됩니다. 그 실수 자체가 변별 요소가 된다는 거죠. '어중간하게' 머리가 좋아서 적게 투자해도 평타 이상의 결과물을 낼 수 있다고 생각하면, 그냥 조금만 더 투자해서 다 맞으면 됩니다. 남들보다 진짜 조금만 더 노력하면 안정적으로 만점을 맞을 수 있는데 이를 하지 않는 거는 이게 안 될까봐 무서운 거죠.

정성 답변 감사합니다..근데 조금 더 노력한다고 이 실수가 지워지나요? 실수가 실력과 당연히 무관하지는 않겠지만 실력이 아무리 출중해도 실수를 피하지 못할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뭔가 벽을 때리는 느낌이랄까
실수가 실력과 정확히 반비례인 건 아닙니다.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지는다라는 말이 있듯이 상당히 숙련된 사람도 실수를 하는 경우는 생기죠. 하지만 이 경우가 숙련되지 않은 사람보다 극히 드뭅니다. 시험 같은 특정 사건에서 더 낮은 성과를 받을 확률이 극단적으로 낮은 거죠. '실력이 좋으면 실수를 하지 않는다.'는 참이 아닐지언정 '실수를 많이 하는 사람은 실력이 좋지 않다.'는 참인 거죠. 즉, 실수는 패널티 같은 존재입니다.
당연히 완벽을 추구하는 거면 평생 수험생활을 해도 이를 이룰 수 없을 겁니다. 틀리는 문제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을 여지가 너무나 높고 심지어 연장된 수험생활동안 그런 가능성이 줄어들지 않습니다. 그냥 높은 실력으로 이런 실수가 생길 여지를 최소한으로 해서 완벽하지는 않지만 주변 사람들보다는 완벽에 가까운 상태에서 대학을 선택할 수 있게 공부하는 거죠.
감사합니다. 단순히 실수로 치부할 게 아니라 제 실력을 의심해봐야겠네요...

조금 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성적 상승의 양상이 로그함수같은 느낌이랄까요.. 뭔가 진짜진짜 조금만해도 팍 오르는데 그 이후로는 정체된다 해야하나도저히 잡히지 않는 그 뭔가가 있는 것 같은데 보이지도 않아서 공부할 의욕도 딱히 안 생기는본인이 알고 있으면서 왜 고칠 생각은 안 하는?
공부를 조금한다고 몰라서 틀리는 게 아니라서 여기서 뭔가 더 한다고 점수가 오를 것 같지 않은 느낌이랄까요
마인드가 글렀다고 생각은 안 하시나요
글렀다고 생각해서 올린 글인데 제 마인드가 쉽게 고쳐지지가 않아요
실제로 실수를 안하는 시험에서는 진짜 조금하고 전교 1-2등하고 그래서요..
그게 진짜 본인이 노력을 안 하고 얻은 결과라고 생각하시나
그 비유 아세요? 상자에 x3 x7 이런 배수가 써있는 거라는 그거
음 모르겠어요
근데 중간고사 때 과탐 6시간씩 공부하고 112 떠서..
상자 비유는 첨 들어보는
똑같은 10의 일을 해도 x3의 능력치를 가진 사람은 30의 결과를 내고 x7의 능력치를 가진 사람은 70의 결과를 내는 경우가 있어요
20의 결과를 내려면 x3은 7의 일을 해야 겨우 넘기는 반면에 x7은 3만큼만 해도 되는 거죠
본인은 그 수가 큰 건데 그걸 활용을 안 하는 이유는 목표가 없어서 그러시는 거
목표가 뭐든 좋으니까 세워봐요 존나 압도적인 성적으로 모두를 기만하겠다 이런 거도 좋으니까 아무거나 세우고 그걸 위해서 어떻게든 하세요
이렇게 매번 실수하는데 존나 압도적인 성적을 받을 수 있을까요? 매번 실력과 성적이 따로노는 느낌..
실수를 줄이려는 노력은 해보셨나
실수하는 것들 다 모아서 적어두려고 해본 적이 있긴 한데 효과가 있었는지는 모르겠슴니다
그거로 될 거라 생각하시나요 같은 유형 비슷한 풀이 몇 번이고 다시 처음 보는 것처럼 대하면서 풀고 그런 거 해보셨냐 이말임
모르는 단어 공책에 한 번 적는다고 외워짐?